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경의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경의선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의선
경의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체계국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서울역
(서울특별시용산구)
종점도라산역
(경기도파주시)
역 수25
노선 번호303
개통일1906년4월 3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국가철도공단(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차량 기지수색차량사업소,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문산차량사업소
사용 차량KTX
KTX-산천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노선 제원
영업 거리56.1km
궤간1,435mm
궤도표준궤
선로 수4(가좌 ~능곡)
2(서울 ~ 가좌, 능곡 ~문산)
1(문산 ~ 도라산)
전철화가공전차선(서울 ~ 도라산)
교류 25,000 V
복선 구간서울 ~문산
신호 방식ATS(가좌~문산)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경의선(京義線)은서울특별시중구 봉래동2가서울역경기도파주시장단면 노상리도라산역을 잇는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원래는서울역신의주역을 연결한 간선철도 노선이었으나,한반도 분단 이후서울역에서군사분계선 이남문산역까지만경의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남북철도복원에 따른 노선 연장으로임진강역,도라산역이 개업하였다. 현재서울역부터문산역까지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되고 있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 좌측통행이다.

역사

[편집]

남북분단 이전

[편집]

경의선은1902년 기공되었으며,1896년프랑스피브릴 사가 처음으로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 조달이 어려워 부설권을 상실하였다.1899년 대한철도회사가 다시 특허를 얻었다가 또 다시 실패하자1900년 정부 기관인 내장원(內藏院)에 서부철도국을 두고 서울 ~ 개성 구간 선로 측량을 시작하였다. 그 뒤1904년러일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은 서울 ~ 신의주 구간 군용 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임시군용철도감부를 설치하였다.일본제국은 이를 대륙 침략 노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사를 서둘렀다. 1904년 3월 용산 ~ 개성 구간의 노반공사에 착수, 1905년 평양 - 신의주 구간이 완공되어 용산 ~ 신의주 구간에 직통운전이 시작되었으며, 1906년청천강·대동강 철교가 준공되면서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08년신의주 -부산 사이(경부철도)에 한국 최초의 급행열차인 융희호(隆熙號)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11년압록강 철교가 완공되어중국만주를 거쳐유럽까지 이어지는 국제 철도 노선의 일부가 되기도 하였다. 1920년대에서울역을 기점으로 하여, 신촌을 지나 가좌동에서 합류하는 신선이 개통되었다. 1943년에는 평양 - 신의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광복 후 남북 분단이 되었지만 열차는 계속 운행해 오다가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문산 - 개성 구간 운행이 중단되면서 남북간 철도는 끊기게 된다.

남북분단 이후

[편집]

1950년6월 25일에 발발한6.25 전쟁으로 인해 문산 ~ 개성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휴전협정 후대한민국 교통부 철도국,철도청에서는서울역 ~문산역까지만을 관할하게 되었다.2002년4월 11일대한민국의 경의선 복원 공사로도라산역이 신설되었다. 이후경의선이라는 이름은대한민국에서 서울 ~ 도라산 간 철도 노선을 일컫는 말로만 쓰게 되었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평양을 기준으로 설정, 경의선의 도라산 ~ 신의주 구간을 2개로 분화하여평부선,평의선으로 각각 이르고 있다.

경의선(문산-개성) 복원공사

[편집]
도라산역. 경의선 복원공사로 신설되었다.

경의선 복원 공사 완료로도라산역을 기점으로손하역,판문역,봉동역 등 3개역이 신설되었다.2006년 경의선과동해북부선의 시험 운행이 계획되었으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이후 재협상을 거쳐 2007년5월 17일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

2007년 12월 11일부터대한민국문산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판문역을 잇는개성공단 전용 화물열차가 정기 운행을 시작하였다. 그러나이명박 정부 이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잇따른 대남 공세와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로남북 관계가 악화되면서2008년 11월 28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방적인 통보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향후문산 ~도라산 구간 9.7km를 전철화하는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며, 우선 문산 ~임진강 구간 6km가2018년9월 21일 착공,2020년3월 28일 개통되었다. 그리고판문점 선언 이후동해선과 함께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어남북철도를 연결할 계획이다.

수도권 전철 운행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수도권 전철 경의선입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331000호대 전동차
경의중앙선 운행계통도
본 운행계통도(運行系統圖)는2023년 8월 26일자 시간표에 근거하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 경의선 구간만의 운행 계통을 나타낸 지도로 전체 구간은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운행계통도 문단을 참조할 것
경의중앙선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서해선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K320 행신한국고속철도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문산/일산/수색/능곡 - 용산 - 청량리/지평/덕소/팔당/용문/지평)
K335 문산
문산기지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4 백마
K322 대곡
고양기지
K320 행신한국고속철도
K316 DMC
K315 가좌

경의중앙선 본선 경의선 급행 (문산 - (급행) - 용산 - 전역정차 - 덕소/팔당/용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고양기지
K320 행신한국고속철도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경의중앙선 본선 중앙선 급행 (문산/일산/수색 - 전역정차 - 용산 - (급행) - 용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고양기지
K320 행신한국고속철도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P314 신촌
P313 서울한국고속철도

경의중앙선 지선 경의선 완행 (문산/대곡(휴일에만)-서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1 금촌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4 백마
K322 대곡
고양기지
K320 행신한국고속철도
향동(미개통)
K316 DMC
K315 가좌
P314 신촌
P313 서울한국고속철도

경의중앙선 지선 경의선 급행 (문산-서울)

경의선을 개량해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도록 하는 사업은1989년일산신도시 개발 계획과 함께 교통대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1] 하지만 그해 12월2기 지하철,일산선 계획이 확정되면서 경의선 전철화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고 일산 지역 교통 대책으로일산선만 건설되었다.[2]

이후 공사 계획은 여러 차례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1999년 착공되어200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산신도시 지역에서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공사가 중단되기도 하였고,2005년 지상화로 합의해 사업이 재개되었다.2009년7월 1일디지털미디어시티 ~문산 구간(경의선)이 개통되었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특히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능곡역 ~ 문산역까지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또한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강매역폐역되었으나,2014년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연혁

[편집]

일제강점기 시절

[편집]

해방이후 단선비전철 시절

[편집]

광역전철 시대

[편집]

운영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수도권 전철 경의선입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차량

[편집]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역 목록

[편집]

운행중인 역 목록

[편집]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KTX접속 노선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P313서울역Seoul Station서울驛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0.00.0서울특별시용산구
P314신촌Sinchon新村3.13.1서대문구
K315가좌Gajwa加佐용산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기지 입출고선
2.75.8마포구
K316디지털미디어시티Digital Media City빈칸서울 지하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77.5은평구
K317수색Susaek水色수색기지 입출고선0.68.1
수색직결선
(인천국제공항철도)
(8.882)
K318한국항공대Korea Aerospace Univ.韓國航空大고양기지 입출고선3.411.5경기도고양시
K319강매Gangmae江梅2.514.0
K320행신Haengsin幸信0.914.9
K321능곡Neunggok陵谷

수도권 전철 서해선
교외선
1.516.4
K322대곡Daegok大谷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교외선
1.818.2
K323곡산Goksan谷山1.719.9
K324백마Baengma白馬1.621.5
K325풍산Pungsan楓山1.723.2
K326일산Ilsan一山1.925.1
K327탄현Tanhyeon炭峴1.726.8
K328야당Yadang野塘2.128.9파주시
K329운정Unjeong雲井1.530.4
K330금릉Geumneung金陵3.133.5
K331금촌Geumchon金村2.135.6
K333월롱Wollong月籠4.139.7
K334파주Paju坡州2.241.9
K335문산Munsan文山문산기지 입출고선,
임진강 방면
4.446.3
K336운천Uncheon雲泉

문산,임진강 방면3.750.0
K337임진강Imjingang臨津江문산 방면2.352.3
K338도라산Dorasan都羅山운행 중지3.856.1
남북 경계 (이후평부선)

지선 노선

[편집]

경의선에는 총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0301효창선용산역효창공원앞역1.8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삭제되어 사실상 폐선
30302용산선용산역가좌역7.0
30303교외선능곡역의정부역31.8
30304수색객차출발선수색기지가좌역2.4
30305고양기지선한국항공대역고양기지1.7행신역 운행 KTX 이용 선로
30306문산기지선문산역문산기지2.1
30307수색직결선(경의선)(인천국제공항선)2.2

효창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효창선입니다.

효창선용산역효창공원앞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용산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용산선입니다.

용산선용산역가좌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교외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교외선입니다.

수색객차출발선

[편집]

수색객차출발선수색차량사업소가좌역을 잇는 지선으로, 수색차량기지의 차량 입출고를 위해 설치된 노선이다.

고양기지선

[편집]

고양기지선한국항공대역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잇는 철도로,한국항공대역을 지나간 후 경의선 왼쪽에서 분기한다.

수도단으로 입·출고하는KTX 열차가 이용하며,행신역을 오고가는 KTX 또한 고양기지선으로 운행한다.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한국항공대경의선0.00.0경기도고양시덕양구
고양기지1.71.7

배선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수색역 § 배선도,수색차량사업소 § 배선도수색직결선 § 배선도입니다.

문산기지선

[편집]

문산기지선문산역문산차량사업소를 잇는 철도이다.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입출고 열차가 사용한다.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문산경의선0.00.0경기도파주시
문산기지2.12.1

수색직결선

[편집]

수색직결선은 경의선수색역 인근 경의선 서울 기점 8.882km 지점에서인천국제공항선서울역 기점 13.583km 지점을 잇는 철도이다.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의선 분기)경의선0.00.0경기도파주시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분기)인천국제공항철도2.22.2

문화재

[편집]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대한민국등록문화재
지정번호등록문화재 제79호
(2004년2월 6일 지정)
소재지경기도파주시장단면 도라산리 894
제작시기대한제국

비판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 경의선 복선 전철 개통 당시 일부전철역들이 완공이 덜 된 상태에서 너무 급하게 전철을 개통시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32]
  • 경의선을복선 전철화할 때한국철도시설공단과 참여 시공사들이 부실 공사를 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지만, 공단은 이를 무시하였다.[33]
  • 대곡역의 환승 통로가 지나치게 승객들을 우회시켜 환승객들의 불편을 가져오고 있으며,환승역에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34]
  • 경의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한국철도공사행신역과의 거리를 이유로강매역을 폐역한 것에 대하여 행신2지구 주민들이 반발한 적이 있었다. 이로 인해강매역을 신축하여 영업을 재개하기로 합의,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 일부서울역행 전동열차 편성으로 인해용산선가좌역(지하) 이남의 역들은 일부 시간대에 30분 배차간격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대곡역까지 운행하는공덕역 출발 급행 열차가 신설되었으며, 평일에만 운행하는 공덕발대곡행 완행열차도 1편성 있었으나 직결운행 직후 대곡역 착발 열차는서울역 착발의 완행열차 운행으로 일원화되었다.

경의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2024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의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전동차일반화물운행총계
서울 - 수색16323029759
수색 - 능곡1852301117141
능곡 - 문산191001410141
문산 - 도라산5500202
경의2선
디지털미디어시티 -능곡1850085085

이용객 변동

[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이용 인원수 (명)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35]
통일(통근)2,903,8152,643,2953,321,3003,534,3634,433,2325,191,1915,073,6794,895,4955,443,4262,777,781181,258129,47791,77483,29120,4040
무궁화10,8424,6446,3156,8176,9721,4861,64011,71621,7453,8318,3579,8893,9789,5716,5603,250
새마을300003574,1067,93714,17163,07498,56833,78362201,084060,39254,907
KTX미개통39,794144,866179,504177,594192,735204,905231,723274,221304,317365,542309,13326,809
건설11,30310,44411,10011,917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864,4771,028,778880,309963,349
합계3,790,7373,687,1614,219,0244,516,8034,484,1045,345,4805,268,9945,147,8795,756,4743,020,300421,960413,587401,153458,404396,48984,966

미래

[편집]

중장기적으로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능곡역 구간은 이미 복복선화되어있고, 문산역까지는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장차 경의고속철도 건설추진시 수색 ~ 서울역 구간 선로용량 부족대비 차원으로 수색 ~ 금천구청간 고속선 지하화를 추진하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발표되었다.[3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교통부, 신도시 전철건설 5개안 확정”. 《MBC 뉴스데스크》. 1989년 5월 16일. 
  2. “신도시 지하철 선 1993년 완공”. 《MBC 뉴스데스크》. 1989년 12월 12일. 
  3. 明治工業史 鐵道篇 第四編 本土以外の鐵道及び特殊鐵道
  4. 朝鮮鐵道史 第1巻
  5.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483〜485
  6. 조선총독부관보 明治 제162호, 1911년 3월 17일자
  7. 조선총독부관보 明治 호외, 1911년 11월 24일자
  8. 조선총독부관보 大正 제642호, 1914년 9월 21일자
  9.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10.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849호, 1929년 10월 31일자
  11.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186호, 1930년 12월 15일자
  12.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483호, 1931년 12월 15일자
  13.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122호, 1934년 2월 8일자
  14. “조선총독부고시 제533호”. 조선총독부관보 제3436호. 《국립중앙도서관》. 1938년 7월 1일. 2쪽. 2021년 1월 17일에 확인함. 
  1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481호, 1938년 8월 23일자
  16.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855호, 1939년 11월 25일자
  17.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283호, 1941년 5월 7일자
  18.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 p84
  1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011호, 1943년 10월 14일자
  20.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143호, 1944년 3월 29일자
  21. “朝鮮の国土と鉄道の分断 北緯38度線” (일본어). 《百年の鉄道旅行》. 
  22. 철도청고시 제2000-29호, 2000년 7월 22일.
  23. 철도청고시 제2004-40호, 2004년 10월 27일.
  24. 이철호 기자 (2007년 5월 17일).“분단 반세기 만에 ‘철마’ 다시 달렸다.”. 《KBS 9시뉴스》. 
  25. 김원철 기자 (2007년 6월 3일).“경의선 가좌역 지반 침하... 일부 운행 중단”. 《국민일보》. 
  26.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2009년 6월 18일.
  27. 김남권 기자 (2009년 7월 6일).“경부·경의선 전동열차 운행중단”. 《한겨레》. 
  2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39호
  29.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77호, 2014년 10월 1일.
  3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31. [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2020년 8월 19일.
  32. 김미영 기자 (2009년 7월 27일).“경의선 개통 한 달, 역이야? 공사장이야?”. 《민중의소리》. 
  33. 동진서 기자 (2009년 7월 5일).“경의선 복선전철 부실공사 논란 앞과 뒤”. 《일요신문》. 
  34. 박종태 기자 (2009년 7월 14일).“경의선 환승역사, 장애인은 이용하지 말라?”. 《에이블뉴스》. 
  35.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36. 허우영 기자 (2021년 4월 22일).“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발표...KTX 수색~금천구청, 광명~평택 복복선화 담겨”. 《굿모닝경제》. 
고속철도노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노선
경강선(원주~강릉)
중앙선
중부내륙선
일반철도노선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충북선
경전선
장항선
전라선
경춘선
동해선
영동선
경북선
태백선
인천국제공항선
경강선
광역철도
예정
통합
폐지
미완성
시험철도
1:전용철도 노선, 2: 운영 회사 미확정, : 폐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울 지하철
직결광역철도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
서울 경전철
광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인천 도시철도
인천광역시경전철
경기도경전철
기울인 글씨: 공사 중(미개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의선&oldid=4059284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