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문종 (고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 문종에서 넘어옴)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11월)
문종
文宗
고려 국왕
재위1046년 6월 30일 ~ 1083년 9월 8일(양력)
전임정종
후임순종
이름
왕휘(王徽)
별호낙랑군(樂浪君)
묘호문종(文宗)
시호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
(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능호경릉(景陵)
신상정보
출생일1020년 1월 4일(1020-01-04)(양력)
출생지고려 개경 안복궁
사망일1083년 9월 8일(1083-09-08)(63세)(양력)
사망지고려 개경 정궁 중광전
부친현종
모친원혜왕후 김씨
형제자매6남 8녀 중 4남
배우자인평왕후 김씨,인예왕후 이씨
자녀13남 2녀(13남 7녀)

문종(文宗,1020년1월 4일 (음력 12월 1일)[1],율리우스력1019년12월 29일 ~1083년9월 8일 (음력 7월 18일), 율리우스력9월 2일)은고려의 제11대국왕(재위 :1046년6월 30일 (음력 5월 18일), 율리우스력6월 24일 ~1083년9월 8일)이다.

초명은 서(緖),(徽),는 촉유(燭幽),묘호문종(文宗),시호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능호는경릉(景陵)이다.불교 중흥에 힘썼으며 그의 치세 이래를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2]

즉위 초문하시중최충에게 명하여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이자연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현종(顯宗)과원혜왕후 김씨의 아들이다. 왕은 어려서 총명하였고, 자라서는 학문을 좋아하고 활을 잘 쏘았다. 고려사 문종 사망 기사에 따르면 지략이 원대하고 너그럽고 인자하여 많은 사람을 용납하였으며, 무릇 송사(訟事)를 듣고 판단한 것은 다시 잊지 않았다고 한다.[1]

생애

[편집]

생애 초반

[편집]

문종은현종원혜왕후 김씨의 셋째 아들로덕종정종의 이복 동생이며정간왕에 추증된 평양공 왕기의 친형이었다.덕종정종은 그의 이복 형이면서 동시에 이종 사촌 형이기도 했는데 이모이자 적모인원성왕후[3]의 소생이었다.

처음 이름은 서였으나 뒤에 휘로 고쳤다.1022년 낙랑군으로 봉해졌으며,1037년 내사령에 임명되었다. 이복 형인정종이 세상을 뜬 후,정종의 유지로 왕위를 계승했다.[4]

업적

[편집]

문종은 즉위 후문하시중최충에게 명하여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게 함으로써 각종 법을 만드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장인인이자연은 사심없이 그를 보필하였고,이자연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추진해 나간다.

불교를 신봉하여1067년 흥왕사(興王寺)를 세웠고, 자신의 아들을부처에게 바치겠다고 하고 태자 왕후(王煦)를 출가시켜 승려가 되게 하니 그가 바로 대각국사의천이다.[5] 유학도 장려하여 이 무렵최충의 9재(九齋)를 선두로 12도(十二徒)의 사학(私學)이 발달하였다. 지방에서도 중앙에서 파견하는 관리의 수가 늘었다.

국방과 외교에도 힘써동여진(東女眞)이 북변을 침략하자 이를 토벌하여 동여진에 대한 초기의 정책은 다소 강경했으나 이후 점차 회유책을 썼고, 특히송나라,이슬람 등과 친선을 도모하여 교역이 융성하였다.1056년일본 사신이 개경을 방문하였다. 빈민 구휼에서도 치적을 쌓았다.

한편 일부 호족세력을 중심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자신의 친동생인평양공을 추대하려 한 사실이 발각되자1072년 평양공의 작위를 추탈하고 그 아들들을 유배보내기도 하였다.

사후

[편집]

재위 37년간고려의 문물 제도는 크게 정비되어 이 시기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부르기도 한다.불교,유교,미술,공예 등 문화 전반에 걸쳐 괄목할 수준을 드러내 문화가 크게 발전되었다[6].

그의 즉위 직후 왕위를 계승한 장남순종은 재위 3개월 만에 병사하여 둘째 아들선종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능은개성시 장풍군에 위치한 경릉(景陵)이다.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인효성왕(仁孝聖王)라고도 부른다.

가족 관계

[편집]
고려 제11대 국왕문종 인효대왕
文宗 仁孝大王
출생사망
1020년1월 4일 (음력 12월 1일)
고려고려 개경 안복궁
1083년9월 8일 (음력 7월 18일) (63세)
고려고려 개경 정궁 중광전

부모

[편집]
생몰년부모비고
현종
顯宗
992년 - 1031년안종
安宗
헌정왕후황보씨
獻貞王后 皇甫氏
제8대 국왕
원혜왕후김씨
元惠王后 金氏
미싱 - 1022년김은부
金殷傅
안산군대부인이씨
安山郡大夫人 李氏
[7]


왕후

[편집]
시호본관
[8]
생몰년부모비고
제1비인평왕후김씨
仁平王后 金氏
안산미상현종
顯宗
원성왕후김씨
元成王后 金氏
제2비인예왕후이씨
仁睿王后 李氏
인예순덕태후
仁睿順德太后
인주미상 - 1092년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장녀
후궁인경현비이씨
仁敬賢妃 李氏
인주미상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2녀
후궁인절현비 이씨
仁節賢妃 李氏
인주미상 - 1082년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3녀
후궁인목덕비김씨
仁穆德妃 金氏
경주미상 - 1094년김원충
金元沖

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순종
順宗

1047년 - 1083년인예왕후 이씨정의왕후왕씨
貞懿王后 王氏
선희왕후김씨
宣禧王后 金氏
제12대 국왕
2선종
宣宗
국원공
國原公

1049년 - 1094년인예왕후 이씨사숙왕후이씨
思肅王后 李氏
제13대 국왕
3숙종
肅宗
계림공
鷄林公

1054년 - 1105년인예왕후 이씨명의왕후유씨
明懿王后 柳氏
제15대 국왕
4의천
義天
대각국사
大覺國師

1055년 - 1101년인예왕후 이씨미혼
5상안공
常安公

미상 - 1095년인예왕후 이씨미상
6도생승통
道生僧統

미상 - 1112년인예왕후 이씨미혼
7금관후
金官侯

미상 - 1092년인예왕후 이씨미상
8변한후
卞韓侯

미상 - 1082년인예왕후 이씨미상
9낙랑후
樂浪侯

미상 - 1083년인예왕후 이씨미상
10총혜수좌
聰惠首座

미상인예왕후 이씨미혼
11양헌왕
禳憲王
조선공
朝鮮公

미상 - 1099년인경현비 이씨양헌왕비이씨
禳憲王妃 李氏
[9]
추존 제후왕
12부여공
扶餘公

미상 - 1112년인경현비 이씨적경궁주왕씨
積慶宮主 王氏
13진한공
辰韓公

미상 - 1099년인경현비 이씨미상

왕녀

[편집]
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적경궁주
積慶宮主
미상인예왕후 이씨부여공 왕수
扶餘公 王燧
2보령궁주
保寧宮主
미상 - 1113년인예왕후 이씨낙랑공 왕영
樂浪公 王瑛
3▨▨공주
▨▨宮主
[10]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4▨▨공주
▨▨公主
[10]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5▨▨공주
▨▨公主
[10]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6▨▨공주
▨▨公主
[10]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7▨▨공주
▨▨公主
[10]
미상인목덕비 김씨조졸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고려사》권8〈세가〉권8
  2. 우리역사넷
  3. 원성왕후와 원혜왕후, 원평왕후는 모두 김은부의 딸로 자매간이었다.
  4. 현대 한 연구자는 정종이 사료에 나오는 것과는 달리 자신의 의지로 양위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임영희, 〈고려 靖宗의 讓位와 文宗의 왕위 계승〉 《인문사회 21》 36, 2019 참조.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정종의 네 아들들과 문종 사이의 관계는 마치 조선의단종세조의 관계와 비슷하다고도 볼 수 있다.
  5. 의천은 이미 출가한 외삼촌인 승려 김난원의 상좌가 되어 출가하였다.
  6. 김, 갑동(대전대 교수, 고려시대사).“문종 (文宗)”. Academy of Korean Studies. 
  7. 이허겸의 딸.이자연의 고모.
  8. 아버지가 국왕 혹은 왕족인 경우, 어머니 혹은 조모의 성씨를 사용
  9. 이자연의 손녀.이정의 딸.
  10. 고려사》권91 열전 권제4 [종실 2, 공주(宗室 二, 公主)]

주해

[편집]
  1. 고려사》 세가의 기록순서에 따라 정렬한 것으로, 《고려사》는 어머니가 다른 이복 형제일 경우, 생모의 서열대로 정렬하여 기재하였다. 따라서 인예왕후 소생의 총혜수좌가 인경현비 소생의 조선공보다 먼저 태어난 것은 아니다.


고려의 의장기인 상기(象旗)제11대 고려 국왕고려의 인장
전 임
정종
1046년 ~1083년후 임
순종
고려의 왕자
태조 소생
혜종 소생
정종 소생
광종 소생
왕태자 주 →경종 |효화태자
경종 소생
개령군 송 →목종
추존왕 대종 소생
효덕태자 | 개령군 치 →성종 |경장태자
성종 소생
-
목종 소생
-
추존왕 안종 소생
대량원군 순 →현종
현종 소생
연경군 흠 →덕종 |왕자 수 | 평양군 형 →정종 | 낙랑군 휘 →문종 | 평양공 기 →정간왕 |검교태사 충
덕종 소생
-
정종 소생
문종 소생
순종 소생
-
선종 소생
왕태자 욱 →헌종 |한산후 윤 | 왕자 | 왕자
헌종 소생
-
숙종 소생
예종 소생
인종 소생
왕태자 현 →의종 |대령후 경 | 익양후 호 →명종 |원경국사 충희 | 평량공 탁 →신종
의종 소생
효령태자 기 | 왕자 | 왕자 | 왕자
명종 소생
신종 소생
왕태자 영 →희종 |양양공 서
희종 소생
강종 소생
왕태자 영 →고종
고종 소생
왕태자 정 →원종 | 안경공 창 →고려 영종
원종 소생
영종 소생
충렬왕 소생
충선왕 소생
세자 감 | 강릉대군 만 →충숙왕 |덕흥군 혜
충숙왕 소생
왕세자 정 →충혜왕 |용산원자 | 강릉부원대군 기 →공민왕
충혜왕 소생
왕세자 흔 →충목왕 | 경창부원군 저 →충정왕 |승려 석기
충목왕 소생
-
충정왕 소생
공민왕 소생
강령부원대군 우 →우왕
우왕 소생
원자 창 →창왕
창왕 소생
-
공양왕 소생
추존
고려

제1대태조

제2대혜종

제3대정종

제4대광종

제5대경종

제6대성종

제7대목종

제8대현종

제9대덕종

제10대정종

제11대문종

제12대순종

제13대선종

제14대헌종

제15대숙종

제16대예종

제17대인종

제18대의종

제19대명종

제20대신종

제21대희종

제22대강종

제23대고종

제24대원종

제25대충렬왕

제26대충선왕

제27대충숙왕

제28대충혜왕

제29대충목왕

제30대충정왕

제31대공민왕

제32대  우왕  

제33대  창왕  

제34대공양왕

영종 (비정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종_(고려)&oldid=4049437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