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구포대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포대교
구포에서 대저측으로 바라본 모습
공식이름구포대교
교통시설부산광역시국도 제14호선
횡단낙동강
관리부산광역시
설계콘크리트 PC 박스교, 강박스 거더교
최대경간장59m
길이950m
30m
착공일1990년9월 30일
완공일1993년12월 31일
개통일1996년1월 5일
Map
위치부산광역시강서구 대저동 ~북구 구포동

구포대교(龜浦大橋,영어:Gupo Bridge)는부산광역시강서구대저동에서북구구포동을 잇는국도 제14호선의 길이 약 950m의교량(다리)다. 강서구 방면으로 가면경상남도김해시가 나오고, 북구 방면으로 가면울산광역시경상북도포항시가 나온다.

구조

[편집]

본선 구간은 상하행 각 3차로로 총 6차로이며,자동차전용도로 교량 폭은 30m(차도: 25m, 보도: 5m)이다. 본선 구간은콘크리트PC 박스 구조이며,지선램프는 강 박스 거더 구조로 되어 있다.

본선과 달리 접속도로와 램프에는 별도 보도가 설치되어있지 않아, 계단을 통하여 올라가야 한다. 본선 콘크리트 박스 구간 950m가 일체로 시공된 교량의 특성 때문에 양측 이음이 넓어 자전거이용자는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역사

[편집]
 구포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포대교 이전에는낙동강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인구포교(길이: 1,060m, 폭: 9.8m)가1932년 개통(1930년9월 13일~1932년3월 7일)되어 구포대교 개통이후에는 자동차 전용교량으로 사용되었다.구포교는2003년 9월태풍 매미로 일부 구간이 유실되어[1] 교통 통제되었다가,2008년 결국 철거되었다.

구포다리가 놓인 후에도구포시장으로 유명한구포김해대동간을 왕래하는나룻배가 있었으나,1980년자동차가 늘어남에 따라 운행이 중단되었다.

구포대교 모습. 중간에는 중앙분리대가 있고 양 옆으로 보도가 있다

구포철교

[편집]

구포대교에서 북쪽으로 약 85m 떨어진 곳에는구포철교가 있다. 구포철교는부산 도시철도3호선의 철교이다. 길이는 약 970m이다. 양옆에는강서구청역구포역이 있다.

각주

[편집]
  1. “태풍 `매미` 여파로 구포교 붕괴”. 조인스. 2003년 9월 14일. 2010년 7월 2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철도
노선
도시·광역철도
도로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시내간선도로
국도·국지도
광역시도
고가도로[1]
교량
터널
지하차도[1]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
환승센터
기타
항공·항만
교통카드
  1. 이, 상봉; 이, 정용 (2023년 3월 26일).“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코리아문화스포츠저널》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년 9월 2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access-date= (도움말)
₩ 터널 및 교량 중, 통과에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도로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부산/경남
대구/경북
미개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포대교&oldid=3909263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