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금강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왕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디오 게임에 대해서는인왕 (비디오 게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호류지 중문 금강역사. 입을 닥친 것이 훔형(沔形)이요 벌린 것이 아형(阿形).


불교

금강역사(金剛力士,산스크리트어:वज्रपाणि바즈라파니)는불교의 수호신으로,인왕역사(仁王力士)라고도 한다. 손에 금강저(金剛杵)를 지니고 있는 불교의 수호신이나 보살이다.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문의 좌우에 서서 수문 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을 한다.[1]

8대금강

[편집]
  • 청제제금강
    청제제금강
  • 백정수금강
    백정수금강
  • 적성금강
    적성금강
  • 정제재금강
    정제재금강
  • 황수구금강
    황수구금강
  • 벽독금강
    벽독금강
  • 자현금강
    자현금강
  • 대신금강
    대신금강

석굴암의 금강역사상

[편집]

금강역사(金剛力士)는 불교에서 여래의 비밀 사적을 알아서 오백 야차신을 부려 현겁(賢劫) 천불의 법을 지킨다는 두 신이다. 절 문 또는 수미단 앞의 좌우에 세우는데, 허리에만 옷을 걸친 채 용맹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왼쪽은 밀적금강으로 입을 벌린 모양이며, 오른쪽은 나라연금강으로 입을 다문 모양이다.

석굴암 주실 입구의 좌우에 있는 금강역사상(金剛力士像) - 수문신장으로 악의 무리가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수문장의 역할을 한다.

밀적금강(좌) 과 나라연금강(우)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 (우리말샘) 금강역사 등
위키미디어 공용금강역사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붓다
기본 사상
세계관
삼계
십법계
미계(迷界)
오계(悟界)
경전
삼장
대장경
경장
율장
논장
부처님 당시
붓다
십대제자
부처
보살
기타 인물
종파
수행
수행 일반
수행
삼십칠도품
사무량심
삼학
계율
소승 불교
상좌부 불교
부파 불교
십바라밀
대승 불교
대승 불교
육바라밀
십바라밀
최상승선 불교
간화선
그 외
국가별 수행법
티베트 불교
수행 계위
각자(覺者)
사과
상가
사부중
칠부중
역사
문화
건축
기념일
미술
상징
성지
수행과 생활
기타
국가별
철학
기타
비교 종교
개념
목록
이 글은 불교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강역사&oldid=39284937"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