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음성 기호 (2020년 개정)국제 음성 기호 (2019년 개정) 한국어판 (신지영 번역)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영어: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IPA)[1] 또는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2]언어학자 외에도언어장애 병리사나발성 치료사,외국어 교수자,말뭉치 연구자,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다.[3]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기본) 문자,구별기호,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모음과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되기도 한다. 2005년에 확장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지금의 형태는 107개의 기본 문자와 52개의 구별기호, 4개의 초분절요소로 구성되어 있다.[4]
국제 음성 기호는 주로언어 발화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상(혀의 위치나조음 방법,단어나음절 분절 등)만을 표현할 수 있게끔 되어 있지만[2],국제 음성 기호 확장형을 통해서의미와는 무관한 발화 현상(이갈기, 혀짧은 소리 등)도 기록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3]
1886년에프랑스의언어학자 폴 파시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프랑스어와영어 교사들이국제 음성 협회를 조직하면서 오늘날 국제 음성 기호라고 부르는 이 기호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단체가 설립되고 나서 2년 후국제 음성 협회는 국제 음성 기호의 첫 공식판을 발간했는데, 이 첫 공식판은 헨리 스위트가 고안한로믹 문자에 기반하여 만든 것이었다.[5][6] 참고로 이로믹 문자 또한 아주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아이작 피트만과 알렉산더 존 엘리스 등이 만든포노타입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7] 이 첫 공식판은 국제 음성 기호의 기본적인자음과모음 기호 체계를 잡았으며 이후로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는 대체적으로 이 첫 공식판과 같은 형태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개별 기호의 추가나 폐지와는 별개로 기호 명칭이나 분류 방법, 문자체 등의 변경도 있었다.[3] 2016년에는 r-음화 기호인 ⟨ə˞⟩이 ⟨ɚ⟩로 바뀌었고, 상승하강조 기호가 ⟨˦˥˦⟩ (4-5-4)에서 ⟨˧˦˧⟩ (3-4-3)으로 바뀌었다. 2018년에는 상승하강조 기호가 ⟨˧˦˨⟩ (3-4-2)로 다시 고쳐졌다.
국제 음성 기호의 확장형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1991년에 처음 만들어져서1997년에 수정, 보완되었다. 또한1995년에는 발성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 위해 VoQS (음성 성질 기호, Voice Quality Symbols)가 제안되었다.[10]
↑Laver, John (1994).《Principles of Phonet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561쪽.ISBN0-521-45031-4. (hb);ISBN0-521-45655-X (pb). “The acronym ‘IPA’ strictly refers…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But it is now such a common practice to use the acronym also to refer to the alphabet itself (from the phras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that resistance seems pedantic. Context usually serves to disambiguate the two usages.”
↑가나다MacMahon, Michael K. C. (1996). 〈Phonetic Notation〉. P. T. Daniels and W. Bright (eds.) (편집).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821–846쪽.ISBN0-19-507993-0.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지역= (도움말)
↑Kelly, John (1981). 〈The 1847 alphabet: An episode of phonotypy〉. R. E. Asher and E. J. A. Henderson (eds.) (편집). 《Towards a history of phonetics》. Edinburgh.ISBN0-85224-374-X.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발행인= (도움말)
↑Pullum, Geoffrey K.; William Allen Ladusaw (1996). 《Phonetic Symbol Guid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2 & 209쪽.ISBN0-226-68535-7.
↑Ball, Martin J.; Esling, John H.; Dickson, B. Craig (1995). “The VoQS system for the transcription of voice qualit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25 (2): 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