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럽의발칸 반도 등을 바탕으로써,유럽,북아프리카,아시아의 교차점에 있는나라로,알바니아와는 북서 국경을,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와는 북쪽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동남쪽으로까지는튀르키예와도 접한다. 그리스 본토 동쪽에는에게해, 서쪽에는이오니아해가 있으며, 남쪽에는크레타만과지중해가 흐른다. 동쪽과 남쪽에는 1,400여 개에 달하는 섬과 바위가 흩어져 있다. 대표적으로크레타섬,로도스섬,산토리니섬이 있는키클라데스 제도 등이 있다. 해안선 길이는 13,676 km (8,498 mi)로 지중해 지역에서는 가장 길고, 세계에서 11번째로 길다. 그리스는냉전시기공산주의 국가와 인접하였고, 이른바 가상 적국이던튀르키예의 영향으로 말미암아,발칸반도에서부터 강력한군사력을 보유한 편으로,그리스군은유럽에서도 제법이나 강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1973년그리스 군사 정권이 무너지기 전까지는 연평균 7% 고속 성장을 이루어그리스의 경제 기적으로 불린다. 그 뒤 성장세는 꺾였으나 경제 성장률은 남유럽에서 높은 편에 속했으며, 1인당국민총생산도1949년에는 프랑스의 40%이 되었으나 2008년에는 98%에 달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실제 국민 소득은 크게 진보한 점 없어 현재 최저 임금은 시간당 3.5유로로 프랑스의 8.9유로 절반 이하이고, 평균 소득도 절반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다. 1인당 GDP는 17,000달러 수준이다.[1]
현대 그리스는고대 그리스 문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동로마 제국 시대 그리스인 후손이다. 근대까지는 그리스인 대신로마인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현재에도 그리스에서 로마인들이라 함은 자기 자신들을 가리킨다.민주주의와서양 철학,올림픽,서양 문학,역사학,정치학, 수많은 과학적ㆍ수학적 원리,희극이나비극 같은 서양희곡 등 서양 문명의 발상지로 변함없이 칭송되어 오고 있다.
'그리스'라는 국호는 세계 국가와 문화마다 칭하는 이름이 서로 다르다.한국어와영어,스페인어를 비롯한 대부분 언어는라틴어로 그리스 땅을 뜻하는 '그라이키아'(Graecia)에서 유래한그리스(Greece),그레시아(Grecia) 등으로 부르지만,튀르키예어,아랍어,페르시아어 등 서아시아 계열 언어에서는고대 페르시아어로 그리스를 일컫던 단어인이오니아(페르시아어:ایونیا)에서 따온유나니스탄(튀르키예어:Yunanistan), 알류난(아랍어:اليونان) 등으로 칭한다. 음차 표기로는희랍(希臘)이라고 일컫는다.
마니반도의아피디마 동굴에서는 약 20만년 전의 유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프리카 밖에서 발견된것 중 가장 오래된 초기 현대 인류(EMH) 유골 중 하나다.[2]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 유골이구인류를 대표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 그리스에서는석기 시대의 세 시기가 모두 나타나는데, 프랑크티 동굴이 그 예이다.[4] 기원전 7천년경에 형성된 그리스의신석기 시대 정착지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것인데,[5] 그리스가 농업이근동에서 유럽으로 전파되는 경로에 위치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6]
그리스는 유럽 최초의 고급 문명이 발달한 곳이자 서양 문명의 발상지로 여겨지며,[7][8]에게해의 섬들에서 기원전 3200년경에 시작된키클라데스 문명,[9]크레타에서 번성한미노스 문명(기원전 2700-1500년경),[10][11] 그리고 본토의미케네 문명(기원전 1600-1100년경)으로 이어진다.[11] 이들 문명은 문자를 사용하였으며, 미노스 문명은 아직 해독되지 않은선형문자 A를 사용했고, 미케네 문명은선형문자 B로그리스어의 가장 초기 형태를 기록하였다.[12]히타이트 및이집트의 기록은 동시기 그리스 본토를 중심으로 한 "위대한 왕"이 지배하는 단일 국가의 존재를 시사한다.[13][14]
도리스인들에 의해미케네 문명이 붕괴된 이후 일정 기간 동안 문헌 기록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 시대가 있는데, 이를그리스 암흑기라 한다. 암흑기의 끝은 전통적으로 첫 번째올림픽 경기가 열린 해인 기원전 776년으로 여겨진다.[15] 서양 문학의 기초가 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 역시호메로스에 의해 기원전 7세기 또는 8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6][17] 시문학은올림포스 신들에 대한 믿음을 형성했지만,고대 그리스 종교에는 사제 계급이나 체계적인 교리가 없었고,디오니소스 숭배와 같은 대중적 숭배,신비주의 및 마술 등의 형태로 숭배되었다.[18] 이 시기에 그리스 반도 전역에 걸쳐 왕국과폴리스들이 등장했는데, 도리스인들은 미케네인들보다 지배적인 성격이 강한 스파르타 등 일종의 귀족적인폴리스들을 건설했다. 그러나 아테네처럼 과거의 미케네 문명을 간직한 폴리스들도 있었다. 이들은흑해 연안,남이탈리아의마그나 그라이키아,소아시아까지 확산되었다. 이러한 폴리스들은 건축, 드라마, 과학, 수학, 철학 등에서 표현된 고전 그리스의 전례 없는 문화적 번영을 이루었다. 기원전 508년,클레이스테네스는아테네에서 세계 최초의 민주주의 정부 체제를 도입했다.[19][20]
기원전 500년경,페르시아 제국은 소아시아와마케도니아에 있는 그리스 폴리스들을 지배하고 있었다.[21] 소아시아의 그리스 폴리스들이 페르시아의 지배를전복하려는 시도도 몇 차례 있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으며, 페르시아는 기원전 492년에그리스 본토의 폴리스들을 침공했으나, 기원전 490년마라톤 전투에서 패배한 후 철수해야만 했다. 이에 대응하여, 그리스 폴리스들은 기원전 481년에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동맹을 결성했는데, 이는트로이 전쟁의 신화적 동맹 이후 최초로 기록된 그리스 국가들의 연합이었다.[22][23]그리스에 대한 페르시아의 두 번째 침공은 기원전 480-479년에 벌어졌는데 페르시아가살라미스와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페르시아가 유럽의 모든 영토에서 철수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그리스가 승리한 것 이후 50년간의 평화는 아테네의 황금기로 알려져 있으며,[24] 이 시기는 서양 문명의 많은 기초를 놓은 중요한 시기였다.
그러나 그리스 폴리스들은 정치적으로 통일되지 않았고, 폴리스간에 빈번한 갈등을 초래하였다. 전쟁 승리의 주역인 아테네는델로스 동맹의 맹주로써 번영을 누렸다. 이를 마땅치 않게 여겼던 스파르타는 역시펠로폰네소스 동맹들을 맺은 뒤 아테네와 대립했다. 가장 대표적인 내전은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으로, 이 전쟁은 델로스 동맹의 몰락과스파르타, 그리고 이후테베의 패권을 가져왔다.[25] 기원전 4세기 동안 지속된 끊임없는 전쟁으로 인해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점차 약화되었고, 결국 마케도니아의 왕필리포스 2세에 의해코린토스 동맹으로 흡수되었다.[26]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2세가 암살된 후, 그의 아들이자 마케도니아의 왕인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 제국을 상대로 하는 범그리스 원정을 이끌어 결국 페르시아 제국을 정복했다.[27] 전투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은 그는 기원전 323년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인더스강까지 진군하였다. 알렉산드로스의 제국은 그의 사후 분열되었고, 이로써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다.알렉산드로스의 뒤를 이은 장군들과 그들의 후계자들은치열한 내부 갈등 끝에 이집트의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이란의셀레우코스 제국 등 자기들이 정복한 지역에 왕국을 세웠다.[28] 이러한 왕국들에 새롭게 설립된 폴리스, 예를 들어알렉산드리아와안티오키아 등지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은 통치 소수 집단의 일원으로서 그리스 문화와 함께 '코이네 그리스어'로 알려진 그리스어 방언을 전파하였다. 이와 동시에 그리스인들은 동방의 종교를 수용하여헬레니즘 종교를 만들었다.[29] 헬레니즘 시대 동안 그리스의 과학, 기술, 수학은 정점에 도달하였다. 마케도니아의안티고노스 왕조로부터 자치와 독립을 유지하려는 열망으로 많은 그리스 폴리스는 코이나 또는심폴리테이아이, 즉 연합을 결성하였다. 한편 동방과의 경제적 관계가 확립된 후에는 부유한 이들이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에우에르게테스주의가 자리잡았다.[30]
기원전 200년경부터로마 공화국은 그리스의 내정에 점점 더 개입하게 되었고,마케도니아와 일련의 전쟁을 벌였다.[31] 결국 기원전 168년피드나 전투에서 마케도니아가 패배하면서 안티고노스 왕조의 권력은 종말을 맞이했다.[32] 기원전 146년, 마케도니아는 로마의 속주로 병합되었고, 그리스의 나머지 지역은 로마의 보호국이 되었다.[31][33]
이 과정은 기원전 27년,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나머지 그리스 지역을 병합하여아카이아라는 속주로 편입하면서 완료되었다.[33] 로마인들은 비록 자신들의 국력이나 군사력이 더 우세했음에도 그리스 문화를 높이 여겨 그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34]
헬레니즘화된 동방의 그리스어 공동체는 2세기와 3세기에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5]초기 기독교 지도자들과 작가들은 그리스 출신이 아니었음에도 대부분 그리스어를 사용했다.[36]신약성경은 그리스어로 작성되었으며, 당대 그리스 지역의 교회들이 주요한 교회였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의 많은 지역은 여전히 이교를 고수했고, 고대 그리스 종교 관습은 4세기 후반까지도 성행했다.[37] 이들은 391-392년 로마 황제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금지되었다.[38] 마지막으로 기록된 올림픽 경기는 393년에 열렸으며,[39] 그 후 한 세기 동안 많은 사원들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40][41] 529년,유스티니아누스 황제에 의해 아테네의신플라톤 학파아카데미가 폐쇄된 것은 고대의 종말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지지만, 아카데미가 계속 유지되었다는 증거도 있다.[40][42]
제국의 발칸 지역, 특히 그리스는게르만족의 침략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44] 4세기와 5세기에고트족과훈족의 습격, 7세기에는슬라브족의 침입으로 인해 그리스 반도에서 동로마 제국의 권위가 붕괴되었다.[45] 제국 정부는 섬들과 해안 지역, 특히 아테네,코린토스,테살로니키와 같은 인구가 밀집된 성곽 도시들만을 통제할 수 있었다.[45][46][47] 그러나 현대에는 그리스가 쇠퇴, 분열, 인구 감소를 겪었다는 견해를 낡은 것으로 보고, 4세기부터 6세기까지의 도시는 제도적 연속성과 번영을 보여준다 해석하는 것이 우세하다. 6세기 초, 그리스에는 약 80개의 도시가 있었고,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번영한 것으로 여겨진다.[48]
8세기까지 거의 모든 현대 그리스 지역은 로마의성좌의 관할 아래 있었다. 동로마 황제레오 3세는 8세기에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구의 경계를 서쪽과 북쪽으로 확장했다.[49]아랍-동로마 전쟁 동안 8세기에 시작된 잃어버린 속주들의 회복으로 대부분의 그리스 반도가 다시 제국의 통제하에 들어왔다.[50][51] 이 과정은시칠리아와 소아시아에서 그리스인들이 대거 유입되었고, 많은 슬라브족이 포로로 잡혀 소아시아로 재정착되면서 촉진되었다.[46] 11세기와 12세기에 안정이 회복되면서 그리스 반도는 경제 성장을 누렸다.[50] 그리스 정교회는 그리스 사상을 더 넓은 정교 세계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2]
14세기에 동로마 제국은 그리스 반도의 대부분을세르브인들과 이후오스만 제국에게 빼앗겼다.[60] 1453년오스만 제국이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여 로마 제국은 멸망했다. 오스만의 지배 직전에 그리스의 지식인들이서유럽으로 이주하면서 고대 그리스의 지적 유산을 전해주면서서유럽 르네상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서 이슬람교 개종은 원칙적으로 자유였으며, 개종을 거부한 그리스도 교도들은 동로마 시대의 농민이나 봉건제하의 농노보다 조금 나은 생활을 감수해야 하였다.[61] 그렇지만 오스만 제국의밀레트 제도 덕분에그리스 정교를 믿는 본토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타지 사람과 섞이지 않고 결속을 유지하며 이후 현대 그리스의 정체성을 창출할 수 있었다. 1460년까지 그리스 본토의 오스만 정복이 완성되었다.[62] 이후 독립할 때까지 그리스는 역사에서 개별국가로 존재하지 않았다.
1923년부터 12년간 공화제가 실시되었다.1940년 10월 28일,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그리스에 항복을 요구했으나 그리스의 독재자요안니스 메탁사스가 거부하여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했다. 그리스는 이탈리아군을알바니아로 몰아내어추축국에 대한 첫 지상전 승리를연합국에게 안겨주었다. 그러나, 이 전쟁 직후 이탈리아와 연합한나치 독일이 재침공하여1941년4월 말에 그리스 영토의 거의 대부분이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독일 점령군에 대한그리스 저항군의 저항은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2년 후인1947년 그리스 북부에서 왕정에 반대하는공산주의게릴라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2년 만에 진압되었다. 그리스는마셜 계획으로 전후 복구를 이루고냉전이 종식된1990년대 초까지 좌파 세력이 전반적인 열세에 있었음에도, 30여 년간 군부세력의 쿠데타 등 정정 불안과 전쟁, 그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좌우파 간 심각한 사회 갈등을 겪었다.
그리스는 1980년에 다시북대서양 조약기구에 가입했다. 1999년 여름에 그리스와 튀르키예 두 나라를 강타한 지진 이후로 지난 십여 년간 양국 관계도 상당히 호전되었다. 오늘날 그리스 정부는 튀르키예의 유럽 연합 가입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리스는 1981년 1월 1일유럽 연합에 10번째로 가입했고, 그때부터 경제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 유럽 연합의 기금과 늘어나는 관광 수입, 해운업과 성장하는 서비스 부문 덕분에 기업과 인프라에 광범위한 투자가 이루어져 그리스의 생활 수준은 전례없이 높아졌다. 2001년유로화가 도입되었고, 2004년아테네 올림픽도 성공적으로 치렀다. 2008년에는 경찰의 총격으로 시민이 사망한 사건에 분노한 시민들에 의해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63]
그리스 4/5는 산지나 구릉이며 유럽에서 가장 산지가 많은 나라다. 유사 이래 그리스 문화의 중요한 장소였던올림포스산에서 가장 높은미티카스봉은 높이가 그리스에서 가장 높은 2,917m에 이른다. 한때 신들의 옥좌로 여겼던 이 산은 오늘날 등산가 사이 인기가 매우 높다. 서부 그리스 지역에는 호수와 습지가 많으며핀도스산맥이 있다. 핀도스산맥은 발칸의디나르알프스산맥의 연장으로, 가장 높은스몰리카스봉은 높이가 2,637m이다. 비코스 아오스 협곡은 장대한 모습으로 스포츠 마니아에게 인기 있는 행락지다.
케르키라섬의 폰티코니시와 블라헤라이나 수도원.리토코로에서 본 올림포스 산의 모습.그리스 중부의 메테오라
산계는 중앙펠로폰네소스를 지나 에게해 남서쪽의키티라섬과 안티키티라섬으로 이어져서크레타섬에서 끝난다. 에게해 섬들은 과거 그리스 본토에 속했던 지금의 해저 산맥의 봉우리들이다.핀도스산맥은 높고 가파른 봉우리로 유명하며, 협곡과 다양한 카르스트 지형을 보인다. 특히 정교 수도원이 많은메테오라에는 높고 경사가 급한 바위 지형으로,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에게 놀라운 경험을 제공한다.
대부분 그리스의 강은 얕고 계절에 따라 말라서 항해에 부적합하다. 가장 긴 강은 북부의할리아몬강이다
그리스 북동부에도동마케도니아 트라키주의 접경으로로도피산맥이 있다. 이 지역에는 울창한 원시림이 있다. 유명한 다디아 숲은 그리스의 북동부 멀리에브로스에 있다.
테살리아,중앙마케도니아,서트라키아에는 넓은 평야가 있다. 이곳은 그리스에서 얼마 안 되는 경작하기 좋은 농지일 뿐 아니라 중요한 경제 지역이다.
그리스 기후는 세 가지가 있다. (지중해성, 고산, 온대)핀도스산맥 때문에 그리스 서부 지역은 동부보다 평균적으로 더 침윤(浸潤)하다. 지중해성 기후 영향으로 겨울은 온난 다습하고, 여름은 고온 건조하다. 키클라데스, 도데카니사, 크리티, 펠로폰네소스 동부, 중부 그리스 일부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스는 산지가 많고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리지만, 해안 지역 기온은 극단으로 오르내리지 않는다. 도데카니사나 키클라데스제도에서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리스 북서부 지역(이피로스주,중앙그리스,테살리아,서마케도니아주)은 고산 기온이 지배적이다. 핀도스 산맥이 지나는아하이아,아르카디아, 일부라코니아 등 펠로폰네소스 중부 지역도 마찬가지 기후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온대 기후는중앙마케도니아주,동마케도니아 트라키주에 영향을 주는데, 겨울에 춥고 다습하며 여름에 덥고 건조하다. 아테네는 지중해성 기후와 온대 기후 사이다. 이 도시 북부 교외 지역은 온대 기후를 보이지만, 시가지나 남쪽 교외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다. 아테네 낮은 찌는 듯이 덥지만, 저녁은 시원해서 야외생활과 야간생활이 발달했다.
1980년 이래 그리스의 도로망과 철도망은 매우 현대화되었다. 중요한 사업 중에는에그나티아 고속도로(Εγνατία Οδός,)가 있는데 이 도로는 북서부 그리스의이구메니차항에서 그리스-튀르키예 국경이 있는키피를 잇고 있다.리오-안티리오 다리(유럽에서 가장 긴사장교. 2,250m)는펠로폰네소스 서부의 리오(파트라에서 7 km)와 그리스 중부 본토의안티리오을 연결한다. 그리고 파트라-아테네간 국도를 2014년까지 펠로폰네소스 서부피르고스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다. 그리스에서테살로니키로 가는 고속도로는 이미 완성되었다.
수도아테네의 도시 구역에는 2001년새 국제 공항이 들어섰고, 같은 해 민간이 운영하는 교외 국도인아티키 도로도 개설되었으며, 2000년부터지하철망이 확대되었다.
그리스 대부분의 섬과 그리스의 주요 도시는 항공편으로 연결되며,올림픽 항공과에게 항공 두 주요 항공사가 있다. 해운 분야에서는수중익선이나쌍동선(catamaran) 등 현대적인 고속 선박이 발달했다. 철도의 역할은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부족한 편인데, 그러나 아테네 주변 새로운 교외 지역 연결이나 아테네-테살로니키간 철도망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2,500km의 철도망 중 많은 곳에서 복선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간 철도는 그리스 도시와 발칸, 튀르키예를 이어준다.
그리스는대통령제를 채택한공화국이다.대통령은 5년 임기로의회에서 선출된다.[64] 현행 헌법은 제5차 그리스 개헌 의회에서 채택한 것으로, 7년간의 군부 독재(1967-1974)가 무너지고 1975년에 발효되었다. 그 후 1986년과 2001년에 두 번 개정된 바 있다. 120개의 조항으로 된 헌법은삼권 분립, 시민 자유와사회권의 광범위한 보장(2001년에 더욱 강화되었다.)을 담고 있다.[65]
입법권은 300명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에서 행사한다.[66] 의회에서 통과한 법령은 대통령이 반포한다.[67] 의회 선거는 4년마다 실시되나, 특별히 중요한 국가적인 문제 때문에 내각의 제안이 있으면 대통령이 의회를 해산하게 되어 있다.[68] 야당이 불신임 결의를 통과하려 할 때 대통령은 그 전에 의회 해산을 명할 수 있다.[69] 여성 투표권은 1952년 헌법 개정때 보장되었다.
사법권은 행정부와 입법부에서 독립되어 세 개의 최고 법원이 있다. 사법부는 3심제도로서 대법원, 고등법원, 하급법원으로 구성되며, 행정부의 위헌 여부 및 행정권 남용을 최종적으로 심판하는 특별재판소가 따로 있다.
그리스는발칸반도에서 제일 강력한 규모의 군대를 보유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상비군의 수는 약 177,600명이며, 예비군의 수는 약 280,000명 정도이다. 그리스군은 구 냉전 시절부터 공산주의 국가에 둘러싸여 있었고 가상의 적국인 튀르키예가 옆에 자리잡고 있어 발칸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포병 화력은 EU 국가 중 수준급으로 꼽힌다. 그리스 육군의 공식적인 명칭은 엘리니쿠스 스트라토스 (Ελληνικός Στρατός, Hellenic Army)이며, 병력은 3.5세대 전차를 353대, 2세대 전차를 520대, 1세대 전차를 390대 정도 보유하고 있으며 장갑차는 2,671대, 박격포는 4,065문, 수송 차량은 11,331대 정도를 보유한 강력한 군대를 유지하고 있다. 공군은 4세대 전투기를 200기, 3세대 전투기를 57기, 2세대 공격기를 51기, 조기경보관제기를 4기, 헬리콥터를 254기 정도 보유하고 있다. 그리스 해군은 발칸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4,000톤급 호위함을 13척, 초계함과 고속정을 33척, 잠수함을 8척 정도 보유하고 있다.
그리스 정부의 통계 부서는그리스 국립 통계국(NSSG)이다. 국립 통계국에 따르면 2001년 그리스의 총 인구는 10,964,020명이었다. 여기서 남성은 5,427,682명, 여성은 5,536,338명이다. 1971년, 1981년, 2001년 통계를 살펴보면 그리스의 인구는 지난 수십여 년간 점차 늙어가고 있다. 그리스의 여성 1인당합계출산율은2004년 현재 (유럽 통계청 추정) 1.29명으로유럽연합 내에서도 낮은 편이다. (1981년에는 1,000명당 14.5명이었으며, 2003년 출산율은 1,000명당 9.5명이었다.) 또 사망률도 1981년 1,000명당 8.9명에서 2003년 1,000명당 9.6로 약간 올랐다.2005년 현재 1,000명당 출산율은 9.4명, 1,000명당 사망율은 9.2명으로, 간신히 자연증가 상태에 있다.
2001년 인구의 16.71%가 65세 이상이었으며, 68.12%는 15세에서 64세 사이였고, 15.18%는 14세 이하였다. 그리스 사회는 시간에 따라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혼인율은 1981년부터 2002년까지 1,000명당 71명으로 계속 떨어지다가 2003년에 1,000명당 61명으로 약간 늘었다가 2004년에 다시 51명으로 떨어졌다. 이혼율은 계속 늘었는데, 1991년 결혼 1,000건당 191.2건이었다가 2004년에는 1,000건당 239.5건으로 집계되었다. 그리스 인구의 거의 2/3은 도시 지역에 산다. 2001년 그리스의 큰 도시로는아테네,피레아스,파트라,이라클리오,라리사,볼로스가 있다.
20세기에 수백명의 그리스인들이미국,영국,오스트레일리아,독일로 이민 가서그리스 디아스포라 인구는 오늘날 거의 6백만 명에 달한다. 그러나 80년대부터 그리스 경제가 발전하자 오히려 외부에서 이민이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스 이민 정책과 실행, 데이터 수집이 복잡하기 때문에 그리스의 이민자 인구를 완벽하게 수합하기 곤란하며 상당부분 추측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지중해 이민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그리스 국립 통계국의 2001년 인구조사에서 그리스 시민권 없이 그리스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가 762,191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전체 인구의 약 7%이다. 또 이들 중 48,560명은 유럽연합이나유럽자유무역연합(EFTA) 국가에서 왔으며, 특별 자격으로 키프로스인 17,426명이 있다고 한다.알바니아,불가리아,루마니아 이들 발칸 국가에서 온인구가 전체 외국인의 2/3을 차지한다. 구 소련(조지아,러시아,우크라이나,몰도바 등) 출신 이주자도 총 외국인 중 10%를 차지한다.
非유럽연합 이주자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아테네 지역이다. 약 132,000명에 이르며 지역 인구의 17%를 차지한다. 테살로니키는 두 번째로 외국인이 많은 곳으로 지역 주민의 7%인 27,000여명이 산다. 그 다음으로는 대도시 근교나 농업 지대가 있다. 또알바니아인은 전체 이민자의 56% 정도 되며,불가리아인(5%),조지아인(3%),루마니아인(3%), 기타(튀르키예인,아랍인 등)도 있다.미국,키프로스,영국,독일은 총 외국인 인구에서 각각 2% 정도이다. 나머지 690,000여 명은 非유럽연합 이민족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그리스에 거주하는 외국 인구(기록과 추정을 합해)는 그리스 혈통의 이민자까지 포함해서 사실상 8.5% 혹은 10.3%로 집계되며, 대략 1,150,000여 명에 달한다.
오늘날 그리스는 언어상 비교적 동질적인 사회이다. 토착 인구 대다수가그리스 문자를 쓰는그리스어를 구사한다. 트라키아에는튀르키예어,불가리아어(포막),루마니아어를 쓰는 소수의 무슬림들이 있는데 이들은 전체 인구의 0.95%에 불과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집시어도 쓰인다.
그리스 여러 지역에서 더욱 소수인 언어도 분포한다. 20세기에 그리스어 사용인구와 동화되면서 이들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수도 아테네 근교 시골 지역에 주로 사는 알바니아어를 쓰는 집단아르바니테스 그리고 알바니아어와 밀접히 연관된 언어를 쓰며 중부 그리스의 산지 곳곳에 살고 있는블라크(Vlach)라고도 하는아로마니아인과모글레니테스인들이 바로 그들이다.
이런 집단은 인종적으로 그리스인과 동일시되며 오늘날 모두 모국어와 더불어 그리스어를 함께 구사한다. 이제 많은 지역에서 이들의 전통 언어는 늙은 세대가 겨우 유지하고 있으며 사멸 위기에 처해있다.
그리스 북쪽 접경에는슬라브어를 쓰는 집단이 있는데, 인종적으로는 대개 그리스인에 속한다. 이들의 방언은 언어학적으로 (지역에 따라슬라보마케도니아어 혹은슬라브어라고 하는)마케도니아어 혹은불가리아어(트라키아의 불가리아어계 무슬림이 쓰는포막과는 다르다)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스의유대인 집단은 에스파냐계 유대어인라디노어를 쓰며, 오늘날 겨우 수천 명만 남아있다.
그리스어 사용 인구 중에는폰토스 그리스어를 쓰는 집단도 있는데, 이들은 오스만 제국의 박해를 받고 소아시아에서 이주한 사람들로 꽤 큰 집단을 이룬다.
독일어,영어,프랑스어는 관광지와 호텔에서 통용된다. 그리스는 2004년에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준회원국이 되었고, 2006년에는 정회원국이 되었다.
그리스헌법에서 모든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그리스 정교회에 대해 이 나라의 "우세한" 종교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스에서동방 정교회는오스만 투르크의 점령 시절 그리스인들의 의지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지금도기독교는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스 정부는 종교에 대해 통계를 작성하지 않고 있다. 그리스 국무부에 따르면 97%의 그리스 시민이 자신을그리스 정교회 신자라고 여겼다고 한다. 그러나유럽 위원회의 통계 부서인유럽 통계국(Eurostat)에 따르면 2005년 유로바로미터 설문조사에서 신의 존재를 믿는다고 답한 그리스 시민은 81%였는데,몰타,키프로스와 함께 유럽연합 국가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치였다.로마 가톨릭교회에 소속된 그리스인은 50,000여명이며, 이민자 출신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는 200,000여명이다.성공회[70]와개신교 신자도 소수 있다.[71]
그리스에서유대교는신약성서인사도행전의 성 바울의 선교이야기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2,000년 넘게 존재했다.스파라드 유대인들은테살로니키(데살로니가, 데살로니카)에 상당한 집단을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2차 세계대전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계 그리스인 집단은 대략 5,500명 정도로 집계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는그리스 경제 기적을 이룬다. 1950년에서 1973년 사이 GDP는 평균 7%로 성장했다.[72] 그리스는유럽 연합의 기금을 지원 받는 동안 수많은 구조/재무 개혁을 시행했다. 2001년 그리스는 유로존에 가입했다. 그리스의 GDP 연간 성장률은 유럽 연합내 대부분의 국가 수준을 상회한다. 오늘날 서비스업은 그리스 경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중요 산업이며 다음으로 기타 산업과 농업이 있다. 관광업은 외화 수입의 주요 원천이며, 그리스 총 GDP의 15%를 차지하는데다 총 노동 인구의 16.5%가 직간접적으로 여기에 종사한다.
그리스는 발칸반도 국가 중 선도적인 투자국으로, 2006년 국립 그리스 은행은 튀르키예피난스뱅크의 46%,세르비아 Vojvođanska 은행의 99.44%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다. 제조업은 GDP의 13%이며, 이 중 음식 산업이 주도적이다. 공공 부문은 GDP의 40%인데, 정부에서는 이 비중을 더 줄이고 있다. 첨단 기술 장비 생산(특히 텔레커뮤니케이션)도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이다. 다른 주요 산업으로는 섬유, 건축 자재, 기계, 운송 장비, 전자 제품 등이 있다. 건설업은 GDP의 10%로 2004년아테네 올림픽으로 건설붐이 일어났으며, 이 나라 경제의 기둥 역할을 하고 있다. GDP 7%의 농업 부문도 중요하다. 그리스의 노동 인구는 총 490만 명으로,OECD 국가 중대한민국 다음으로 많다.그로닝엔 성장 개발 센터는 1995~2005년새 그리스는 유럽 국가 중 시간 대비 노동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라고 밝힌 바 있다.
그리스 노동자는 연간 평균 1,900 시간을 일한다. 그 다음은에스파냐가 있다. (연간 평균 1,800 시간) 2007년 노동시간당 GDP는 20$로 에스파냐와 비슷하며, 미국의 시간당 평균 임금의 절반을 약간 넘는 수치이다. 이민자들은 노동력의 거의 1/5을 차지하며 농업과 건설업에 주로 종사한다.
그리스의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는 세계 28위이다. 1인당 gdp는 아직 낮은 17.890달러이다 2006년 그리스는인간개발지수 18위를 차지했으며, 2005년이코노미스트지의 세계 삶의 질 지수에서 22위를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지 조사에 따르면 아테네의 생활비는 뉴욕의 비용에 90%에 근접하며, 시골 지역은 이보다 더 낮았다. 하지만 낮은 1인당 gdp로 높은 물가에 허덕인다.
해운업은 예로부터 그리스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오늘날 해운업은 이 나라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다. GDP의 4.5%를 이루며, 160,000여명을 고용하고 있고(전체 노동력의 4%), 이 나라 무역 적자액의 1/3에 해당한다.
1960년대 그리스 선박의 규모는 거의 두 배로 늘었는데, 주로 해운 재벌오나시스와니아르코스의 투자 때문이었다. 현대 그리스 해운 산업의 기반은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형성되었는데, 이때 그리스 해운업자들은 1940년대 미국의 선박 판매법에 따라 미국 정부가 이들에게 판매한 잉여 선박들을 끌어모을 수 있었다. 미국 교통부 교통통계국(BTS)에 따르면, 그리스 소유의 해운 선박은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데, 세계 선박 용량(총 141,931,000dwt)의 18%인 3,079척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선박 종류로 보면, 그리스는유조선이나 드라이벌크선에서 1위이고,컨테이너선은 4위, 다른 배 종류도 4위이다. 그러나 오늘날 선박 수는 1970년대 말 최대 5,000척에서 줄어든 것이다.
그리스에서 광대역 인터넷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일반 인구의 약 13.4%가 광대역으로 인터넷(주로 ADSL2)에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 접속, 사무, 멀티플레이 게임이 가능한인터넷 카페도 그리스에서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다. 휴대전화 네트워크상의 모바일 인터넷이나 와이파이 핫스팟도 있으나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그리스의 전략적 위치, 우수한 노동력, 정치적/경제적 안정 덕분에에릭슨,지멘스,SAP,모토롤라,코카콜라 등 여러 다국적 회사가 지역 연구개발(R&D) 본부를 그리스에 두고 있다.
그리스 개발부의 연구기술일반과에서는 국가 연구 기술 정책을 설계, 시행, 감독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2003년 연구 개발에 45,637만 유로의 공적 자금을 투입했다.(이는 2002년보다 12.6% 증가한 것이다) 공공과 민간 부문 모두 아울러 GDP 대비 총 연구개발 지출은 1989년에 0.38%에서 2001년에는 0.65%로 지난 십 여년간 눈에 띄게 늘었다. 그리스의 연구개발 지출은 아직 유럽 연합 평균치인 1.93%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지만,OECD와 유로스탓 자료에 따르면 1990년에서 1998년 사이 그리스의 총 연구개발 지출은핀란드와아일랜드 다음으로 유럽에서 3위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인큐베이터 시설을 갖춘 그리스의 기술 단지로는 크리티 과학기술 단지(이라클리오), 테살로니키 기술 단지, 라브리오 기술 단지, 파트라 과학 단지 등이 있다. 그리스는 2005년부터유럽우주국(ESA)의 회원국이다. 그리스 국가 우주 위원회는 1990년대 초부터 유럽우주국과 협력을 시작했다. 1994년 그리스와 유럽우주국은 첫 제휴 협약을 맺었다. 2003년 공식적으로 정식 회원에 신청하여, 그리스는 2005년 3월 16일 유럽 우주국의 16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유럽우주국 회원국으로서 그리스는 우주국의 통신, 기술 활동,세계 환경 및 안보 모니터링에 참여하고 있다.
그리스에서초등학교(Δημοτικό Σχολείο, Dimotikó Scholeio)와김나지움(Γυμνάσιο)은 의무 교육이다.탁아소(Παιδικός σταθμός, Paidikós Stathmós)는 의무는 아니지만 많이 이용한다.유치원은 현재 4세 이상 유아에게 의무가 되었다. 아이들은 6살 때 초등학교에 입학하며 6년간 다닌다. 김나지움은 12살에 들어가며 여기서 3년간 공부한다. 그리스의 의무 중등 교육 이후에는 두 가지 학교 유형으로 진로를 정할 수 있다. 상급 중학교(Ενιαίο Λύκειο, Eniaia Lykeia)와 기술 직업교육 학교(Τεχνικά και Επαγγελματικά Εκπαιδευτήρια, "TEE")이다. 여기에는 직업 교육 기관(Ινστιτούτα Επαγγελματικής Κατάρτισης, "IEK")도 있는데, 하급 중학교(Gymnasio)와 상급 중학교(Lykeio)를 졸업한 학생들이 여기에 오면 정해진 특정한 교육 단계로 구분되지 않는 교육 방식으로 가르친다.
공공 고등 교육으로는 "최고 교육 기관"(Ανώτατα Εκπαιδευτικά Ιδρύματα, Anótata Ekpaideytiká Idrýmata, "ΑΕΙ")과 "최고 기술 교육 기관"(Ανώτατα Τεχνολογικά Εκπαιδευτικά Ιδρύματα, Anótata Technologiká Ekpaideytiká Idrýmata, "ATEI") 이 두 가지 대학교 유형이 있다. 학생들은 상급 중학교(lykeio) 3학년 과정을 수료하고 국가 시험을 쳐서 대학에 입학한다. 22세 이상의 학생들은 추첨 형식으로그리스 개방 대학교에 입학한다.아테네 대학교는 동지중해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그리스의 교육 제도는 학습 장애나 다른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 유치원, 초중등 학교도 둔다.음악,신학,체육 분야의 전문 김나지움이나 고등학교도 있다.
관광업은 그리스의 소득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2004년 그리스는 1,650만 여명의 관광객을 맞아들였다. 2005년중국의 조사에 따르면 그리스는 중국인이 선호하는 관광지로 뽑혔으며, 수도아테네에만 6,088,287명이 방문했다. 2006년 11월 중국과 비슷하게 오스트리아도 그리스를 선호 관광지로 발표했다. 2007년 그리스는 1,9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아와 세계 관광지 중 상위 10위에 들었다.로도스섬은 유럽 관광객들이 가장 좋아하는 관광지로 선정되었다. 다른 유명한 명승지로는아테네, 북부할키디키반도,이오니아 제도의케르키라,미코노스,산토리니,파로스,크레타 등이 있다.
↑Marie-Antoinette de Lumley, Gaspard Guipert, Henry de Lumley, Natassa Protopapa, Théodoros Pitsios, Apidima 1 and Apidima 2: Two anteneandertal skulls in the Peloponnese, Greece, L'Anthropologie, Volume 124, Issue 1, 2020, 102743, ISSN 0003-5521,https://doi.org/10.1016/j.anthro.2019.102743보관됨 10 6월 2024 -웨이백 머신.
↑Ricardo Duchesne (2011년 2월 7일).《The Uniqueness of Western Civilization》. BRILL. 297쪽.ISBN978-90-04-19248-5.The list of books which have celebrated Greece as the "cradle" of the West is endless; two more examples are Charles Freeman's The Greek Achievement: The Foundation of the Western World (1999) and Bruce Thornton's Greek Ways: How the Greeks Created Western Civilization (2000)
↑Chiara Bottici; Benoît Challand (2013년 1월 11일).《The Myth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Routledge. 88쪽.ISBN978-1-136-95119-0.The reason why even such a sophisticated historian as Pagden can do it is that the idea that Greece is the cradle of civilisation is so much rooted in western minds and school curricula as to be taken for granted.
↑Frucht, Richard C (2004년 12월 31일).《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ABC-CLIO. 847쪽.ISBN978-1-57607-800-6. 2024년 6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5일에 확인함.People appear to have first entered Greece as hunter-gatherers from southwest Asia about 50,000 years... of Bronze Age culture and technology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rise of Europe's first civilization, Minoan Crete
↑가나《World and Its Peoples》. Marshall Cavendish. September 2009. 1458쪽.ISBN978-0-7614-7902-4. 2024년 6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5일에 확인함.Greece was home to the earliest European civilizations, the Minoan civilization of Crete, which developed around 2000 BC, and the Mycenaean civilization on the Greek mainland, which emerged about 400 years later. The ancient Minoan
↑Robin Waterfield (2018년 4월 19일).《Creators, Conquerors, and Citizens: A History of Ancient Greece》. Oxford University Press. 148쪽.ISBN978-0-19-872788-0. 2024년 6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일에 확인함.They formed an alliance, which we call the Hellenic League, and bound themselves not just to repel the Persians, but to help one another whatever particular enemy threatened the freedom of the Greek cities. This was a real acknowledgment of a shared Greekness, and a first attempt to unify the Greek states under such a banner.
↑John Van Antwerp Fine (1983).《The Ancient Greeks: A Critical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97쪽.ISBN978-0-674-03314-6. 2024년 6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일에 확인함.This Hellenic League – the first union of Greek states since the mythical times of the Trojan War – was the instrument through which the Greeks organised their successful resistance to Persia.
↑Gerard Friell; Peabody Professor of North American Archaeology and Ethnography Emeritus Stephen Williams; Stephen Williams (2005년 8월 8일).《Theodosius: The Empire at Bay》. Routledge. 105쪽.ISBN978-1-135-78262-7. 2024년 4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Halsall, Guy (2007). 《Barbarian Migrations and the Roman W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6–568쪽.
↑가나Fine 1991, 35–6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Fine1991 (도움말)
↑가나Fine 1991, 63–6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Fine1991 (도움말)
↑Gregory, TE (2010).《A History of Byzantium》. Wiley-Blackwell.169쪽.It is now generally agreed that the people who lived in the Balkans after the Slavic "invasions" were probably for the most part the same as those who had lived there earlier, although the creation of new political groups and arrival of small immigrants caused people to look at themselves as distinct from their neighbors, including the Byzantines.
↑Fine 1991, 79–83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Fine1991 (도움말)
↑〈Greece during the Byzantine period (c. AD 300 – c. 1453), Population and languages, Emerging Greek identity〉.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Online Edition.
↑Moles, Ian (1969).“Nationalism and Byzantine Greece”.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영어): 102. 2024년 6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Greek nationalism, in other words, was articulated as the boundaries of Byzantium shrank... the Palaeologian restoration that the two words are brought into definite and cognate relationship with 'nation' (Έθνος).
↑Jane Perry Clark Carey; Andrew Galbraith Carey (1968).《The Web of Modern Greek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33쪽.ISBN978-0231031707. 2023년 9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9일에 확인함.By the end of the fourteenth century the Byzantine emperor was often called "Emperor of the Hell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