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광주역

좌표:북위 35° 09′ 55″동경 126° 54′ 33″ / 북위 35.165317° 동경 126.909188° /35.165317; 126.90918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기도광주시에 위치한경강선의 전철역에 대해서는경기광주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광주
역사
역사
Map
개괄
관할 기관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광주관리역
소재지광주광역시북구 무등로 235 (중흥동)
좌표북위 35° 09′ 55″동경 126° 54′ 33″ / 북위 35.165317° 동경 126.909188° /35.165317; 126.909188
개업일1922년7월 1일
종별관리역
등급1급
승강장 수3면 5선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광주선
광주선분기 기점 11.9 km
극락강
(7.4 km)

광주역(光州驛, Gwangju station) 은대한민국광주광역시북구중흥2동에 있는광주선철도역이다.

광주도심부에 위치해 있으나 이용객이 매우 적다.광주선의 종착역으로,용산역으로 가는ITX-새마을·무궁화호 열차와목포역으로 가는무궁화호[1]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산하의 광주지역관리단이 위치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황해도에 있는황주역과 일본어 발음(こうしゅう, 코슈)이 같다는 이유로전남광주역(全南光州驛)으로 불렸다. 원래는경전선상의철도역이었으나,경전선 도심 구간 선로 이설 사업으로 광주 ~남광주 ~효천 간 선로가 철거되어서경전선의 지선인광주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광주송정역광주공항과 달리유스퀘어처럼 광주역 인근으로는 도시철도가 지나가지 않으며, 역 남쪽으로양동시장역금남로5가역이 있다. 이 역부터 모두 지상 구간이다.ITX-새마을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무궁화호는 심야에 5편성이 주박한다.

호남고속선의 완공 후에는 배선과 평면교차 등의 문제로, 더 이상광주선으로 고속열차가 들어오지 않는다.

연혁

[편집]
1931년에 만들어진 광주 도심 지도. 중앙 위쪽에 광주역(光州驛)이 보인다.
구 전남광주역사

광주역은 1922년 7월 1일,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성저리 324-9번지에서 영업을 시작하였는데, 현재의 동구 광주동부소방서 자리에 해당한다.

전남광주역 신역사 홈에서 바라본 모습

1968년 12월 30일에는 광주공단(현 광주산업단지)으로 연결되는 인입선이 준공되었으며,[2] 이듬해인 1969년 7월 25일에는 경전선 광주 도심 구간이 이설되면서 광주역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3] 이후 1981년 3월 2일부터는 서울에서 출발하여 경전선을 따라 광주를 경유해 순천까지 운행하는 특급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1993년 5월 1일에는 유료휴게실이 설치되어 운영을 시작했으나,[4] 1995년 7월 1일부로 폐지되었다.[5] 2000년 8월 10일에는 경전선 효천~송정리 구간이 이설됨에 따라, 광주역은 광주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2004년 4월 1일에는 KTX의 개통에 맞춰 신역사로 이전하였고, 2013년 9월 27일부터는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2013년 12월 13일, 광주발 마산행 열차가 광주송정발 서대전행으로 변경됨에 따라 해당 관광열차의 취급은 중단되었다.[6]

2014년 5월 12일부터는 ITX-새마을이 운행되었고, 2015년 4월 2일에는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인해 KTX 정차역이 광주송정역으로 일원화되면서 광주역에서는 KTX 운행이 중단되었다. 같은 해 5월 29일에는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다.

2016년 12월 9일에는 누리로 열차가 처음으로 운행되었으며, 12월 19일부터는 고속철도 환승 연계를 위한 광주~광주송정 셔틀 무궁화호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후 2020년 1월 1일부터는 해당 셔틀이 통근열차로 변경되어 운행되었으나, 같은 해 3월 1일에는 누리로 운행이 종료되었고, 3월 2일부터는 태백선으로 누리로가 이관됨에 따라 호남선 1421, 1424, 1425, 1426 열차는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2023년 12월 18일에는 광주~광주송정 구간의 셔틀 통근열차 운행이 폐지되며 해당 구간의 철도 서비스에 변화가 생겼다.

승강장

[편집]
극락강
| | |34 | |56 |
시·종착역
1·3·4호남선ITX-새마을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방면
5무궁화호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광주송정 · 목포 방면
6경전선무궁화호광주송정 · 서광주 · 광양 · 삼랑진 방면

승차량 변동

[편집]

경전선 이설 이전인2000년 이전의 철도통계연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도와 승하차방향이용 인원[7]
광주선
KTX새마을무궁화통일호총계
2001년하행승차미개통종착종착종착종착
하차미개통299250805241638761173279
상행승차미개통295391707953571191063595
하차미개통출발출발출발출발
2002년하행승차미개통종착종착종착종착
하차미개통282634740019491281177410
상행승차미개통282285670310516491005315
하차미개통출발출발출발출발
2003년하행승차미개통종착종착종착종착
하차미개통24375765163149678952915
상행승차미개통24388959595857341898295
하차미개통출발출발출발출발
2004년하행승차종착종착종착종착종착
하차427475159255380857392821006869
상행승차42671914943735164940803985824
하차출발출발출발출발출발
2005년하행승차종착종착종착종착종착
하차75208997427342285420001165158
상행승차77812079894360202429781146126
하차출발출발출발출발출발

인접한 역

[편집]
호남선·광주선
장성
용산 방면
ITX-새마을
호남선
시·종착역
극락강
용산 · 목포 방면
무궁화호
호남선
시·종착역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10년 7월 5일부터순천역을 출발광주송정역을 종착역으로 하는경전선 열차가 광주역까지 1왕복 연장운행 하고있다.
  2. 철도청, 2004년 철도통계연보
  3.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29호, 1969년 7월 19일.
  4.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5.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6. 현재서대전 -광주송정 운행 계통은서울 -여수엑스포 경로로 변경되었다.
  7.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광주역
경부선 계통
서울~부산
서울~신해운대
경전선 계통
서울~진주
동해선 계통
부전~강릉
동대구~부전
동대구~강릉
호남선 계통
용산~목포
용산~익산
용산~광주
전라선 계통
용산~여수엑스포
중앙선 계통
청량리~부전
태백선 계통
청량리~동해
서해선 계통
서화성~홍성
평택선 (순환) 계통
홍성~홍성
장항선 계통
용산~홍성
경부선 계통
서울 ~부산
호남선 계통
용산 ~목포
용산 ~광주
광주 ~목포
충북선 계통
서울 ~제천
대전 ~제천
경전선 계통
부전 ~광주송정
동대구 ~진주
장항선 계통
용산 ~익산
전라선 계통
용산 ~여수엑스포
동해선 계통
포항 ~부전
동대구 ~포항
동대구 ~부전
영동선 계통
동해 ~영주
동해 ~동대구
경북선 계통
영주 ~김천
태백선 계통
청량리 ~동해
교외선 계통
대곡 ~의정부
경원선 계통
연천 ~백마고지
목포보성선 계통
순천 ~목포
(북송정) -극락강 -북광주 -광주 (-남광주 -벽도 -효천
구 광주선 담양 방면 (1944년 폐선):광주 -망월 -장산 -마항 -담양
  :폐역, 1 : 경전본선 이설로 인한 폐선 구간
철도
일반철도
고속철도
도시철도
도로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국도·국지도
광역시도
도시고속도로
보조간선도로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
기타
항공
교통카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주역&oldid=4053049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