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거제해맞이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제해맞이
역사
역사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Map
개괄
관할 기관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부전관리역
소재지현 역사 :부산광역시연제구 거제대로 123
구 역사 :부산광역시연제구 해맞이로 92
좌표북위 35° 10′ 56.09″동경 129° 4′ 9.12″ / 북위 35.1822472° 동경 129.0692000° /35.1822472; 129.0692000
개업일1940년12월 1일
역번K111
종별무배치간이역[1]
역 코드AFC 코드 :0216
승강장 수2면 4선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동해선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진 기점 6.9 km[2]
← K110부전
(2.3 km)
K112거제
(1.0 km)

거제해맞이역(Geojehaemaji station, 巨堤해맞이驛)은부산광역시연제구거제동에 있는동해선 광역전철전철역이다.

역명 유래

[편집]

광역철도 개통 이전의 옛 역명은거제역이었다. 전철 노선의 역명을 결정할 당시, 동명의부산 도시철도 3호선거제역은 이 역과 멀리 떨어져 있으며 가까운 남문구역과의 환승이 계획되어 있었다. 이에 3호선환승으로 인한 역명 혼선 방지 차원에서, 환승 예정인 '남문구역'을 '거제역'으로, 이 역(거제)을 현재의 역명(거제해맞이)으로 변경하였다.

거제해맞이는 거제4동을 가리키는 옛 지명인 해맞이마을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해맞이마을은 원래 '홰바지마을'이라고 불렀는데, 이는조선 시대에 형성된 부산장(현재의부산진시장)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멀고 험했기 때문에 저녁이 되면 마을 사람들이 횃불을 들고 집으로 돌아오는 장사꾼들을 마중나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2면 4선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편집]
부전
| | | |
거제
1동해선 광역전철사용하지 않음
2부전 방면
3거제 · 센텀 · 신해운대 · 일광 · 태화강 방면
4사용하지 않음

역 주변

[편집]
나가는 곳방면
1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
거성중학교
주차장
2거제대로
3거제4동 행정복지센터
거제초등학교

승차량 변동

[편집]
역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동해선승차5166217348387598519921,050[7]
하차4116397688617969031,0671,128


구 역사

[편집]

구 역사는 옛중앙선팔당역처럼 승강장 위에 있는 형태로, 이러한 형태는대한민국일본에서 거의 모두 사라졌기 때문에 매우 희귀하였다. 단층으로 된 역사는 대합실과 역무실이 한 건물 안에 있었으며, 지붕은 대칭을 이루는 두 평면으로 되어 있었는데, 이는 전형적인일제강점기 시골역의 형태였다. 이러한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등록문화재로 등재되지 못하였고,2009년에 철거되었다.

과거 거제역에 진입하려면 거제4동에서 역으로 진입을 하려면 현재 해맞이로를 건너 다시 거제역 위에 설치된 육교를 건너와서 작은 출입문을 통해서 들어가서 다시 부전역 방면의 철로를 건너 좌측으로 가면 거제역사가 있고 거기시 매표해서 기차를 탔고, 거제3동에서 역으로 진입하려면 현 거제대로를 건너서 거제대로와 철로 사이의 마을을 지나서 작은 출입문을 통해서 역사에 진입하였다. 역사가 상하행선 철로 중간에 있었다. 거제4동쪽에서 기차를 타는 경우에 육교를 건너야 했다. 출입구의 방향은 역의 동쪽에 있는 대로인거제로의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연산동, 거제3동 방면에서 거제역으로 진입하려는 사람들은 거제역 북쪽에 있는 과선교를 건너야 하였다. 거제4동 방면에서는 해맞이로로 명명된 2차로의 좁은 길만 건너면 바로 역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거제역의 거제4동 방면으로는 '골목시장'이라는시장이 있다.거제로 쪽은 폭 5미터 정도의 화단이 1km 정도동해남부선과 평행하게 나 있었으며, 그 사이에는 일체의 건물이 없다.

열차의 운행

[편집]

2006년10월 31일까지통근열차가 운행하였으나,11월 1일부터 시행된 열차 운행 개편에 따라동해남부선통근열차가 사라지고무궁화호로 대체, 하루에 아침·저녁으로 2회 운행하였다.2011년10월 5일부터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다.

사진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거제해맞이역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역사
    역사
  • 거제해맞이역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거제해맞이역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 거제해맞이역 내부
    거제해맞이역 내부
  • 역명판
    역명판
  • 구 거제역 승강장 (2008년)
    구 거제역 승강장 (2008년)
  • 구 거제역사 (2008년)
    구 거제역사 (2008년)
  • 구 거제역 승강장 (2010년)
    구 거제역 승강장 (2010년)
  • 구 거제역 타는 곳(2010년)
    구 거제역 타는 곳(2010년)

인접한 역

[편집]
동해선
K110부전 (지상)
부전 (지상) 방면
동해선 광역전철K112거제
태화강 방면

각주

[편집]
  1. 코레일네트웍스 역무위탁
  2. 부전 기점 2.3 km
  3.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324호, 1940년 11월 30일.
  4.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142호
  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 2016년 4월 29일.
  6. 한국철도공사 (2016년 12월).“동해선(부전~일광) 광역전철 영업개시 알림(12.30.~)”. 2016년 12월 3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일에 확인함. 
  7.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4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거제해맞이역&oldid=39040057"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