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괴동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괴동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종류지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부조역
(경상북도경주시)
종점괴동역
(경상북도포항시)
역 수3
노선 번호31106
개통일1971년4월 11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10.9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1
신호 방식ATS
노선도
BHF
0.0부조역
ABZglSTRq
동해선
KBHFxe
5.3효자역
KBHFxe
10.9괴동
exKBHFe
제철

괴동선(槐東線)은경상북도경주시강동면 유금리의부조역에서경상북도포항시남구괴동동괴동역을 연결하는한국철도공사의 화물철도 노선이다.동해선의 지선이자,포스코(구 포항제철)의 공장 인입선 기능을 수행하는 노선이다. 노선의 특성상 종종 제철선 또는 포항제철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역사

[편집]

괴동선은 포항제철소의 화물 인입선 격으로 1968년 4월에 건설되었다. 1975년에 니이가타 동차 기부채납을 통해포스코 통근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나, 2005년 7월 1일에 운행이 중지되었다.

연혁

[편집]

역 목록

[편집]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접속 노선소재지
부조Bujo扶助0.00.0동해선경상북도경주시
효자Hyoja孝子5.35.3포항시
괴동Goedong槐東5.610.9
(제철)(Jecheol)(製鐵)1.212.1

현황

[편집]

현재 화물전용 노선이며, 여객영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08년에 화물수송량은 263만 2172톤으로,무연탄 103만 1,847톤, 잡화 159만 901톤 등을 처리하였다.

이 노선에서의 여객 영업은 과거 구 포항제철이 구철도청에 기부채납한디젤 동차에 의해서공장 통근자 전용 열차가 유일하였다. 2005년 6월한국철도공사포스코간에 운임협상이 결렬되면서, 동년 7월 1일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최근 괴동선을 이설 및 폐지하고 해당 철도 부지를 공원으로 바꾸자는 지방선거 공약이 나왔지만, 아직까지는 실행 미지수이다.[7]

괴동선의 교통량

[편집]

2024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괴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선구선로용량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부조 ~ 괴동52--66

차량

[편집]

과거 이 구간을 운행한 차량은 다음과 같다.

  • CDC - 90년대 니이가타 동차를 대체하여 투입. 기부채납 형식으로 도입.
  • 니이가타 동차 - 1975년에 기부채납 형식으로 도입.

각주

[편집]
  1. 철도청 고시 제31호(1970.12.28)
  2. 철도청 고시 제1호(1971.01.06)
  3. 철도청 고시 제12호(1971.03.18)
  4. 김상화 기자 (2005년 7월 8일).“[고향소식] 포항 ‘포스코 통근열차’”. 《서울신문》. 
  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6.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7. 장미쁨 기자 (2021년 9월 26일).“마을 관통 괴동선 폐지하고 공원으로 만들자”. 《대구MBC》. 
고속철도노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노선
경강선(원주~강릉)
중앙선
중부내륙선
일반철도노선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충북선
경전선
장항선
전라선
경춘선
동해선
영동선
경북선
태백선
인천국제공항선
경강선
광역철도
예정
통합
폐지
미완성
시험철도
1:전용철도 노선, 2: 운영 회사 미확정, : 폐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괴동선&oldid=40617297"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