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436 | ||
![]() | ||
관측 정보 | ||
---|---|---|
별자리 | 사자자리 | |
적경(α) | 11h 42m 11.0941s[1] | |
적위(δ) | +26° 42′ 23.652″[1] | |
겉보기등급(m) | + 9.54[2] | |
절대등급(M) | + 10.63[2]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97.73 ± 2.27밀리초각[1] | |
거리 | 33.4 ± 0.8광년(10.2 ± 0.2파섹) | |
성질 | ||
광도 | 0.019L☉ | |
분광형 | M2.5 V (적색 왜성)[2] | |
추가 사항 | ||
질량 | 0.38±0.05M☉[3] | |
표면온도 | 3,318[3] | |
항성 목록 |
글리제 436은사자자리에 있는, 지구에서 약 33광년 떨어져 있는적색 왜성이다.2004년 기준으로 적어도 한 개의외계 행성이 이 별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확인되지 않은암석 행성 1개가 더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항성 모형에 의하면 글리제 436의 반지름은 태양의 47퍼센트 정도이며, 표면 온도는 3318켈빈이다.[3] 글리제 436은 태양보다 수십억 년 정도 더 늙은 것으로 보이며,중원소 함량(헬륨-4보다 더 질량이 큰 물질들의 함량)은 태양의 44퍼센트 수준에 불과하다.[4] 공전 속도는 초당 3킬로미터 수준이며채층의 자기장 활동은 미약한 수준이다.[2]
이 항성은은하좌표로U=+44,V=-20,W=+20 km/s의 값을 보이는, ‘늙은원반종족’의 일원이다.[2]
글리제 436 주위에는 확인된 외계 행성 1개가 있으며,글리제 436 b라는 명칭이 있다.
글리제 436 b의 공전주기는 2.6 지구일이며 지구에서 바라보았을 때 어머니 항성의 원반 위를 지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질량은지구의 22.2배이며 지름은 약 55,000 킬로미터인데, 이는 질량이나 반지름 모두 태양계의 얼음 가스행성인천왕성,해왕성과 흡사하다. 일반적으로도플러 효과로는 행성의 정확한 질량을 잴 수 없다. 값이 대상 천체의 정확한 질량이지만(여기서m은 행성의 실제 질량이며i는궤도경사각 - 해당 행성의 공전면과 지구 관찰자의 시선이 이루는 각도 - 이다) 공식에 있는 변수 값은 보통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글리제 436 b와 같은 경우는 궤도경사각을 알고 있기 때문에 실제 질량을 구할 수 있다. 436 b는 뜨거운 얼음층 위에수소와헬륨층이 덮여 있는 ‘뜨거운 해왕성’일 것으로 생각된다.[5]
2008년 "글리제 436 c"로 명명된 두 번째 행성이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글리제 436 c의 공전주기 5.2일에 궤도장반경은 0.045 천문단위였다.[6] 글리제 436 c의 질량은 지구의 5배에 반지름은 지구의 1.5배 정도로 여겨졌다.[7] 언론매체에서는 이 행성의 발표 공표 당시 ‘가장 작은 행성’으로 불렀으나, 실제로는 1992년 발견된, 펄사PSR B1257+12 주위를 도는 행성 세 개보다도 큰 질량을 갖고 있다. 크기를 고려하면 c는 암석 행성이다.[8] 2008년 4월 스페인 천문학자들은 글리제 436 b의 궤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글리제 436 c의 존재를 공표하였다.[7]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b의 통과시간은 변하지 않음을 알아냈으며, 이는 글리제 436 행성계에 대한 대부분의 가정을 배제시키는 결과였다. 따라서 글리제 436 c의 존재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9] c의 발견 사실은 2008년 보스턴에서 열린 통과행성 콘퍼런스(Transiting Planets conference)에서 완전히 철회되었다.[10]
|확인날짜=
는|url=
을 필요로 함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확인날짜=
는|url=
을 필요로 함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