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헌종 (고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 헌종에서 넘어옴)
헌종
獻宗
고려 국왕
재위1094년 6월 23일 ~ 1095년 11월 12일(양력)
전임선종
후임숙종
고려국 왕태자
재위1093년 4월 5일[1] ~ 1094년 6월 23일(양력)
전임왕태자 훈 (순종)
후임왕태자 우 (예종)
고려국 태상왕
재위1095년 11월 12일 ~ 1097년 4월 10일(양력)
전임최초의 태상왕
후임명종
이름
왕욱(王昱)
묘호헌종(獻宗)
시호공상정비대왕(恭殤定比大王)
능호은릉(隱陵)
신상정보
출생일1084년 8월 7일(1084-08-07)(양력)
출생지고려 개경 연화궁
사망일1097년 4월 10일(1097-04-10)(12세)(양력)
사망지고려 개경 흥성궁
부친선종
모친사숙왕후 이씨
형제자매4남 3녀 중 장남
배우자회순왕후
자녀없음

헌종(獻宗,1084년8월 7일 (음력 6월 27일),율리우스력8월 1일 ~1097년4월 10일 (윤2월 19일), 율리우스력4월 4일)은고려의 제14대국왕(재위:1094년6월 23일 (음력 5월 2일), 율리우스력6월 17일 ~1095년11월 12일(음력 10월 7일), 율리우스력11월 6일)이다.

휘는(昱),묘호헌종(獻宗),시호공상정비대왕(恭殤定比大王), 능호는은릉(隱陵)이다.선종(宣宗)과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의 맏아들이다. 신병으로 숙부 계림공(숙종)에게 왕위를 선위하고 2년 뒤에 사망하였다.

생애

[편집]

1084년(선종 1년), 개경 연화궁에서선종과 왕비사숙왕후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1088년(선종 5년), 왕욱(王昱)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은그릇과 필단(匹段), 옷감과 곡식, 말의 안장과 고삐, 노비 등을 하사받았다.

1093년(선종 10년) 3월, 태자로 책봉되어 수춘궁에 기거하였으며 다음해에 선종이 붕어하자 즉위하였다. 나이가 어리고 소갈증으로 매우 병약하여 어머니인 사숙태후가수렴청정하였다.

1095년(헌종 1년)이자의(李資義)가한산후 윤을 옹립하려고 했으나 숙부인 계림공 왕희(숙종)에 의해 진압되었다. 같은 해 10월 교서를 내려 숙부인 계림공에게 선위하였다.

1097년(숙종 2년) 개경 흥상궁에서 14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능은 성동의은릉(隱陵)이나 현재 위치는 알 수 없고 개성 동쪽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첫 시호는 회상(懷殤)이었다.

1105년(예종 즉위년)헌종(獻宗)의 묘호가 올려지고 시호는 공상(恭殤)으로 개정되었다.

가족 관계

[편집]
고려 제14대 국왕헌종 공상대왕
獻宗 恭殤大王
출생사망
1084년8월 7일 (음력 6월 27일)
고려고려 개경 연화궁
1097년4월 10일 (음력 윤2월 19일) (12세)
고려고려 개경 흥성궁

부모

[편집]
생몰년부모비고
선종
宣宗
1049년 - 1094년문종
文宗
인예태후이씨
仁睿太后 李氏
제13대 국왕
사숙왕후이씨
思肅王后 李氏
사숙태후
思肅太后
미상 - 1107년이석
李碩
[2]
미상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선종 10년 음력 3월 1일, 율리우스력 3월 30일
  2. 이자연의 셋째 아들
고려의 의장기인 상기(象旗)제14대 고려 국왕고려의 인장
전 임
선종
1094년 ~1095년후 임
숙종
고려의 왕자
태조 소생
혜종 소생
정종 소생
광종 소생
왕태자 주 →경종 |효화태자
경종 소생
개령군 송 →목종
추존왕 대종 소생
효덕태자 | 개령군 치 →성종 |경장태자
성종 소생
-
목종 소생
-
추존왕 안종 소생
대량원군 순 →현종
현종 소생
연경군 흠 →덕종 |왕자 수 | 평양군 형 →정종 | 낙랑군 휘 →문종 | 평양공 기 →정간왕 |검교태사 충
덕종 소생
-
정종 소생
문종 소생
순종 소생
-
선종 소생
왕태자 욱 →헌종 |한산후 윤 | 왕자 | 왕자
헌종 소생
-
숙종 소생
예종 소생
인종 소생
왕태자 현 →의종 |대령후 경 | 익양후 호 →명종 |원경국사 충희 | 평량공 탁 →신종
의종 소생
효령태자 기 | 왕자 | 왕자 | 왕자
명종 소생
신종 소생
왕태자 영 →희종 |양양공 서
희종 소생
강종 소생
왕태자 영 →고종
고종 소생
왕태자 정 →원종 | 안경공 창 →고려 영종
원종 소생
영종 소생
충렬왕 소생
충선왕 소생
세자 감 | 강릉대군 만 →충숙왕 |덕흥군 혜
충숙왕 소생
왕세자 정 →충혜왕 |용산원자 | 강릉부원대군 기 →공민왕
충혜왕 소생
왕세자 흔 →충목왕 | 경창부원군 저 →충정왕 |승려 석기
충목왕 소생
-
충정왕 소생
공민왕 소생
강령부원대군 우 →우왕
우왕 소생
원자 창 →창왕
창왕 소생
-
공양왕 소생
고려의 태자
태조 (정윤)
광종 (정윤)
경종 (정윤)
성종 (정윤)
현종
문종
선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효령태자 | 태손
명종
강종 |신종(태제)
신종
희종
강종
고종
원종 |충렬왕(태손)
원종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공양왕
추존
고려

제1대태조

제2대혜종

제3대정종

제4대광종

제5대경종

제6대성종

제7대목종

제8대현종

제9대덕종

제10대정종

제11대문종

제12대순종

제13대선종

제14대헌종

제15대숙종

제16대예종

제17대인종

제18대의종

제19대명종

제20대신종

제21대희종

제22대강종

제23대고종

제24대원종

제25대충렬왕

제26대충선왕

제27대충숙왕

제28대충혜왕

제29대충목왕

제30대충정왕

제31대공민왕

제32대  우왕  

제33대  창왕  

제34대공양왕

영종 (비정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헌종_(고려)&oldid=40283070"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