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에서결합 상수(結合常數,영어:coupling constant)는 어떤 물리적상호작용의 세기를 나타내는상수다. 예를 들자면,전자기 상호작용의 결합상수는미세 구조 상수 (기본 전하),약한 상호작용의 결합상수는페르미 상수,중력의 결합상수는중력상수다.
결합 상수는양자장론에서 이론이재규격화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자연단위계 ()에서, 결합상수가 (질량 단위로) 양의 차원 (즉 [질량]n,n>0)의 단위를 가지면 이론은 초(超, super-)재규격화가능하고, 결합상수가 무차원이면 이론은 재규격화가능하고, 결합상수가 음의 차원을 가지면 이론은 재규격화할 수 없다.[1]예를 들어,중력상수는국제단위계로 단위가 N·(m/kg)²인데, 자연단위계로 적으면 [질량]−1으로 음의 차원을 가진다. 따라서일반상대론은 재규격화할 수 없다.
재규격화군 이론으로 낮은 에너지에서의유효이론을 계산하면, 대개 결합상수가 양의 차원을 가진 상호작용은 그 세기가 점점 세지며, 무차원인 경우는 그대로, 음의 차원의 경우는 점점 약해진다. 따라서 낮은 에너지에서는 재규격화가능한 현상만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