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경기도

좌표:북위 37° 30′동경 127° 15′ / 북위 37.500° 동경 127.250° /37.500; 127.25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경기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기도의 분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기도
京畿道
도기휘장
경기도의 위치
경기도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28개, 3개
청사 소재지경기도청 :수원시영통구도청로 30(이의동)
경기도청 북부청사 :의정부시 청사로 1(신곡동)
도지사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행정1부지사김성중
행정2부지사김대순
경제부지사고영인
지리
면적10,180[1] km2
인문
인구13,721,178[2]명 (2025년)
인구 밀도1,342.26명/km2
경제
GRDP(2021년 어림값)
  • 명목527,046,766백만 원[3]
  • 실질496,672,331백만 원[3]
1인당GRDP38,720천 원[4]
상징
마스코트봉공이
표어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지역 부호
ISO 3166-2KR-41
지역번호031[5]
웹사이트https://www.gg.go.kr

경기도(京畿道)는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이다.수도권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를 둘러싸고 있고, 동쪽으로는강원특별자치도, 서쪽으로황해, 남쪽으로는충청남도충청북도와 접하고, 북쪽으로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황해북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와 경계를 이룬다.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광역지방자치단체로, 경기도의도청 소재지수원시이고,의정부시에 경기도청 북부청사가 설치되 있다.

역사

[편집]

고대

[편집]

경기도에는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연천군전곡읍 전곡리의구석기시대유적지하남시미사동신석기시대 유적지,여주 흔암리의청동기시대 유적 등 주요한 선사 취락지들이 분포하고 있다.기원전 2세기 경에는진국(辰國)에 속하였으며 이후삼한이 성립됐고마한이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일대에 분포하였다. 마한의 54개 소국 가운데 10여 개가 경기도 지역에 포함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8년,백제가 한강 유역에서 건국된 이래 백제의 중심지로4세기 말까지 기능했다.396년,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점령하였으며475년에는 한강 이남 지역도 상실하여 경기도 대부분이 고구려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551년백제 성왕신라와 연합하여 경기도 일대를 수복했으나553년에 신라가 연합을 파기하고 경기도 일대를 차지하고 신주(新州)를 설치하여 다스렸다.557년에 신주가 북한산주(北漢山州)로 개칭했다. 신라는 경기도를 차지하여 중국과의 해상 교통로를 확보했다.신라 시기엔한산주(漢山州)가 설치됐는데757년에 한주(漢州)로 개칭됐다.9세기 말에 신라가 혼란에 빠지자 경기도 각지엔 호족 세력이 난립했는데898년궁예의 세력이 경기도 일대를 평정했다. 궁예의후고구려는 송악(宋岳)에 도읍을 두기도 했다.918년에 송악의 호족인왕건이 궁예를 타도하고고려를 건국했다.

고려시대

[편집]

고려는 송악을개경(開京)으로 개칭하고 도읍으로 삼았다.고려 성종 14년(995년)에 지방행정구역을 십도(十道)로 개편할 때, 현재의 경기도는 관내도(關內道)와 중원도(中原道) 일부가 관할하는 지역이었다. 개경 주변에 적현(赤縣)(경현京縣이라고도 함) 6개와 기현(畿縣) 7개를 설치하였고,1018년현종이 적현과 기현을 묶어서 왕도의 외곽지역을 정식으로 '경기(京畿)'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당시 경기는 오늘날 경기도의 북부 일부(파주시의 북부,연천군의 서부)만 포함하였고, 이를 뺀 경기도의 대부분 지역은양광도에 속하였다.1067년서울의 강북 지역에 남경(南京)이 설치되었다.1069년양광도(楊廣)·교주도(交州)·서해도(西海道)로부터 39현을 포함하면서 원래 경기 13현과 합하여 총 52현을 관할하는 규모로 확대되었으나, 얼마 후 경기의 영역은 현종 때의 규모로 축소되었다.조선 개국 2년 전인1390년, 총 44현을 통할해1069년에 확대되었던 영역과 비슷한 규모로 재편되었고 처음으로 도 단위의 지방조직이 되었다. 당시의 경기는 좌도와 우도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조선 시대

[편집]
 경기도 (조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기감영도

조선 시대에는 태조가 도읍을한양으로 정한 뒤, 경기의 영역을 재조정하였다. 1402년(조선 태종 2년)에는 경기좌우도를 경기좌우도성(京畿左右道省)으로 명명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에는 지금과 비슷한 경기도의 경계선이 확립되었다.

1414년(조선 태종 14년) 1월 18일에 경기좌도(京畿左道), 경기우도(京畿右道)가 경기도로 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수안(遂安), 곡주(谷州), 연안(延安) 등 옛 경기도 북서부 지역이 풍해도(豊海道,황해도(黃海道))에 편입되었으며 양주(楊州), 광주(廣州), 수원(水原), 여주(驪州), 안성(安城)을 비롯한 일부 옛충청도 북부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었다.세종 시기에는 경기도 철원(鐵原), 안협(安峽)이강원도에 지우고 충청도 죽산(竹山)이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895년에 종래의 행정구역을 개편한23부제가 실시되었는데 이때 경기도는 대체로한성부,인천부,충주부,공주부,개성부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다시1896년13개의 도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으며 경기도의 수부(首府)는수원에 두었다.[6]

일제강점기

[편집]
 경기도 (일제강점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제강점기경기도청

군정기

[편집]

대한민국

[편집]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경기도의 행정 구역입니다.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경기도의 각 시/군의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다. 인구는 13,589,432명이고 남여비율은 1.01로 전반적인남초 지역이다. 시군별로는포천시(1.13)가 가장 높고,고양시(0.95)가 가장 낮다.

이름한자세대인구면적지도
수원시水原市528,4821,190,964121.0
성남시城南市408,195922,518141.7
의정부시議政府市208,352463,72481.5
안양시安養市227,475548,22858.5
부천시富川市344,135790,12853.4
광명시光明市118,493287,94538.5
평택시平澤市271,362578,529455.2
동두천시東豆川市43,97391,54695.7
안산시安山市291,091641,660149.1
고양시高陽市461,4591,076,535267.4
과천시果川市28,72678,13735.9
구리시九里市80,424188,70133.3
남양주시南楊州市304,288737,353458.1
오산시烏山市103,552229,84942.8
시흥시始興市223,534512,912135.0
군포시軍浦市113,878266,21336.4
의왕시義王市64,839160,22154.0
하남시河南市140,415326,05993.0
용인시龍仁市432,1511,074,971591.4
파주시坡州市218,264495,315672.4
이천시利川市102,618222,721461.3
안성시安城市89,951188,842553.5
김포시金浦市202,189484,267276.6
화성시華城市387,820910,814689.2
광주시廣州市170,497391,462430.8
개성시開城市?308,4401,308.634
양주시楊州市106,361243,432310.2
포천시抱川市73,438146,701826.5
여주시驪州市53,946113,150607.7
연천군漣川郡21,85842,062696.2
가평군加平郡32,14062,150843.5
양평군楊平郡59,788122,323877.8
개풍군開豊郡?115,862262.6
장풍군長豊郡?69,104542.17
경기도京畿道5,913,69413,589,43210,187.6

폐지된 행정구역

[편집]

인구

[편집]

경기도는조선 시대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농업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농촌 지역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 경기도는 수도 한성을 둘러싼 곡창지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인구 규모는 현대와 비교할 때 매우 적은 편이었다. 대다수 주민은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인구 밀도 역시 낮았다.

1950년한국전쟁 이후 피난민과 귀환민이 서울 및 인근 지역으로 몰려들었고, 그 과정에서 경기도 역시 인구 증가를 경험하였다.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산업화 정책에 따라 서울에 공장이 집중되면서, 주거 수요가 경기도 주변 지역(성남, 안양, 부천, 수원 등)으로 확산되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경기도는 본격적으로 서울의 위성도시적 성격을 띠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 접어들며 새마을운동과 산업단지 조성(구로, 반월, 평택 등)이 본격화되면서 경기도의 도시화는 급속히 진행되었다. 특히1980년대 후반부터1990년대 초반에 걸쳐 추진된 분당·일산·산본·중동·평촌 등 제1기 신도시 개발은 대규모 인구 유입을 촉발하였다. 이에 따라 경기도 인구는1970년 약 500만 명 수준에서1990년경 1,200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도 판교·동탄·파주 운정 등 제2기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경기도의 인구 증가는 지속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 경기도는2000년대 초반 서울을 추월하여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광역자치단체로 부상하였다. 수도권 과밀화 현상은 한층 심화되었으며, 경기도는 수도권 주거지로서의 비중을 확고히 하였다.

2010년대 중반 경기도 인구는 1,2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2025년 현재 약 1,400만 명에 이르고 있다. 반면 서울의 인구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경기도는 수도권 내 인구 비중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광역 교통망의 확충(GTX 등)과 제3기 신도시 개발(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고양 창릉 등)에 따라 향후에도 경기도의 인구 분산 및 집중은 동시에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인구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경기도(에 해당하는 지역, 강화군/옹진군 및 인천광역시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22]

경기도의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925년
1,889,899
1930년
2,231,367
1935년
2,528,834
1940년
2,715,746
1945년
2,715,746
1950년
2,648,688(1946년서울특별자유시 승격, 분리)
1953년
1,758,858(한국전쟁으로 피란민 대거 발생)
1955년
2,353,407
1960년
2,745,620
1965년
3,050,695
1970년
3,354,787
1975년
4,034,943
1980년
4,928,431
1985년
4,772,845(1981년인천직할시 승격, 분리)
1990년
6,137,227
1995년
7,640,078(1995년 강화군 · 옹진군인천으로 편입)
2000년
8,961,533
2005년
10,335,343
2010년
11,484,241
2015년
12,366,711
2020년
13,700,000
2024년 10월 기준 인구수는 13,686,731명이다.

연령별 인구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0년 10월 현재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그래프는 10,000명당 1씩 표현하였고 1,000의 자리가 8이상인 경우 반올림하였다.

계급별인구수인구그래프비고
0~4세491,574명
5~9세661,253명
10~14세656,784명
15~19세678,317명
20~24세857,628명
25~29세943,322명
30~34세859,329명
35~39세1,048,701명
40~44세1,099,970명
45~49세1,198,397명
50~54세1,163,495명
55~59세1,068,408명
60~64세915,280명
65~69세594,853명
70~74세428,645명
75~79세334,120명
80~84세229,161명
85~89세115,274명
90~94세41,507명
95~99세10,299명
100세이상4,927명

인구동태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출생(명)사망(명)혼인(쌍)이혼(쌍)
1980년109,72328,37346,6392,777
1985년88,56225,71747,2414,615
1990년115,04529,58660,6816,454
1995년141,71034,26471,55712,098
2000년141,70438,99269,16024,888
2001년126,26439,16368,51628,823
2002년116,85440,62868,25536,625
2003년120,43341,21468,25536,625
2004년117,81242,26670,23631,608
2005년109,53342,99172,43130,358
2006년115,11143,19577,23130,003
2007년126,64843,86581,24829,964
2008년119,39744,16878,00428,379
2009년113,69245,13273,40329,807
2010년121,75347,68778,47127,810
2011년122,02748,39479,13728,444
2012년124,72650,83079,44928,452
2013년112,12950,95977,64928,733
2014년112,16951,42574,30628,892
2015년113,49553,00573,95027,688
2016년105,64355,21570,05226,723
2017년94,08856,85266,42926,924
2018년88,17560,05066,87727,884
2019년83,19860,56862,35628,453
2020년77,73762,79457,81427,983
2021년76,13967,39954,65827,256
2022년75,32379,01054,17824,864
2023년68,81774,94954,22124,833
2024년71,28576,40062,62924,734

경기도지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경기도지사입니다.

신도시 사업

[편집]

1기 신도시

[편집]

2기 신도시

[편집]

3기 신도시

[편집]

교통

[편집]

전철

[편집]

고속도로

[편집]

문화

[편집]

축제

[편집]
 경기도의 축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적지

[편집]

종교 시설

[편집]

사찰

[편집]
 경기도의 사찰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포츠

[편집]

축구

[편집]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K리그1수원 삼성 블루윙즈1995년수원월드컵경기장
성남 FC1989년탄천종합운동장
수원 FC2003년수원종합운동장
K리그2부천 FC 19952007년부천종합운동장
FC 안양2013년안양종합운동장
안산 그리너스 FC2016년안산와~스타디움
K4리그포천 시민축구단2008년포천종합운동장
고양 시민축구단고양어울림누리 별무리경기장
시흥 시민축구단2016년정왕동체육공원
여주 FC2017년여주종합운동장
K3리그양주시민축구단2007년고덕인조구장
파주시민축구단2012년파주스타디움
김포시민축구단2013년김포종합운동장
화성 FC화성종합운동장
평택시민축구단2017년소사벌레포츠타운
WK리그수원FC 위민2008년수원종합운동장

야구

[편집]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KBO 리그kt wiz2013년수원케이티위즈파크
KBO 퓨처스리그고양 히어로즈2014년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연천 미라클2015년선곡 베이스볼파크
파주 챌린저스2017년교하야구장
고양 원더스에이스볼파크
성남 맥파이스2019년탄천종합운동장 야구장
가평 웨일스2021년가평종합운동장 야구장
포천 몬스터2022년미정
수원 파인이그스미정

농구

[편집]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KBL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1992년안양체육관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1995년고양체육관
수원 KT 소닉붐1997년수원KT소닉붐아레나
WKBL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1977년용인실내체육관
부천 하나은행2012년부천실내체육관

배구

[편집]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V-리그 (남)수원 한국전력 빅스톰1992년수원실내체육관
안산 OK금융그룹 읏맨2013년상록수체육관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1976년의정부체육관
V-리그 (여)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1995년수원실내체육관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2011년화성실내체육관

아이스하키

[편집]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HL 안양1994년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

경마

[편집]

1989년과천시한국마사회서울경마공원이 개장하였고, 경기도에 8개의KRA 플라자가 운영되고 있다.

자매 도시

[편집]
국가지역 & 도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남아프리카 공화국하우텡주
네덜란드의 기네덜란드노르트홀란트주
러시아의 기러시아모스크바
멕시코의 기멕시코멕시코주
미국의 기미국라스베이거스
버지니아주
유타주
플로리다주
스페인의 기스페인카탈루냐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주
일본의 기일본가나가와현
아이치현
중국의 기중국광둥성(广东省)
랴오닝성(辽宁省)
산둥성(山东省)
허베이성(河北省)
캐나다의 기캐나다브리티시컬럼비아주
파라과이의 기파라과이알토파라나주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경기도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각주

[편집]
  1.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2023년 12월).“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e-나라지표》. 2023년 12월에 확인함. 
  2.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2024년 11월).“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24년 11월에 확인함. 
  3. 대한민국 통계청 (2022년 12월 22일).“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KOSIS 국가통계포털》. 2023년 6월 16일에 확인함. 
  4. 대한민국 통계청 (2022년 12월 22일).“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KOSIS 국가통계포털》. 2023년 6월 16일에 확인함. 
  5. 경기도과천시·광명시 일원과고양시덕양구 일부(옛 고양군 신도읍·화전읍 지역),하남시 일부(옛 광주군 서부면 일부),시흥시 일부(과림동 일대),부천시 일부(옥길동, 역곡동 일부),안양시 일부(석수동 접경지역),구리시 일부(아천동 일부)는 지역번호가 02이다.
  6. 칙령(勅令)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官制改正件〕〉(《고종실록33년 8월 4일).
  7.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10년 10월 1일 공포) 참조.
  8.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 11월 3일)
  9. 서울특별시의설치(제정 1946.9.18 군정법률 106호)
  10. 황해도 옹진군의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북5도위원회
  11. 황해도 벽성군의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북5도위원회
  12. 군정법령 제22호 시, 도직제 (제정1945년11월 3일)
  13. 《옹진군지》(PDF). 333쪽.즉 가천면 장현리와 삼괴리 일부는 북면 가천출장소에 소속되었고, 교정면 국봉리・비파리・ 건전리와 난천리 일부는 서면 교정출장소 소속이 되었다. 벽성군 대차면 은동리와 월록면 장둔리는 옹진읍에, 가좌면 매산리와 자양리는 부민면에 각각 편입하였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4.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59호)에 의함.
  15.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62년 11월 21일 법률 1172호)에 의함.
  16. 서울특별시및경기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73년 3월 12일 법률 2596호)
  17.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제정 1981년 4월 13일 법률 3424호)
  18.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8년 12월 31일 법률 제4051호)
  19.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제정 1994년 12월 22일 법률 제4802호) 제10조
  20.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665호 (2015년 11월 26일)
  21. 실효지배영역 한정 파주시와 연천군에서 각기 관할된다.
  22.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외부 링크

[편집]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이북5도
도청소재지: 수원시, 의정부시
관서 지방
관북 지방
해서 지방
경기 지방
관동 지방
호서 지방
호남 지방
영남 지방
제주 지방
1.옹진군 백령면, 대청면, 연평면 제외
국제
국가
지리
학술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기도&oldid=4074200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