금속(金屬, Metal, 고대 그리스어의μέταλλον (métallon)에서 유래, "광산, 채석장, 금속"이란 뜻)은 광택을 내거나 부서졌을 때 광택이 있는 외관을 보이며,전기와열을 비교적 잘 전도하는재료이다. 이러한 특성은 비금속 재료와 달리페르미 준위에 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1]:{{{1}}}[2](pp. Chpt 7 & 8) 금속은 일반적으로연성이 있고(선으로 길게 뽑아낼 수 있음)전성이 있다(망치나 압착을 통해 모양을 만들 수 있음).[3]
금속은철과 같은화학 원소,스테인리스강과 같은합금,고분자 황 질화물과 같은 분자 화합물로 나눌 수 있다.[4] 금속에 대한 일반적인 과학 분야는재료과학의 하위 주제인금속공학이라고 불린다. 전자적 및 열적 특성 측면은응집물질물리학 및고체화학의 범위에도 속하며, 이는다학제적 주제이다. 구어적으로 강철 합금과 같은 재료는 금속으로 지칭되는 반면 고분자, 목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다른 재료는비금속 재료이다.
금속은절대 영도의 온도에서 전기를 전도하는데[5] 페르미 에너지에서비편재화된 상태의 결과이다.[1][2] 많은 원소와 화합물은 고압에서 금속이 되는데, 예를 들어아이오딘은대기압의 4만 배에서 17만 배 사이의 압력에서 점차 금속이 된다.
주기율표와 일부 화학적 특성을 논할 때, 금속이라는 용어는 순수한 형태와 표준 조건에서 위에서 언급된 전기 전도성 의미에서 금속인 원소를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관련 용어인 금속성은도펀트 원자 또는 합금 원소의 유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금속의 강도와 탄성은 예를 들어 고층 빌딩과 교량건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차량, 많은가전제품, 도구, 파이프, 철도 레일 등에 자주 사용된다.귀금속은 역사적으로주화로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주화 금속이 최소 23개의화학 원소로 확장되었다.[6] 또한 반도체 산업에서는타이타늄 질화물[7] 또는불순물 반도체와 같은 다원소 금속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정제된 금속의 역사는 약 11,000년 전 구리의 사용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 은, 철(운석철), 납, 황동도 기원전 5천년에 청동이 처음 나타나기 전에 사용되었다. 이후의 발전에는 초기 형태의 강철 생산, 1809년 최초의경금속인나트륨의 발견, 현대특수강의 부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더 정교한 합금의 개발로 이어진다.
대부분의 금속은 적어도 연마되거나 부서졌을 때 반짝이고광택이 난다. 몇마이크로미터보다 두꺼운 금속 시트는 불투명하게 보이지만,금박은 녹색 빛을 투과시킨다. 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전자가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다.[1][2]
대부분의 원소 금속은비금속보다밀도가 높지만,[8] 밀도에는 큰 차이가 있는데리튬이 가장 밀도가 낮고(0.534 g/cm3)오스뮴이 가장 밀도가 높다(22.59 g/cm3). 일부6d 전이 금속은 오스뮴보다 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알려진 동위원소는 대량 생산이 불가능할 정도로 너무 불안정하다.[9] 마그네슘, 알루미늄, 타이타늄은 상업적으로 중요한경금속이다. 이들의 밀도는 각각 1.7, 2.7, 4.5 g/cm3로, 철(7.9) 및 구리(8.9)와 같은 기존 구조용 금속과 비교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경량 금속은알루미늄[10][11]과마그네슘[12][13] 합금이다.
인장 시험 후 원형 금속봉의 개략적인 모습. (a) 취성 파괴 (b) 연성 파괴 (c) 완전 연성 파괴
금속은 일반적으로전성과연성이 있으며,벽개 없는 응력 하에 변형된다.[8] 금속 결합의 비방향성은 대부분의 금속 고체의 연성에 기여하며, 여기서파이어를스 응력은 상대적으로 낮아전위 운동을 허용하고, 또한소성 변형을 위한 많은 평면 및 방향 조합이 있다.[14] 원자가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전위의버거스 벡터는 상당히 작으며, 이는 전위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3][14] 대조적으로, 식염과 같은 이온 화합물에서는 버거스 벡터가 훨씬 크고 전위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훨씬 높다.[3] 금속의 가역적탄성 변형은 재료의비례 한도까지변형력이변형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복원력에 대한훅의 법칙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15][16]
단금속 물질의 원자는 종종체심 입방 격자(bcc),면심 입방 격자(fcc),육방 밀집 격자(hcp)의 세 가지 일반적인결정 구조 중 하나에 속한다. bcc에서는 각 원자가 8개의 다른 원자로 이루어진 정육면체의 중심에 있다. fcc와 hcp에서는 각 원자가 12개의 다른 원자로 둘러싸여 있지만, 각 층의 적층 방식이 다르다. 일부 금속은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를 이룬다.[17]
크로뮴, 철, 텅스텐 등에서 볼 수 있는 2개 원자 단위 세포를 가진 체심 입방 결정 구조
알루미늄, 구리, 금 등에서 볼 수 있는 4개 원자 단위 세포를 가진 면심 입방 결정 구조
타이타늄, 코발트, 아연 등에서 볼 수 있는 6개 원자 단위 세포를 가진 육방 밀집 결정 구조
여기서 높이는 에너지이고 폭은 나열된 재료에서 특정 에너지에 대한이용 가능한 상태의 밀도이다. 음영은페르미-디랙 통계를 따른다(검정색=모든 상태 채워짐,흰색=채워진 상태 없음).
페르미 준위 EF는 전자가 그 위의 에너지 준위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에너지 준위이다. 금속 및반금속에서는 페르미 준위 EF가 에너지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띠 내부에 존재한다.
절연체 및반도체에서는 페르미 준위가띠틈 내부에 존재한다. 그러나 반도체에서는 띠가 페르미 준위에 충분히 가까워서 전자를 사용하거나양공으로열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금속의 전자 구조는 금속이 좋은전기 전도체가 되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물질 내의 모든 전자는 다른운동량을 가지며, 외부전압이 없을 때는 그 합이 0이다. 금속에서는 전압이 가해지면 일부 전자가 전기장 방향으로 약간 더 높은 운동량 상태로 이동하고, 다른 전자는 약간 느려진다. 이는 순표류 속도를 생성하여 전류를 발생시킨다.[1][2][19] 이는 전자가 더 높은 운동량을 가진양자 상태로 이동하는 작은 변화를 포함한다.파울리 배타 원리에 따르면 두 전자는 동일한 양자 상태를 차지할 수 없다.[20] 따라서 전자가 더 높은 운동량 상태로 이동하려면 그러한 상태가 비어 있어야 한다. 금속에서는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점유 준위 근처의 에너지에서 이러한 빈비편재화된 전자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실리콘과 같은반도체와스트론튬 타이타네이트와 같은 비금속은 가장 높은 채워진 전자 상태(원자가띠)와 가장 낮은 빈 상태(전도띠) 사이에에너지 띠틈이 있다. 작은 전기장은 이 간격을 넘어 전자를 여기시키기에 불충분하여 이런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좋지 않다.[19] 그러나 반도체는 추가적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에너지 상태를 도입하는 원소로도핑되거나, 열적 여기를 통해 전자가 에너지 띠틈을 넘어갈 수 있게 될 때 일부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21]
원소 금속은망가니즈의 경우 6.9 × 103S/cm에서은의 경우 6.3 × 105 S/cm에 이르는 전기 전도도 값을 가진다. 반면,반도체인준금속인붕소는 전기 전도도가 1.5 × 10−6 S/cm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전기 전도도는 가열하면 감소하는데, 이는 원자의 열 운동 증가로 인해 전자의 흐름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22] 예외적으로,플루토늄의 전기 전도도는 약 -175°C에서 +125°C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될 때 증가하며, 약 100°C 근처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열팽창 계수와 단사정계에서 면심 입방정계로의 상 변화가 있다.[23] 이러한 행동은 다른초우라늄 원소에서 관찰되는 유사한 현상과 함께, 단순 모델에서는 포착되지 않는 더 복잡한 상대론적 및 스핀 상호 작용에 기인한다.[24]
TiN의 상태 밀도. 점유된 상태는 파란색으로 음영 처리되어 있고 페르미 준위는 x축 원점에 있다. Ti 및 N 원자와 관련된 상태를 포함한 모든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모든 금속 합금뿐만 아니라 전도성 세라믹 및 고분자도 동일한 정의에 따라 금속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타이타늄 질화물은 페르미 준위에서 비편재화된 상태를 가진다. 이들은 원소 금속과 유사한 전기 전도도를 가진다. 액체 형태도 금속 전도체이며 예를 들어수은이 그렇다. 정상 조건에서는 어떤 기체도 금속 전도체가 아니다. 그러나플라스마는 금속 전도체이며, 플라스마 내의 하전 입자는 원소 금속 내의 전자와 많은 공통된 특성을 가진다. 특히 백색 왜성에서 그렇다.[25]
금속은 비교적 우수한열전도체이며, 금속에서는 주로 전도 전자를 통해 열이 전달된다.[26] 고온에서는 전자가페르미-디랙 통계에 따라 약간 더 높은 에너지 준위를 차지할 수 있다.[2][21] 이들은 약간 더 높은운동량을 가지며 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경험적인비데만-프란츠 법칙은 많은 금속에서 열 전도도와 전기 전도도 사이의 비율이 온도에 비례하며, 비례 상수는 모든 금속에 대해 대략 동일하다고 말한다.[2]
금속 전자의열용량 및열전도율에 대한 기여, 그리고 금속 자체의 전기 전도도는자유 전자 모형으로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2] 그러나 이는 금속 이온 격자의 상세한 구조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온 코어 배열로 인한 양의 전위는 금속의전자 띠구조 및결합 에너지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모델이 적용 가능하며, 가장 간단한 것은준자유 전자 모형이다.[2]밀도범함수 이론과 같은 현대적인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8][29]
금속을 형성하는 원소는 일반적으로 전자 손실을 통해양이온을 형성한다.[8] 대부분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산화물을 형성하는데, 이는 고유한 산화물이부동태층을 형성하여확산 장벽 역할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시간 척도로 발생한다(칼륨은 몇 초 안에 타지만 철은 몇 년에 걸쳐녹이 슨다).[30][31]팔라듐,백금,금과 같은 일부 다른 금속은 대기와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금은 전자를 얻는 화합물(금화물, 예:세슘 금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원소 금속의산화물은 종종염기성이다. 그러나 CrO3, Mn2O7, OsO4와 같은 매우 높은산화수를 가진 산화물은 종종 엄밀히 산성 반응을 보인다. 그리고 BeO, Al2O3, PbO와 같이 전기 양성도가 낮은 금속의 산화물은 염기성 및 산성 특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후자는양쪽성 산화물이라고 불린다.
일반적인 조건에서 배타적으로 금속 구조를 형성하는 원소는 아래 주기율표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원소는공유 결합 네트워크 구조(밝은 파란색), 분자 공유 결합 구조(어두운 파란색)를 형성하거나 단일한 원자로 남아 있다(보라색).[32]아스타틴(At),프랑슘(Fr),페르뮴(Fm) 이후의 원소는 극히 방사성이고 대량으로 생산된 적이 없어 제대로 구조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론적 및 실험적 증거에 따르면 이러한 조사되지 않은 원소는 금속이어야 하지만,[33] DFT 계산에 따르면오가네손(Og)은 반도체일 것으로 예상된다.[34]
금속원자간 결합분자공유 결합단원자알 수 없음배경색은주기율표에서 단순 물질 결합을 나타낸다. 여러 개가 있을 경우 가장 안정한 동소체를 고려한다.
상황은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극도로 높은 압력에서는 모든 원소(및 실제로 모든 물질)가 금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33]비소(As)는 표준 조건에서 안정적인 금속 동소체와 준안정적인 반도체 동소체를 모두 가진다. 유사한 상황이탄소(C)에도 영향을 미치는데,흑연은 금속성이지만다이아몬드는 그렇지 않다.
금속의 맥락에서 합금이란 두 개 이상의원소로 구성된 금속적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 종종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원소이다. "합금"이라는 용어는 때때로규소-저마늄 합금과 같이 더 일반적인 용도로도 사용된다. 합금은 가변적이거나 고정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과 은은 금 또는 은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는 합금을 형성한다. 타이타늄과 규소는 두 구성 요소의 비율이 고정된 합금타이타늄 이규화물 (또한금속간화합물[35][36]로도 알려져 있음) TiSi2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순수 금속은 실제 사용에는 너무 무르거나, 취성이 있거나,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있다. 합금에 다른 비율의 금속 및 기타 원소를 결합하면 더 연성이 있거나, 더 단단하거나, 부식에 저항하거나, 더 바람직한 색상과 광택을 가지는 것과 같은 바람직한 특성을 생성하도록 특성을 변경한다. 오늘날 사용되는 모든 금속 합금 중철의 합금(강철,스테인리스강,무쇠,공구강,특수강)이 양과 상업적 가치 모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37] 다양한 비율의 탄소와 합금된 철은 저탄소, 중탄소, 고탄소 강철로 분류되며 탄소 수준이 증가할수록 연성과 인성이 감소한다.규소를 첨가하면 주철이 생산되는 반면, 탄소강에크로뮴,니켈,몰리브데넘을 첨가하면(10% 이상) 부식 저항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강이 된다.
다른 중요한 금속 합금은알루미늄,타이타늄,구리,마그네슘의 합금이다. 구리 합금은 선사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으며—청동은청동기 시대에 그 이름을 부여했다—오늘날 전기 배선에 가장 중요하게 많은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다른 세 금속의 합금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었다. 이들의 화학적 반응성 때문에전해 추출 공정이 필요하다. 알루미늄, 타이타늄, 마그네슘의 합금은 높은 강도 대 중량 비율로 평가받는다. 또한 마그네슘은전자기 차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38][39] 이러한 재료는 항공우주 및 일부 자동차 응용 분야와 같이 재료 비용보다 높은 강도 대 중량 비율이 더 중요한 상황에 이상적이다.[40]
제트 엔진과 같이 매우 까다로운 응용 분야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합금은 10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난융 금속은 열과 마모에 매우 강한 금속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금속은 다양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나이오븀,몰리브데넘,탄탈럼,텅스텐,레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2,000 °C 이상의녹는점과 상온에서 높은굳기를 가진다.타이타늄 질화물과 같은 여러 화합물도 난융 금속으로 설명된다.
백색 금속은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낮은 녹는점을 가진 다양한 백색 합금이다.[44][45] 영국에서는 순수 미술 거래에서 경매 카탈로그에서 "백색 금속"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영국 검인소 마크가 없는 외국 은 품목을 설명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으로 이해되고 그에 따라 가격이 책정된다.[46]
중금속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금속을 의미하며, 단일 원소 또는 다원소이다.[47]마그네슘,알루미늄,타이타늄 합금은 상업적으로 중요한경금속이다.[48] 이들의 밀도는 1.7, 2.7, 4.5 g/cm3로,철(7.9) 및구리(8.9)와 같은 다른 구조용 금속 밀도의 19%에서 56% 범위에 해당한다.[49]
비금속이라는 용어는 쉽게산화되거나부식되는 금속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묽은염산(HCl)과 쉽게 반응하여 금속 염화물과수소를 형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원소에 사용되며 철,니켈,납,아연 등이 있다. 구리는 비교적 쉽게 산화되지만 HCl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비금속으로 간주된다.
귀금속이라는 용어(원소에 대해서도)는 일반적으로 비금속과 반대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귀금속은 대부분의비금속과 달리 반응성이 낮고부식 또는산화에 강하다.[50] 이들은 희소성 때문에 종종 귀금속이 된다. 금, 백금, 은,로듐,이리듐,팔라듐 등이 예시이다.
연금술과화폐학에서 비금속이라는 용어는귀금속(경제적 가치가 높은 금속)과 대조된다.[51] 오늘날 대부분의 주화는낮은 내재 가치를 가진 비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과거에는 주화가 주로귀금속 함량에서 가치를 얻었다.금,은,백금,팔라듐은 각각ISO 4217 통화 코드를 가지고 있다. 현재 이들은촉매 변환기의 백금과 팔라듐과 같은 산업적 용도로 사용되며,주얼리에도 사용되고, 투자 및가치 저장 수단으로도 역할을 한다.[52] 2024년 여름 기준으로 팔라듐과 백금은 금 가격의 절반보다 약간 낮은 가치를 가졌고, 은은 훨씬 저렴했다.
금속성 전기 전도성을 가지지만 금속 원소의 단순한 조합이 아닌 많은 세라믹 화합물이 있다. (이들은 비전도성 세라믹과 전도성 금속의 복합 재료인서멧과는 다르다.) 전이 금속 질화물은 결합에 상당한 이온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세라믹과 금속 모두로 분류될 수 있다.[7] 이들은 페르미 준위에서 부분적으로 채워진 상태를 가지므로[7] 우수한 열 및 전기 전도체이며, 종종 전이 금속 원자에서 질소로 상당한 전하 이동이 일어난다.[7] 그러나 대부분의 원소 금속과 달리 세라믹 금속은 종종 특별히 연성이 좋지 않다. 이들의 용도는 광범위한데 예를 들어타이타늄 질화물은 정형외과 기기[54] 및 내마모성 코팅으로 사용된다.[55] 많은 경우 이들의 유용성은 박막 코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증착 방법이 있는지에 달려 있다.[56]
반쪽금속은 한스핀 방향의전기 전도체 역할을 하지만, 반대 스핀 방향의 전자에 대해서는절연체 또는반도체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이들은 1983년에망가니즈 기반회슬러 합금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기술되었다.[61] 모든 반쪽금속은강자성을 띠지만(또는준강자성), 대부분의 강자성체는 반쪽금속이 아니다. 알려진 반쪽금속의 많은 예시는산화물,황화물 또는회슬러 합금이다.[62]
반금속은띠의 바닥과원자가 띠의 꼭대기 사이에 작은 에너지 겹침이 있지만,운동량 공간에서는 겹치지 않는 물질이다.[63] 일반적인 금속과 달리 반금속은 양공과 전자 두 가지 유형의 전하 운반체를 가지지만 전하 운반체의 수는 실제 금속보다 훨씬 적다. 이러한 점에서불순물 반도체와 유사하다. 이는 반금속의 전기적 특성이 금속과반도체 사이의 중간쯤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특히바일 반금속 및디랙 반금속과 같은 추가적인 유형이 있다.[64]
구분선 왼쪽에 있는 금속은 주로친석 원소로 존재하며 (또는 이로부터 얻어지며), 오른쪽의 금속은 금 (친철 원소)과 주석 (친석 원소)을 제외하고친동 원소로 존재한다.
철 (주기율표에서) 근처까지의 금속 원소는 주로항성 핵합성을 통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수소에서규소까지의 가벼운 원소는 별 내부에서 연속적인핵융합 반응을 거쳐 빛과 열을 방출하고 더 높은원자 번호를 가진 무거운 원소를 형성한다.[67]
더 무거운 원소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지 않는데, 그러한 핵을 포함하는 융합 반응은 에너지를 방출하기보다는 에너지를 역으로 소비하기 때문이다.[68] 오히려 이들은 주로중성자 포획을 통해 (더 낮은원자 번호를 가진 원소로부터) 합성되는데 이 반복적인 포획의 두 가지 주요 방식은S-과정과R-과정이다. S-과정("s"는 "느린"을 의미)에서는 단일 포획이 수년 또는 수십 년으로 분리되어 덜 안정적인 핵이베타 붕괴를 하도록 허용하는 반면,[69] R-과정("빠른"을 의미)에서는 핵이 붕괴할 수 있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포획이 발생한다. 따라서 S-과정은 거의 명확한 경로를 따른다. 예를 들어, 안정적인 카드뮴-110 핵은 별 내부에서 자유 중성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충격되어 카드뮴-115 핵을 형성하며 이는 불안정하여 붕괴하여 인듐-115를 형성한다(인듐-115는 우주의 나이의30000배에 달하는 반감기를 가진 거의 안정적인 핵이다). 이 핵은 중성자를 포획하여 인듐-116을 형성하며, 이는 불안정하여 붕괴하여 주석-116을 형성하는 식이다.[67][70][n 2] 대조적으로, R-과정에는 그러한 경로가 없다. S-과정은 다음 두 원소인폴로늄과아스타틴의 짧은 반감기 때문에비스무트에서 멈추는데, 이 핵종은 비스무트나 납으로 붕괴한다. R-과정은 너무 빨라서 이러한 불안정 영역을 건너뛰고토륨과우라늄과 같은 더 무거운 원소를 생성할 수 있다.[72]
지구의 지각은 무게 기준으로 약 25%의 금속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80%는나트륨,마그네슘,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이다.구리와 같은 일부 무거운 금속은 전체적으로 희귀함에도 불구하고 조산 운동, 침식 또는 기타 지질학적 과정의 결과로 경제적으로 채굴 가능한 양으로 농축될 수 있다.
금속 원소는 주로석성 원소 (암석 친화성) 또는친황 원소 (광석 친화성)으로 발견된다. 석성 원소는 주로S-구역 원소, 더 반응성이 높은D-구역 원소,F-구역 원소이다. 이들은 산소에 대한 강한 친화력을 가지며 주로 비교적 낮은 밀도의 규산염 광물로 존재한다. 친황 원소는 주로 반응성이 낮은D-구역 원소와 4-6주기P-구역 금속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불용성)황화물 광물에서 발견된다. 석성 원소보다 밀도가 높으므로 지각이 고화될 때 더 깊이 가라앉기 때문에 친황 원소는 석성 원소보다 덜 풍부한 경향이 있다.
한편, 금은 친철 원소(철 친화성 원소)이다. 금은 산소나 황과 쉽게 화합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지구 형성 당시 가장 고귀한(불활성) 금속 원소로서 금은 고밀도 금속 합금을 형성하는 경향 때문에 핵으로 가라앉았다. 결과적으로 금은 상대적으로 희귀하다. 다른 (덜) 불활성 원소인몰리브데넘,레늄,백금족 원소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백금),저마늄,주석은 철 원소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이는 지구 전체(핵, 맨틀, 지각)에서의 초기 발생 측면에서만 그러하며 지각에서만은 아니다. 이들은 지각에서 소량으로 주로 친황 원소로 (천연 형태로서는 덜) 발견된다.[n 4]
지구 내부의 회전하는 유체 외핵은 대부분 철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의 보호 자기장의 근원인 것으로 생각된다.[n 5] 핵은 지구의 고체 내핵 위에 있고 맨틀 아래에 있다. 만약 5m2의 면적을 가진 기둥으로 재배열할 수 있다면, 그 높이는 거의 700광년이 될 것이다. 자기장은 지구를 태양풍의 하전 입자와 대기 상층부(자외선 복사 전송을 제한하는 오존층 포함)를 벗겨낼 우주선으로부터 보호한다.
금속 원소는 종종보크사이트와 같이 필요한 원소의 풍부한 공급원인광석을채굴하여 지구에서 추출된다. 광석은탐광 기술로 찾아내고, 이어서 광상 탐사 및 조사를 한다. 광물원은 일반적으로 중장비를 사용하여 굴착하는노천광과지하광으로 나뉜다. 어떤 경우에는 관련된 금속의 판매 가격으로 인해 저농도 광원에서 채굴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가능해진다.
광석이 채굴되면 원소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또는 전기분해 환원을 통해추출되어야 한다.화성 야금은 고온을 사용하여 광석을 원료 금속으로 변환하고,습식 야금은 동일한 목적을 위해수용액 화학을 사용한다.
금속 광석이 이온 화합물일 때, 광석은 일반적으로제련되어야 한다. 즉, 순수 금속을 추출하기 위해 환원제와 함께 가열되어야 한다. 철과 같은 많은 일반적인 금속은탄소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제련된다. 알루미늄과나트륨과 같은 일부 금속은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환원제가 없으므로 대신전기 분해를 사용하여 추출된다.[76][77]
금속에 대한 수요는 기반 시설, 건설, 제조 및 소비재에서의 사용을 고려할 때 경제 성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20세기 동안 사회에서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는 빠르게 증가했다. 오늘날중국과인도와 같은 주요 국가의 발전과 기술 발전은 더욱 더 많은 수요를 부채질하고 있다. 그 결과 채굴 활동이 확대되고 있으며, 세계의 금속 재고는 미사용 매장량으로 지하에 있는 것보다 지상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구리의 사용 중 재고가 그 예이다. 1932년에서 1999년 사이에 미국에서 사용 중인 구리는 1인당 73g에서 238g으로 증가했다.[78]
금속은 본질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원칙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크사이트 광석에서 알루미늄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의 95%가 재활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절약된다.[79]
전 세계적으로 금속 재활용은 일반적으로 낮다. 2010년,유엔 환경 계획이 주최하는국제 자원 패널은 사회에 존재하는 금속 재고[80] 및 그 재활용률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78] 보고서 저자들은 사회의 금속 재고가 지상의 거대한 광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휴대폰,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 및 연료 전지와 같은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일부 희귀 금속의 재활용률이 너무 낮아서 미래의 수명 말기 재활용률을 극적으로 높이지 않으면 이러한 중요한 금속이 현대 기술에 사용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천연 형태로 발견되는 구리는 독특한 외관, 무거움, 그전성 때문에 최초로 발견된 금속으로 추정된다. 금, 은, 철(운석철), 납 또한 선사 시대에 발견되었다.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황동은 이 금속의 광석을 동시에 제련하여 만들어졌으며, 이 시기(순수한 아연은 13세기에 분리되었지만)에 기원한다. 단단한 금속의 전성 때문에 금속 장신구, 도구, 무기를 만드는 첫 시도가 이루어졌다. 니켈을 함유한 운석철은 때때로 발견되었으며, 어떤 면에서는 1880년대에 특수강이 두드러지기 전까지 제조된 어떤 산업용 강철보다 우수했다.[81]
청동 (비소 또는 주석과의 구리 합금)의 발견은 사람들이 이전보다 더 단단하고 내구성 있는 금속 물체를 만들 수 있게 만들었다. 청동 도구, 무기, 갑옷 및 장식 타일과 같은건축재료는 석기와 구리 ("동기 시대") 물건보다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있었다. 초기에 청동은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혼합된 구리 및 비소 광석을 제련하여 구리와비소로 만들어졌다(비소 청동을 형성).[82]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초기의유물은 기원전 5천년의이란고원에서 발견된다.[83]주석이 사용된 것은 나중 일로, 기원전 3천년 후반에 청동의 주요 비구리 성분이 되었다.[84] 순수 주석은 기원전 1800년에 중국과 일본의 금속 세공인이 처음 분리했다.
수은은 기원전 2000년 이전에 고대 중국인과 인도인에게 알려져 있었고, 기원전 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500년경부터톨레도의 칼 제조공들은 철광석(및 탄소)에 텅스텐과 망가니즈를 함유한철망간 중석이라는 광물을 첨가하여 초기 형태의특수강을 만들었다. 그 결과로 생산된톨레도 강철은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이 사용하면서 로마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곧 로마 군단의 무기 기반이 되었다. 그러한 칼은 "존재하는 어떤 칼보다 구성이 강했으며, 부러지지 않았기 때문에 로마 병사에게 심리적 우위를 제공했다."[87]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에서는 기원후 300년에서 500년 사이에 파나마와 코스타리카에서 구리와 금의 합금인툼바가로 만든 물체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작은 금속 조각상이 흔했으며, 광범위한 툼바가(및 금) 장식품은 고위층 인물들의 일반적인 의복을 구성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에콰도르 원주민은 금과 소량의 팔라듐, 로듐, 이리듐을 함유한 자연 발생 백금 합금을 결합하여 백금-금 합금의 미니어처와 가면을 생산했다. 관련된 금속 세공인은 금이 녹을 때까지 백금 합금의결정립과 함께 금을 가열했다. 냉각 후 결과적으로 생성된 덩어리는 균질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망치로 두드리고 재가열되었다(관련 백금족 금속의 녹는점에 도달하는 것은 그 시대의 기술로는 불가능했다).[88][n 7]
아랍 및 중세연금술사는 모든 금속과 물질이 모든 금속의 아버지이자 가연성 특성을 지닌 황의 원리, 모든 금속의 어머니[n 8]이자 유동성, 융해성, 휘발성 특성을 지닌 수은의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원리는 반드시 대부분의 실험실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물질인황과수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 이론은 모든 금속이 열, 소화, 시간, 오염 물질 제거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지구 내부에서 금이 될 운명이며, 이 모든 것은 연금술의 지식과 방법으로 발전시키고 가속화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강화했다.[n 9]
비소,아연,안티모니,비스무트가 알려지게 되었지만, 처음에는 전성이 없기 때문에 반금속 또는 가짜 금속으로 불렸다.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1250년에 비누와삼황화비소를 가열하여 화합물에서 비소를 분리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 불순할 경우 취성인 금속성 아연은 기원후 1300년에 인도에서 분리되었다. 안티모니를 분리하는 절차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은반노초 비링구초의 1540년 저서 《데 라 피로테크니아》에 나와 있다. 비스무트는 아그리콜라가 《데 나투라 파실리움》 (기원후 1546년경)에서 설명했는데, 초기에는 이 원소들과의 유사성 때문에 주석과 납과 혼동되었다.
1555년데 레 메탈리카백금 결정미국 테네시주오크리지의Y-12 국립안보단지에서 처리된 폐기물에서 회수된 고농축 우라늄 디스크아르곤 아래의 초순수 세륨 1.5 g 모습
광업 및 금속공학 기술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문헌은반노초 비링구초의데 라 피로테크니아 (1540)로, 금속의 검사, 융해 및 가공을 다룬다.
16년 후,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1556년에데 레 메탈리카를 출판했는데, 이는 광업, 금속공학 및 부속 예술과 과학에 대한 설명으로, 16세기 화학 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논문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 《데 나투라 파실리움》 (1546)에서 금속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금속은 본질적으로 액체이거나 다소 단단한 광물질이다. 후자는 불의 열로 녹을 수 있지만, 다시 식어서 모든 열을 잃으면 다시 단단해지고 원래의 형태를 되찾는다. 이 점에서 불에 녹는 돌과는 다르다. 돌은 다시 단단해지더라도 원래의 형태와 특성을 잃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금속에는 금, 은, 구리, 철, 주석, 납의 여섯 가지 종류가 있다. 실제로 다른 것들도 있는데,수은은 금속이지만 연금술사들은 이 문제에 대해 우리와 의견을 달리하며,비스무트도 그렇다.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비스무트를 몰랐던 것 같으며, 따라서 암모니우스는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많은 종류의 금속, 동물, 식물이 있다고 정당하게 말한다.안티모니는 도가니에서 제련되고 정제되면 작가들이 납에게 부여하는 것만큼 정식 금속으로 간주될 권리가 있다. 제련할 때 주석에 특정 비율을 첨가하면 인쇄업자들이 종이 책을 인쇄하는 데 사용하는 활자 합금이 생성된다.
각 금속은 자신과 혼합된 금속들과 분리될 때 보존하는 고유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호박금이나 스타눔(우리의 주석을 의미하지는 않음) 자체는 실제 금속이 아니라 두 금속의 합금이다. 호박금은 금과 은의 합금이며, 스타눔은 납과 은의 합금이다. 그러나 은이 호박금에서 분리되면 금이 남고 호박금은 남지 않는다. 은이 스타눔에서 제거되면 납이 남고 스타눔은 남지 않는다.
그러나 황동이 천연 금속으로 발견되는지 여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우리는칼라민 광물의 색으로 염색된 구리로 구성된 인조 황동만 알고 있다. 그러나 만약 파낼 수 있다면 그것은 정식 금속일 것이다. 검은 구리와 흰 구리는 붉은 구리와 다른 것 같다.
금과 은에 이어 세 번째귀금속인백금은 1736년부터 1744년 사이에 스페인 천문학자 안토니오 데 울로아와 그의 동료 수학자 호르헤 후안 이 산타실리아가 에콰도르에서 발견했다. 울로아는 1748년에 이 금속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처음으로 작성한 사람이었다.
1789년에 독일 화학자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는 우라늄의 산화물을 분리했는데, 그는 그것을 금속 자체라고 생각했다. 클라프로트는 나중에 우라늄의 발견자로 인정받았다. 프랑스 화학자 외젠-멜시오 펠리고가 우라늄 금속의 첫 번째 샘플을 준비한 것은 1841년이 되어서였다. 앙리 베크렐은 나중에 1896년에 우라늄을 사용하여 방사능을 발견했다.
1790년대에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네덜란드 화학자 마르티누스 반 마룸은 금속 표면이 알코올의 탈수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는데, 이 발전은 나중에 1831년에 백금 촉매를 사용한 황산의 산업 규모 합성에 기여했다.
1803년,세륨은 스웨덴 바스트나스에서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와 빌헬름 히싱어, 그리고 독일에서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가 독립적으로 발견한 최초의란타넘족 금속이다. 란타넘족 금속은 1960년대까지는 이상한 물질로 여겨졌는데, 이들을 서로 더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그랬다. 이후 이들은 휴대폰, 자석, 레이저, 조명, 배터리, 촉매 변환기 및 현대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1809년 이전에 발견된 모든 원소 금속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았으며, 그 무거움이 특징적인 기준으로 여겨졌다. 1809년부터는나트륨,칼륨,스트론튬과 같은 경금속이 분리되었다. 이들의 낮은 밀도는 금속의 본질에 대한 기존의 통념에 도전했다. 그러나 이들은 화학적으로 금속처럼 행동했으며, 나중에는 금속이 맞다고 인식되었다.
알루미늄은 1824년에 발견되었지만, 산업 규모의 대량 생산 방법이 개발된 것은 1886년이 되어서였다. 알루미늄 가격이 하락하고 1890년대와 20세기 초반에 알루미늄은 보석, 일상용품, 안경테, 광학 기기, 식기류, 포일에 널리 사용되었다. 알루미늄이 다른 금속과 결합하여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합금을 형성하는 능력은 당시 이 금속에 많은 용도를 제공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주요 정부는 가볍고 튼튼한 항공기 동체를 위해 대량의 알루미늄을 요구했다.
순수한 금속성타이타늄(99.9%)은 1910년에 처음 제조되었지만, 1932년까지는 실험실 밖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소련은 냉전 관련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군사 및 잠수함 응용 분야에서 타이타늄 사용을 개척했다. 1950년대 초반부터 타이타늄은 군용 항공, 특히F-100 슈퍼 세이버,록히드 A-12 및SR-71과 같은 항공기를 시작으로 고성능 제트기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금속성스칸듐은 1937년에 처음 생산되었다. 1960년에는 99% 순수 스칸듐 금속 1파운드가 생산되었다. 1971년 미국 특허 출원 후 알루미늄-스칸듐 합금 생산이 시작되었다. 알루미늄-스칸듐 합금은 소련에서도 개발되었다.
펜실베이니아주브래켄리지의 앨러게니 루들럼 철강 회사에서 35톤 전기 용광로에서 물처럼 쏟아지는 백열 강철.
제강의 현대 시대는헨리 베서머의베서머 법이 1855년에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 공정의 원료는 선철이었다. 그의 방법으로 저렴하게 강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연강은 이전에는연철이 사용되던 대부분의 목적에 사용되게 되었다.길크리스트-토머스 공정(또는 기본 베서머 공정)은 인을 제거하기 위해 변환기에염기성 재료를 깔아서 베서머 공정을 개선한 것이다.
1872년, 영국인 클라크와 우즈는 오늘날스테인리스강으로 간주될 합금을 특허 냈다. 철-크로뮴 합금의 부식 저항성은 1821년에 프랑스 금속공학자피에르 베르티에가 처음 인식했다. 그는 일부 산에 대한 저항성을 언급하며 식기에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19세기의 금속공학자는 대부분의 현대 스테인리스강에서 발견되는 낮은 탄소와 높은 크로뮴의 조합을 생산할 수 없었고, 그들이 생산할 수 있는 높은 크로뮴 합금은 너무 취성이 있어서 실용적이지 못했다. 스테인리스강 합금의 산업화가 영국, 독일, 미국에서 이루어진 것은 1912년이 되어서였다.
1900년까지 가장 무거운 안정 금속인 납(#82)보다원자 번호가 낮은 세 가지 금속, 즉 원소 71, 72, 75번이 발견되지 않은 상태였다.
카를 아우어 폰 벨스바흐는 1906년에 옛 이터븀이 새로운 원소(#71)를 포함하고 있음을 증명했고 이를 카시오페륨이라고 명명했다.조르주 위르뱅은 동시에 이를 증명했지만, 그의 샘플은 매우 불순했으며 새로운 원소를 미량만 포함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선택한 이름인루테튬이 채택되었다.
1908년 오가와는 토리아나이트에서 원소 75번을 발견했지만, 75번 대신 43번 원소로 지정하고 니포늄이라고 명명했다. 1925년 발터 노닥, 이다 에바 타케, 오토 베르크는 가돌리나이트에서 이를 분리했다고 발표하고 현재의 이름인레늄을 부여했다.
조르주 위르뱅은 희토류 잔류물에서 원소 72번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으며,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는 독립적으로 오르타이트에서 이를 발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두 주장 모두 검증되지 않았으며 보고한 화학적 성질이 현재 알려진 하프늄의 성질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나중에 확인될 수도 없었다. 전쟁 후 1922년에 코스터와 헤베시는 노르웨이 지르콘에서 X선 분광 분석을 통해 이를 발견했다. 그리하여하프늄은 마지막으로 발견된 안정 원소였지만, 레늄이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검증된 원소이다.
루테튬, 1cm3 정육면체 포함
레늄, 1cm3 정육면체 포함
1.7kg 막대 형태의 하프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과학자는 납 이후의 4가지 원소(모두 방사성(불안정한) 금속)를 합성했다. 넵투늄(1940년), 플루토늄(1940-41년), 퀴륨, 아메리슘(1944년)으로, 원소 93번부터 96번까지를 나타낸다. 이들 중 처음 두 개는 나중에는 자연에서도 발견되었다. 퀴륨과 아메리슘은 1945년에 세계 최초의 원자 폭탄을 생산한 맨해튼 프로젝트의 부산물이었다. 이 폭탄은 약 150년 전에 발견되었다고 처음 생각되었던 금속인 우라늄의 핵분열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철, 니켈, 코발트, 크로뮴의 조합과 소량의 텅스텐, 몰리브데넘, 탄탈럼, 나이오븀, 타이타늄,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초합금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고온(650°C (1,200°F) 이상)에서 작동하는 고성능 엔진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들은 이러한 조건에서 장기간 동안 강도의 대부분을 유지하며, 우수한 저온 연성과 부식 또는 산화 저항성을 결합한다. 초합금은 이제 육상, 해상, 항공우주 터빈, 화학 및 석유 공장을 포함한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 원자폭탄의 성공적인 개발은 새로운 원소 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노력을 촉발시켰는데, 이들 중 거의 모두가 금속이거나 금속일 것으로 예상되며, 모두 방사성이다. 1949년이 되어서야 96번 원소(퀴륨) 다음의 97번 원소(버클륨)가 아메리슘 표적에 알파 입자를 발사하여 합성되었다. 1952년, 100번 원소(페르뮴)는 최초의 수소폭탄 폭발 잔해에서 발견되었는데, 비금속인 수소는 약 200년 전에 원소로 확인되었다. 1952년 이후 101번 원소(멘델레븀)부터 118번 원소(오가네손)까지 합성되었다.
금속 유리(비정질 또는 유리질 금속으로도 알려져 있음)는 무질서한 원자 규모 구조를 가진 고체 금속 재료이며, 일반적으로 합금이다. 대부분의 순수 금속 및 합금 금속은 고체 상태에서 원자가 고도로 정렬된 결정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이들은 비결정질 유리 같은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창문 유리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인 일반 유리와 달리 비정질 금속은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가진다. 비정질 금속은 초고속 냉각, 물리 증착, 고체 반응, 이온 조사 및 기계적 합금화를 포함한 여러 방법으로 생산된다. 최초로 보고된 금속 유리는 1960년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생산된 합금(Au75Si25)이었다. 최근에는 기존 강철 합금보다 강도가 세 배 더 강한 비정질 강철이 생산되었다. 현재 가장 중요한 응용 분야는 일부강자성 금속 유리의 특수한 자기 특성에 의존한다. 낮은 자화 손실은 고효율 변압기에 사용된다. 도난 방지 ID 태그 및 기타 물품 감시 시스템은 이러한 자기 특성 때문에 금속 유리를 자주 사용한다.
형상기억합금(SMA)은 변형되면 가열 시 원래의 변형 전 모양으로 돌아가는 합금이다. 형상 기억 효과는 1932년 Au-Cd 합금에서 처음 관찰되었지만, 1962년에 Ni-Ti 합금에서 우연히 이 효과가 발견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상업적 응용 분야가 등장하는 데 10년이 더 걸렸다. SMA는 로봇 공학 및 자동차, 항공우주, 생체 의학 산업에 응용된다. 강한 자기장 하에서 모양이 변하는 또 다른 유형의 SMA인강자성 형상기억합금(FSMA)이 있다. 이 재료는 자기 반응이 온도 유발 반응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경향이 있어 주목받는다.
1984년 이스라엘 금속공학자단 셰흐트만은 알루미늄-망가니즈 합금에서 5회 대칭을 발견했는데, 이는 결정 구조가 2회, 3회, 4회 또는 6회 대칭만 가질 수 있다는 당시의 결정학적 관행을 위반하는 것이었다.[92] 과학계의 반응에 대한 우려 때문에 셰흐트만은 이 결과를 발표하는 데 2년이 걸렸으며, 이로 인해 그는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93] 이후 수백 개의 준결정이 보고되고 확인되었다. 이들은 많은 금속 합금(및 일부 고분자)에서 발견된다. 준결정은 주로 알루미늄 합금(Al-Li-Cu, Al-Mn-Si, Al-Ni-Co, Al-Pd-Mn, Al-Cu-Fe, Al-Cu-V 등)에서 발견되지만, Cd-Yb, Ti-Zr-Ni, Zn-Mg-Ho, Zn-Mg-Sc, In-Ag-Yb, Pd-U-Si 등 다른 많은 조성도 알려져 있다.[94]이코사헤드라이트 Al63Cu24Fe13는 자연에서 발견된 최초의 준결정으로, 2009년에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준결정은 낮은 전기 전도도(절연체 수준), 낮은 열전도도, 높은 경도, 취성, 내식성 및 비접착성 특성을 포함한 세라믹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준결정은 단열재, LED, 디젤 엔진 및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새로운 재료 개발에 사용되었다. 새로운 응용 분야는 일부 준결정 재료의 낮은 마찰 계수와 경도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입자를 삽입하여 강력하고 내마모성이 높은 저마찰 플라스틱 기어를 만들 수 있다. 다른 잠재적 응용 분야로는 전력 변환을 위한 선택적 태양 흡수체, 광대역 파장 반사체, 생체 적합성, 낮은 마찰 및 내식성이 요구되는 골 재생 및 보철 응용 분야 등이 있다.[94]
복합 금속 합금(CMA)은 수십 개에서 수천 개의 원자로 구성된 큰 단위 셀, 잘 정의된 원자 클러스터(종종 이십면체 대칭을 가짐), 결정 격자 내의 부분적 무질서를 특징으로 하는금속간화합물이다. 이들은 두 개 이상의 금속 원소로 구성되며 때로는준금속 또는칼코겐화물이 추가된다. 예를 들어 단위 셀에 348개의 나트륨 원자와 768개의 카드뮴 원자가 있는 NaCd2가 있다.라이너스 폴링은 1923년에 NaCd2의 구조를 설명하려고 시도했지만,[95] 1955년이 되어서야 성공했다.[96] CMA의 잠재적 응용 분야는 열 절연체, 태양열 난방, 자기 냉장고, 폐열을 이용한 전기 생산, 군용 엔진의 터빈 블레이드 코팅 등이 언급된다.[94]
AlLiMgScTi와 같은 고엔트로피 합금(HEA)은 5개 이상의 금속이 같거나 거의 같은 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엔트로피 합금"이라는 용어는타이완 과학자젠웨이 예가 만들었는데,[97] 이는 혼합물에 더 많은 원소가 존재하고 그 비율이 거의 동일할 때혼합 엔트로피 증가가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98] 다성분 합금, 조성 복합 합금, 다주원소 합금과 같은 다른 이름도 문헌에서 사용된다.[99][100] 이러한 합금은 잠재적으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현재재료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101] 더욱이, 연구에 따르면 일부 HEA는 기존 합금보다 상당히 더 나은강도-중량 비율, 더 높은파괴 저항성,인장 강도,부식 및산화 저항성을 가진다.[102][103][104] HEA는 1980년대부터 연구되어 왔지만, 2010년대부터 연구가 상당히 가속화되었다.[101][105]
MAX 상에서M은 초기전이 금속이고,A는 A족 원소(대부분 13족 및 14족 원소)이며,X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예로는 Hf2SnC 및 Ti4AlN3가 있다. 이러한 합금은 높은 전기 및 열전도율, 열충격 저항성, 손상 내성, 가공성, 높은 탄성 강성 및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진다.[106] 우수한 전기 전도성 때문에 금속 광택으로 연마할 수 있다. 일부 MAX 상은 화학적 공격(예: Ti3SiC2) 및 공기 중 고온 산화(Ti2AlC, Cr2AlC2 및 Ti3AlC2)에 매우 강하다. MAX 상 합금의 잠재적 응용 분야는 강하고 가공 가능한 열충격 저항성 내화물, 고온 발열체, 전기 접점 코팅, 및 핵 응용 분야를 위한 중성자 조사 저항성 부품이 언급된다.[107][108]
↑철의 또 다른 생명 유지 역할은헤모글로빈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폐에서 몸의 다른 부분으로 산소를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청동은 주로 구리로 구성된 합금으로, 일반적으로 약 12%의 주석을 포함하며 종종 다른 금속(예: 알루미늄, 망가니즈, 니켈 또는 아연)과 때로는 비금속 또는 준금속(예: 비소, 인 또는 규소)이 추가된다.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칼날 제작자들은 거의 검은색 배경에 밝게 에칭된 소용돌이 패턴으로 구성된 독특한 표면 패턴을 가진 칼과 검을 단조했다. 이 칼날은 전설적인 절단 능력을 가졌다. 제작자가 사용했던 철은 인도에서 공급되었으며, V, Mo, Cr, Mn, Nb와 같은 하나 이상의 탄화물 형성 원소를 포함했다. 이 무기에 대한 현대 분석 결과, 여러 원소가 탄소 나노튜브의 촉매 형성2를 지지했으며, 이는 차례로시멘타이트(Fe3C) 나노와이어의 형성을 촉진했음을 보여주었다. 탄소 나노튜브의 연성은 시멘타이트의 취성적인 특성을 상쇄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강철에 강도와 유연성의 독특한 조합을 부여했다.다마스쿠스 강이라고 불리게 된 것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지식은 18세기에 적절한 불순물 조합을 가진 광석 자원의 고갈로 인해 사라졌을 수 있다. 관련된 기술은 2009년까지 재발견되지 않았다.
↑Chiang, CK (1977). 《Transport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thiazyl bromides: (SNBr0.4)x》. 《Solid State Communications》23. 607–612쪽.Bibcode:1977SSCom..23..607C.doi:10.1016/0038-1098(77)90530-0.;Greenwood, NN; Earnshaw, A (1998). 《Chemistry of the Elements》. Oxford: Butterworth-Heinemann. 727쪽.ISBN978-0-7506-3365-9.;Mutlu, H; Theato, P (2021). 〈Polymers with sulfur-nitrogen bonds〉. Zhang, X; Theato, P (편집). 《Sulfur-Containing Polymers: From Synthesis to Functional Materials》. Weinheim: Wiley-VCH. 191–234 (191)쪽.ISBN978-3-527-34670-7.
↑Yonezawa, F. (2017). 《Physics of Metal-Nonmetal Transitions》. Amsterdam: IOS Press. 257쪽.ISBN978-1-61499-786-3.Sir네빌 프랜시스 모트 (1905–1996) wrote a letter to a fellow physicist,Prof. Peter P. Edwards, in which he notes... I've thought a lot about 'What is a metal?' and I think one can only answer the question at T = 0 (the absolute zero of temperature). There a metal conducts and a nonmetal doesn't.
↑Roe, J.; Roe, M. (1992). 《World's coinage uses 24 chemical elements》. 《World Coinage News》19. 24–25, 18–19쪽.
↑가나Siekierski, S.; Burgess, J. (2002). 《Concise Chemistry of the Elements》. Horwood. 60–66쪽.ISBN978-1-898563-71-6.
↑Mewes, Jan-Michael; Smits, Odile Rosette; Jerabek, Paul; Schwerdtfeger, Peter (2019년 7월 25일). 《Oganesson is a Semiconductor: On the Relativistic Band-Gap Narrowing in the Heaviest Noble-Gas Solids》. 《Angewandte Chemie》58. 14260–14264쪽.doi:10.1002/anie.201908327.PMC6790653.PMID31343819.
↑Cinca, Nuria; Lima, Carlos Roberto Camello; Guilemany, Jose Maria (2013). 《An overview of intermetallics research and application: Status of thermal spray coatings》.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and Technology》2. 75–86쪽.doi:10.1016/j.jmrt.2013.03.013.ISSN2238-7854.
↑van Hove, Ruud P.; Sierevelt, Inger N.; van Royen, Barend J.; Nolte, Peter A. (2015). 《Titanium-Nitride Coating of Orthopaedic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영어).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2015. 1–9쪽.doi:10.1155/2015/485975.ISSN2314-6133.PMC4637053.PMID26583113.
↑Beygisangchin, Mahnoush; Abdul Rashid, Suraya; Shafie, Suhaidi; Sadrolhosseini, Amir Reza; Lim, Hong Ngee (2021년 6월 18일). 《Preparation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Polyaniline and Polyaniline Thin Films—A Review》. 《Polymers》13. 2003쪽.doi:10.3390/polym13122003.ISSN2073-4360.PMC8234317.PMID34207392.
↑Wang, Yang; N. Mansour; A. Salem; K.F. Brennan; P.P. Ruden (1992). 《Theoretical study of a potential low-noise semimetal-based avalanche photodetector》. 《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28. 507–513쪽.Bibcode:1992IJQE...28..507W.doi:10.1109/3.123280.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name-list-style= (도움말)
↑Thornton, C.; Lamberg-Karlovsky, C. C.; Liezers, M.; Young, S. M. M. (2002). 《On pins and needles: tracing the evolution of copper-based alloying at Tepe Yahya, Iran, via ICP-MS analysis of Common-place item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29. 1451–1460쪽.Bibcode:2002JArSc..29.1451T.doi:10.1006/jasc.2002.0809.
↑Kaufman, Brett. 《Metallurgy and Archaeological Change in the Ancient Near East》. 《Backdirt: Annual Review》2011. 86쪽.
↑Akanuma, H. (2005). 《The significance of the composition of excavated iron fragments taken from Stratum III at the site of Kaman-Kalehöyük, Turkey》. 《Anatolian Archaeological Studies》14 (Tokyo: Japanese Institute of Anatolian Archaeology). 147–158쪽.
↑Georgius Agricola,De Re Metallica (1556) Tr. Herbert Clark Hoover & Lou Henry Hoover (1912); Footnote quoting De Natura Fossilium (1546), p. 180
↑Shechtman, D.; Blech, I.; Gratias, D.; Cahn, J. (1984). 《Metallic Phase with Long-Range Orientational Order and No Translational Symmetry》. 《Physical Review Letters》53. 1951–1953쪽.Bibcode:1984PhRvL..53.1951S.doi:10.1103/PhysRevLett.53.1951.
↑Pauling, Linus (1923). 《The Crystal Structure of Magnesium Stannid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45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777–2780쪽.doi:10.1021/ja01665a001.ISSN0002-7863.
↑Pauling, Linus (1955). 《The Stochastic Method and the Structure of Proteins》. 《American Scientist》43. 285–297쪽.JSTOR27826614.
Podosek F. A. 2011, "Noble gases", in H. D. Holland &K. K. Turekian (eds), Isotope Geochemistry: From the Treatise on Geochemistry, Elsevier, Amsterdam, pp. 467–492,ISBN978-0-08-096710-3.
Raymond R. 1984, Out of the fiery furnace: The impact of metals on the history of mankind, Macmillan Australia, Melbourne,ISBN978-0-333-38024-6
Rehder D. 2010, Chemistry in Space: From Interstellar Matter to the Origin of Life, Wiley-VCH, Weinheim,ISBN978-3-527-32689-1.
Russell A. M. & Lee K. L. 2005, Structure–property relations in nonferrous metals, John Wiley & Sons, Hoboken, New Jersey,ISBN978-0-471-64952-6
Street A. & Alexander W. 1998, Metals in the service of man, 11th ed., Penguin Books, London,ISBN978-0-14-025776-2
Wilson A. J. 1994, The living rock: The story of metals since earliest times and their impact on developing civilization, Woodhead Publishing, Cambridge,ISBN978-1-85573-1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