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경전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전선
경전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삼랑진역
(경상남도밀양시)
종점광주송정역
(광주광역시광산구)
역 수40
노선 번호307
개통일1905년10월 21일 (삼랑진~마산포)
1922년7월 1일 (송정리~광주)
1922년12월 1일 (광주~담양)
1923년12월 1일 (마산~군북)
1925년6월 15일 (군북~진주)
1930년12월 25일 (송정리~여수)
1967년2월 9일 (광양~순천)
1968년2월 8일 (진주~광양)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가야철도[1]
노선 제원
영업 거리277.7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낙동강 -순천)
1(삼랑진 -낙동강,순천 -광주송정)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삼랑진 -순천,동송정역분기 -광주송정)
신호 방식ATS
영업 최고 속도KTX :150km/h

무궁화호 : 150km/h

ITX-새마을 : 150km/h
설계 최고 속도삼랑진 ~진주 : 200km/h
진주 ~순천 : 150km/h
순천 ~광주송정역 : 230km/h
노선도

0.0
삼랑진
1.7
낙동강
생림터널/마사굴
마사터널/모정굴
9.8
한림정
14.1
진영한국고속철도
진영터널
18.0
진례
구 진영
진례터널
28.2
창원중앙한국고속철도
봉림터널
35.2
용강신호소
신풍터널/용강터널(구경전선)
38.5
창원한국고속철도
구경전선(구마산역 방면)
42.1
마산한국고속철도
석전터널(4.4km)
48.7
중리
산인터널(구경전선)/용담터널(7.1km)
함안천
57.6
함안
광정터널
64.6
군북
덕대제1,2터널
구시터널
원북제1,2터널
원북제3,4터널
화광터널
작은이석굴(구경전선)
부계터널
저동터널
구 반성
가선터널
78.1
반성
진성터널
천곡터널(구경전선)
문산터널/갈촌굴(구경전선)
삼곡터널
옥산1,2,3터널
진삼선(사천역 방면)→
91.4
진주한국고속철도
장좌굴(구경전선)
구 진주
개양터널
주개터널
신율터널
독산터널(구경전선)
내동터널
산강1,2터널/내동터널(구경전선)
정동터널(구경전선)
가화천
배양터널/유수제1,2터널(구경전선)
태봉터널
솔티터널
104.5
완사
신기터널/정곡터널(구경전선)
송림터널
박심1,2,3터널
원전1,2터널
채봉터널/옥정터널(구경전선)
구 북천
113.9
북천
직전터널
이명터널(구경전선)
감당제1,2호터널(구경전선)
횡천터널(구경전선)
피난선
122.0
횡천
학리터널(구경전선)
하남터널
두전터널/석당터널(구경전선)
징평터널/하동터널(구경전선)
127.4
하동
진월터널/월길터널(구경전선)
매치터널(구경전선)
걸랑터널
134.2
진상
이천1,2터널/중상터널(구경전선)
옥곡1,2,3터널
호암터널(구경전선)
광양동천
148.5
광양
동일,도신터널(구경전선)
152.2
평화신호장
156.5
순천한국고속철도
전라선(익산역 방면)
168.3
원창
173.0
구룡
진치터널
벌교천
179.9
벌교
송장굴
190.6
조성
195.9
예당
200.2
득량
그럭재굴
209.3
보성
214.2
광곡
218.1
명봉
예재터널
226.8
도림
230.9
이양
235.3
입교
장동역
239.9
석정리
243.1
능주
장흥역
247.5
만수
화순선(복암역 방면)
252.0
화순
땀재굴
강진
257.4
앵남
261.2
남평
다리재
266.6
효천
←구경전선
화방터널
270.7
서광주
해남
275.0
동송정신호장
276.4
호남선 (익산역 방면)
277.7
광주송정한국고속철도
영암
82.5
임성리

경전선(慶全線)은경상남도밀양시경부선삼랑진역광주광역시광산구호남선광주송정역을 잇는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마산선,진주선,광주선이 통합된 철도 노선으로경상도,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 글자를 따서경전선이라고 하였다.

2003년부터 경전선 개량과 복선전철 사업이 시작되었으며,2010년12월 15일에 삼랑진 ~ 마산 구간이 복선전철화 개통하였으며,2012년12월 5일에 마산 ~ 진주 구간 복선전철화가 개통되었고,2016년7월 14일에는 진주 ~ 광양 간 복선 비전철화가 개통된데 이어 전철화도2023년6월 22일에 완료되었다.2023년9월 1일SRT의 운행 노선 확대에 따라SRT의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역사

광복 이전

낙동강철교 건설 장면 (1905년)

해방이후 비전철 시대

진주시내동면유수리,가화천진주 유수리 백악기 화석 산지 위를 지나는 구 경전선의 철교
북천역 부근의 구 경전선과 신 경전선

고속철도 시대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KSI역간
거리
영업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부선원동역 방면
삼랑진Samnangjin三浪津0.00.0경부선경상남도밀양시
낙동강Nakdonggang洛東江1.71.7미전선무인역
한림정Hallimjeong翰林亭8.19.8김해시
진영Jinyeong進永4.314.1
진례Jillye進禮3.918.0부산신항선
창원중앙Changwonjungang昌原中央10.228.2부전-마산간 복선전철창원시
용강Yonggang龍岡7.035.2덕산선신호소
창원Changwon昌原3.338.5진해선
덕산선
마산Masan馬山3.642.1마산항제1부두선
중리Jung-ri中里6.648.7
함안Haman咸安8.957.6함안군
군북Gunbuk郡北7.064.6
반성Banseong班城13.578.1진주시
진주Jinju晉州13.391.4
완사Wansa浣紗











13.1104.5사천시무인역
북천Bukcheon北川9.4113.9하동군
횡천Hoengcheon橫川8.1122.0무인역
하동Hadong河東5.4127.4
진상Jinsang津上6.8134.2전라남도광양시무인역
광양Gwangyang光陽14.3148.5광양제철선
평화Pyeonghwa平和3.7152.2전경삼각선순천시신호장
순천Suncheon順天[내용주 3][내용주 3][내용주 3]4.3156.5전라선
원창Wonchang元倉











11.8168.3무인역
구룡Guryong九龍4.7173.0무인역
벌교Beolgyo筏橋6.9179.9보성군
조성Joseong鳥城10.7190.6
예당Yedang禮堂5.3195.9
득량Deungnyang得粮4.3200.2
미력Miryeok彌力6.9207.1목포보성선
보성Boseong寶城2.2209.3
광곡Gwanggok廣谷4.9214.2무인역
명봉Myeongbong鳴鳳3.9218.1무인역
이양Iyang梨陽12.8230.9화순군무인역
능주Neungju綾州12.2243.1
화순Hwasun和順8.9252.0
남평Nampyeong南平9.2261.2나주시무인역
효천Hyocheon孝泉5.4266.6광주광역시남구
서광주Seogwangju西光州4.1270.7서구
동송정Dongsongjeong東松汀4.3275.0광산구신호장
(광주선분기)0.6275.6광주선
(북송정분기)0.8276.4(송정삼각선)신호소
광주송정Gwangjusongjeong光州松汀[내용주 4][내용주 4][내용주 4]1.3277.7호남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호남선노안역 방면

지선 노선

경전선에는 총 10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0701진해선창원역통해역21.2
30702광양제철선광양역태금역18.6
30703광양항선황길역광양항역2.7
30704광주선(동송정역)광주역11.9
30705신광양항선초남역신광양항역6.2
30706부산신항선진례역부산신항역21.3
30707덕산선창원역덕산역8.2
30708전경삼각선평화역성산역3.0
30709신항북선부산신항역북철송장역5.8
30710신항남선부산신항역남철송장역7.7

진해선

 진해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진해선창원역통해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1이다.2015년 2월 1일 정기 여객 열차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광양제철선

 광양제철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광양제철선광양역태금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광양제철소까지 이어지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2이다.

광양항선

 광양항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광양항선광양제철선황길역광양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광양항으로 이어지는 화물선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3이다.

광주선

 광주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광양항선

 신광양항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광양항선광양제철선초남역신광양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광양항선의 수송량 분담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5이다.

부산신항선

 부산신항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산신항선진례역부산신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부산신항으로 이어지는 화물선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6이다.

덕산선

 덕산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덕산선창원역덕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본래 경전선 본선의 일부였으며, 2010년 12월 15일 창원역 ~ 낙동강역 구간이 이설되면서덕산역의 군용화물 취급을 위해 존치시킨 철도 구간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7이다.

전경삼각선

 전경삼각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전경삼각선평화역성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8이다.

신항북선

 부산신항선 § 신항북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항북선은 2013년 3월 14일 부산신항선 내에 개통된 부산신항선의 지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9이다.

신항남선

 부산신항선 § 신항남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신항남선은 본래 부산신항선의 일부였으며, 신항북선이 개통되면서 분리된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10이다.

터널 목록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년도비고
삼랑터널455m2009년
낙동터널150m2009년
생림터널695m2009년
마사터널1,118m2009년
진영터널1,826m2010년
진례터널3,712m2010년
봉림터널3,692m2010년
신풍터널1,317.2m2010년
소수터널320m2010년
석전터널4,405m2012년
용담터널7,080m2012년최장 터널
득성터널63m2012년
광정터널1,794m2012년
새터1터널167m2012년
새터2터널120m2012년
춘곡터널420m2012년
덕대1터널671m2012년
덕대2터널85m2012년
구시터널124m2012년
원북1터널67m2012년
원북2터널77m2012년
원북3터널90m2012년
원북4터널1,365m2012년
화광터널383m2012년
부계터널280m2012년
계동터널181m2012년
가선터널1,539m2012년
진성터널1,855m2012년
문산터널4,787m2012년
삼곡터널509m2012년
옥산1터널402m2012년
옥산2터널425m2012년
옥산3터널900m2012년
개양터널360m2012년
주개터널115m2012년
신율터널330m2012년
내동터널1,045m2012년
산강1터널1,030m2016년
산강2터널480m2016년
배양터널725m2016년
태봉터널1,155m2016년
솔티터널409m2016년
신기터널1,335m2016년
송림터널170m2016년
박심1터널170m2016년
박심2터널100m2016년
박심3터널110m2016년
원전1터널500m2016년
원전2터널435m2016년
채봉터널721m2016년
직전터널4,620m2016년
하남터널1,960m2016년
두전터널102m2016년
징평터널585m2016년
진월터널2,295m2016년
걸랑터널225m2016년
이천1터널1,128m2016년
이천2터널160m2016년
옥곡1터널732m2016년
옥곡2터널1,066m2016년
옥곡3터널6,412m2016년
광양터널1,038m2011년
신풍1터널440m2011년
신풍2터널111m2011년
대가터널443m2011년
담치터널242m1930년단선 시점
미정터널660m1930년
안치터널610m1930년
예재고치터널880m1930년
한치터널245m1930년
화방터널1,020m2000년단선 종점

경전선 개량사업

삼랑진 - 마산 구간

  • 2002년 실시설계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서,진영역은 동남쪽으로 이전했고 덕산역은창원중앙역으로 업무기능이 대체되었다.
  • 완공시기를2008년으로 잡았으나, 공사가 심하게 지연되어2010년12월 15일에 완공되었다.[27]
  • 한림정 -낙동강 사이의 낙동강철교는 개량 이전의 철교보다 서쪽으로 이설되는데, 이 구간은1962년에 이미 한차례 이설되어(구 철교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쓰이고 있다) 새 철교는 3대째의 철교가 된다. 교량 형식은 와렌 트러스(Warren Truss) 방식의 철교로 복선 개량 이전의 철교와 동일한 구조이다.2009년9월 29일에 단선형태로 우선적으로 이설되었다.[28]

마산 - 진주 구간

  • 2006년에는함안 -진주 구간을 BTL 사업으로 전환할 것을 발표하여,2008년에 (주)가야철도가 선정되어 같은 해3월 19일에 해당 구간의 착공식을 가졌다.
  • 2011년 개통 예정이었지만 공사 지연으로2012년12월 5일에 개통되어,함안역진주역은 남쪽으로 이전했다.KTX 또한진주역까지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29]
  • 완공 이후에는 기존의 마산 - 진주 구간의 역 수가 13개에서 절반인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의 6개로 크게 줄어들었다.

부전 - 마산 구간 신설

 이 부분의 본문은부전-마산 복선전철입니다.
  • 부산권 광역전철로 현재 시공 중인 태화강-부전동해선 광역전철과부전역에서 직결되는 부전-마산 광역전철 사업이 착수된 상태다.김해국제공항 및 창원·마산과 부산 도심간의 교통망을 확충함과 동시에 부전에서 마산까지 약 40분 정도의 운행시간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기본 설계는 완료된 상태이며 개통목표는 원래 2020년이었다가 2020년 3월 18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생태공원 내부 부전~마산 복선전철 하저터널 공사장에서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해 2년가량 개통 연기가 불가피하다.
  • 부전에서 출발하는 경전선 전체 노선을 주행하는 경전선을 간선철도로 삼는 열차 또한 이 노선을 사용할 것이며, 이 경우 현재의 삼랑진역 경유로 약 1시간 30분에 달하는 운행시간은 30분대 내지 40분대 선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정부는2008년 부전 - 마산구간을 BTL(민간자본완공 후 임대)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 구간의 7개 역사(사상 - 김해공항 - 에코델타시티 - 가락 - 칠산 - 장유 - 신월)에 대한 설계입찰을 2006년 실시한 바 있다. 2009년 민자적격성검토 후 실시설계와 사업자 선정을 거쳐 2012년 착공,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19,251억 원으로 추산된다.

진주 - 광양 구간

  • 복선을 먼저 설치한 후 전철화하기로 했다. 기본 및 실시설계 후 2006년 턴키구간 3곳을 우선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착공이 연기되어 2009년 예산이 확보됨에 따라 착공했다. 2015년 말 구간 완공, 2016년 7월 14일 개통되었다.
  • 기존 역이 반가량 줄어들고, 150km/h로 달릴수 있도록 선형이 직선화된다. 이설되는 역은하동역,횡천역,북천역이고진상역완사역은 기존 역사를 개량하게 된다. 이를 통해진주역 ~순천역 간의 거리가 과거 76.9km에서 현재의 60km 내외로 줄어들었다.진주역 ~광양역 간의 거리가 66.8km -> 51.5km로 단축되었다.
  • 복선화한 후 2020년 기준으로 가공전차선을 올리고 있으며, 2023년 6월 22일에 개통되었다.

광양 - 순천 구간

  • 광양항 개발에 따라서 선로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실시했다. 당초 광양역 방향의 구간은 복선 비전철로 하려 했으나전라선 복선전철화 사업과 연계하여순천역에서광양역까지를 함께 복선전철화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 2011년 11월 21일에는 복선 비전철화 개통되었고 2012년 6월 21일에 복선전철화 개통되었다.[30]
  • 광양역은 현재의 위치에서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이밖에 경전선을 잇는전경삼각선이 생겼으며 폐역되었던 경전선평화역이 신호장 역할로 부활했다.

순천 - 보성 구간

  • 순천 - 보성 구간의 단선전철화가 장기 계획으로 잡혀 있었는데, 전철화 확정된 목포-보성 및 순천 이동 구간과 직결 운행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우선 전철화 요구를 한 끝에 보성 -광주송정보다 우선적으로 개량 및 전철화하기로 하였다.

보성 - 광주송정 구간

  • 보성 - 광주송정 구간의 단선전철화가 통과 되었다.구 나주역에서 분기해빛가람동 서남쪽을 지나 화순군은 경계만을 스친 뒤 장흥군 장평면을 지나 새보성역에서 합류한다.노안역 분기에 빛가람동 북측에 혁신도시 역을 짓고 화순군은이양역에 정차하는 2018년 예타와는 달라졌다.

보성 - 임성리 구간 신설

 이 부분의 본문은목포보성선입니다.

경전선 보성-임성리 구간은보성역에서호남선임성리역에 이르는 신설 구간이다.남해선라는별칭이 있다. 이 구간이 완성되면장흥,강진,해남,영암에 철도가 들어가며, 경전선이 영남권과 호남권을 이어주게 된다. 당초 단선 비전철로 착공하였으나 2019년에 전철화로 변경되었다.

이 사업으로 새로운 보성역이보성읍 남쪽 외곽에 건설되며, 기존선과는 보성역 동쪽에서 분기하게 되어 사업이 완료되면 보성역이 광주 방향과 목포 방향 두 개로 나뉘게 된다. 그러다가 광주송정-보성 전철화가 되면신보성역만을 사용하게 된다.

경전선의 교통량

2024년도 철도통계 연보에 따르면, 경전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삼랑진 ~ 마산147141220147
마산 ~ 진주18010112124
진주 ~ 광양18004217
광양 ~ 순천154046616
순천 ~ 보성3904004
보성 ~ 화순4004004
화순 ~ 광주송정4204004

현재삼랑진역 ~ 진주역에 이르는 구간에는 경부선의 지선 역할로 평균 1시간 간격으로KTX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고 있으나, 나머지 구간은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에 편도 4회 운행하고 있다. 그중 1편성만 부전역 ~목포역까지 전구간을 운행하고 나머지 편성은순천역 기준으로 나누어서 운행한다.

같이 보기

각주

내용주
  1. 후일조선철도로 합병된다.
  2. 상기된 남조선철도와 다른 회사이다.
  3. 전라선 열차만 정차한다.
  4. 호남선 열차만 정차한다.
참조주
  1. 함안 - 진주간 BTL 및 유지 보수
  2. 明治工業史 鐵道篇 第四編 本土以外の鐵道及び特殊鐵道
  3. 일본국관보 철도원 고시 제54호, 1910년 6월 11일.
  4.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1년 1월 10일.
  5.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류장신설(1932.11.07)
  6.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류장신설(1933.03.15)
  7.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98호, 1938년 3월 12일.
  8.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885호(1944.06.10)
  9.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 (1955.08.30)
  10.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 474호(1956.09.18)
  11.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487호, 1957년 2월 6일
  12.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522호(1958.05.09)
  13. 철도청 고시 제152호(1965.07.01)
  14. 철도청 고시 제313호(1967.02.06)
  15. 철도청 고시 제316호(1967.02.08)
  16. 철도청 고시 제5호(1968.01.16)
  1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52호(1974.12.04)
  18. 1976년 마산역 주변의 모습, 《연합뉴스》2010년12월 14일 (네이버 뉴스)
  19. 玉鐵기자 (1996년 10월 18일).“전국일주 철도망 구축 전망”. 《연합뉴스》. 
  20.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2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01호, 2015년 9월 30일.
  22.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23. 국토해양부 고시 제 2010-742호
  24. 국토해양부 고시 제 2010-839호
  2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5호, 2016년 4월 29일.
  26.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27. 이상현 기자 (2010년 12월 15일).“경전선 KTX개통‥서울-창원 반나절 생활권”. 《MBC뉴스투데이》. 
  28. 경전선의 새로운 역사를 쓰다, 《KR상생뉴스》2009년9월 20일
  29. 지성호 기자 (2012년 12월 5일).“경전선 마산~진주 복선전철 개통…5일부터 KTX 운행(종합)”. 《연합뉴스》.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30.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303호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경전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폐역
차량
국내용
운행 중
개발 중
수출형
운행 노선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
행신 ~부산
서울 ~수원 ~부산
행신 ~구포 ~부산
경전선 계통
행신 ~진주
동해선 계통
행신 ~포항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
행신 ~목포
행신 ~서대전 ~목포
전라선 계통
행신 ~여수엑스포
용산 ~서대전 ~여수엑스포
강릉선 계통
행신 ~강릉
서울 ~동해
중앙선 계통
서울 ~부전
중부내륙선 계통
판교 ~문경
고속철도노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노선
경강선(원주~강릉)
중앙선
중부내륙선
일반철도노선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충북선
경전선
장항선
전라선
경춘선
동해선
영동선
경북선
태백선
인천국제공항선
경강선
광역철도
예정
통합
폐지
미완성
시험철도
1:전용철도 노선, 2: 운영 회사 미확정, : 폐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전선&oldid=4074432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