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헌 • 홉스, 《리바이어던》(1651년) • 로크, 《통치론》(1689년) • 로크, 《관용에 대한 편지》(1692년) • 로크, 《교육에 관한 성찰》(1692년) • 로크, 《인간 이해력에 관하여》(1706년) • 볼테르, 《철학서간》(1733년) •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1748년) • 볼테르, 《미크로메가스》(1751년) • 스미스, 《도덕 감정론》(1759년) • 볼테르, 《랭제뉘》(1760년) • 볼테르, 《철학 사전》(1764년) • 벤담, 《정치론》(1766년) • 칸트, 《세계시민적 견지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1784년) • 벤담, 《도덕 및 입법의 원리 서설》(1789년) • 울스턴크래프트, 《인간 권리의 옹호》(1790년) • 훔볼트, 《국가 활동의 한계 규정 시도를 위한 생각들》(1790년) • 울스턴크래프트,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도덕적 관점》(1794년) • 훔볼트, 《그리스 자유국가의 쇠퇴와 타락의 역사》(1808년) • 훔볼트, 《독일의 미래 상태에 대해》(1813년) •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1840년) • J. S. 밀, 《정치경제학 원리》(1848년) • 토크빌, 《앙시엥 레짐과 프랑스 혁명》(1859년) • J. S. 밀, 《자유론》(1859년) • J. S. 밀, 《공리주의》(1860년) • J. S. 밀, 《대의정부론》(1860년) • 후쿠자와, 《문명론의 개략》(1875년) •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1945년) • 포퍼, 《역사주의의 빈곤》(1957년) • 롤스, 《정의론》(1971년) • 노직, 《무정부, 국가, 유토피아》(1974년) • 후쿠야마, 《역사의 종언》(1992년) • 롤스, 《공정으로서 정의》(2001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