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강원특별자치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에 관한 것입니다. 분단 이전의 강원도에 대해서는강원도 문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에 대해서는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강원 특별 자치도
江原特別自治道
도기휘장
강원 특별 자치도의 위치
강원 특별 자치도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7개, 11개
청사 소재지본청:춘천시중앙로 1[1]
제2청사:강릉시주문진읍 연주로 70
환동해본부:강릉시주문진읍 주문로 14
도지사김진태 (국민의힘)
행정부지사김명선(제15대)
경제부지사정광열(제8대)
지리
면적16,830.8[2] km2
인문
인구1,509,396명[3]명 (2025년)
인구 밀도90.23[4]명/km2
경제
GRDP(2021년 어림값)
  • 명목50,659,583백만 원[5]
  • 실질46,476,220백만 원[5]
1인당GRDP33,319천 원[6]
상징
나무잣나무
철쭉
두루미
동물호랑이
마스코트강원이, 특별이[7]
지역 부호
ISO 3166-2KR-42
지역번호033
웹사이트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영어:Gangwon State)는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특별자치도다.

동쪽은동해, 서쪽은경기도, 남쪽은충청북도·경상북도하고 접하며, 북쪽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강원도하고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으로는순정 동부을 기준으로 동쪽으로강릉,속초,동해,삼척,태백시영동 지방과 서쪽으로춘천,원주시영서 지방으로 구분한다.

도청 소재지는춘천시로,강릉시에 강원특별자치도청의출장소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내 최대 도시는원주시로, 이러한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은 7 11이다.

역사

[편집]
 강원도 §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리

[편집]

위치

[편집]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명산 중 하나인 설악산

강원특별자치도의 총면적은 20,569km2이며 이 가운데 휴전선 이남이 82%인 16,873.51km2로, 총 면적중 81.7%인 13,783.68km2임야이며 농경지는 9.7%에 해당하는 1,625.22km2이며, 기타는 8.6%인 1,457.49km2로 구성되어 있다. 경지 면적은 밭 1,625.22km2, 기타 1,457.49km2이며, 농가 호당 면적은 1.48ha이다.[21]

강원특별자치도는 위도상으로 북위 37도 02분에서 38도 37분에 걸치고,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05분에서 129도 22분에 걸쳐있다.[21] 북위 38도선은 본도의 거의 중앙부를 통과하고휴전선고성군 현내면 북위 38도 45분 근처에서 서남하하여향로봉, 문등리 및 김화읍의 북방을 연결하는 북위 38도 20분선 부근에서 145km에 걸쳐 그어져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동서의 길이는 약 150km, 남북은 약 243km에 달한다.[21] 서쪽은경기도포천·연천·가평·양평 등 여러 지역과 접해 있고 남쪽은충청북도충주시·제천시,단양군경상북도영주시,봉화군·울진군과 북쪽은 북한의강원도하고접한다.

지형

[편집]
속초의 오징어잡이 배

강원특별자치도는 대다수의 지형이 산악이며, 그중 500m에서 1,000m 사이의 중간 산야 지대가 43.4%로 전국에서 가장 비중이 높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는 한반도 중앙부의 동측에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영동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평야의 발달이 취약하고, 영서는 경사가 완만하여남한강,북한강 같은 대하천이 발달되어 있다.[21]

기후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지방은북위 37°38°사이의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름에 고온·다습하며,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다. 또한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쳐 있기 때문에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의 기후 또한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21]

강원특별자치도의 연평균기온은 영동 11.0 °C, 영서 10.8 °C로 최저 6.6에서 최고 13.1 °C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의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은 철원에서 관측된 -29.2 °C와 홍천에서 41.0 °C를 기록하였다. 또한 연 강수량은 1,300~1,900mm로,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다설지 중 하나이다.[22] 또한 봄철의 영동지방에서는 건조한 국지강풍이 빈번히 발생한다.[22]

지질

[편집]
 강릉시의 지질,영월군의 지질,정선군의 지질,평창군의 지질,삼척시의 지질,태백시의 지질,홍천군의 지질,설악산,조선 누층군평안 누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강원특별자치도는 대부분선캄브리아기경기 육괴에 속하며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의영월,정선,평창,태백,삼척시 등은옥천 습곡대에 속한다. 옥천 습곡대에 속하는 지역에는고생대조선 누층군평안 누층군이 분포해석회암무연탄이 산출된다.

설악산중생대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강초롱 등 희귀 식물과천연기념물사향노루가 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설악산은1965년에 천연기념물 제171호로,1970년3월 24일국립공원으로,1982년에는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사계절 내내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설악산은 특히가을단풍이 아름답기로 유하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7개의 시와 1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군은 187개의 읍·면·동과 4,203개의 통·리, 21,951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23] 여기에서는 주민 미거주 5개 면(철원군 근동면‧원동면‧원남면‧임남면, 고성군 수동면)과 그에 속한 29개 리, 면장 미실시 1개 면(철원군 근북면(김화읍에서 관할))과 그에 속한 4개 리 가운데 3개의 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질적인 지배 상태에 있고이북5도위원회에서 관할하는 미수복지구(김화군·이천군·통천군·평강군·회양군 전체 지역, 철원군·양구군·고성군 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를 제외하고 있다.[23]

자치 단체

[편집]
이름(한자)청사 소재지단체장국회의원세대수
(2015)[24]
인구
(명, 2020)[25]
면적
(km2)
춘천시(春川市)시청길 11(옥천동 111-1)더불어민주당육동한(陸東翰)춘천·철원·화천·양구 갑 :더불어민주당허영(許榮)[26]

춘천·철원·화천·양구 을 :국민의힘한기호(韓起鎬)[27]
115,044282,5441,116.64
철원군(鐵原郡)갈말읍 삼부연로 51 (신철원리 649)국민의힘이현종(李賢鍾)22,01744,706890.3
화천군(華川郡)화천읍 화천새싹길 45 (아리 239)국민의힘최문순(崔文洵)13,66824,868909.1
양구군(楊口郡)양구읍 관공서로 38 (하리 34-5)국민의힘서흥원(徐興原)11,14022,350700.85
원주시(原州市)시청로 1(무실동 1)국민의힘원강수(元康修)원주 갑 :국민의힘박정하(朴正河)138,380353,928867.36
원주 을 :더불어민주당송기헌(宋基憲)
강릉시(江陵市)강릉대로 33 (홍제동 1001)국민의힘김홍규(金洪奎)강릉 :국민의힘권성동(權性東)93,774213,1891,039.82
동해시(東海市)천곡로 77 (천곡동 806)국민의힘심규언(沈圭彦)동해·태백·삼척·정선 :국민의힘이철규(李喆圭)40,33890,560180.07
삼척시(三陟市)중앙로 296 (교동 592)국민의힘박상수(朴相洙)34,60161,4851,148.05
태백시(太白市)태붐로 21(황지동 244-3)국민의힘이상호(李相澔)22,29342,800303.52
정선군(旌善郡)정선읍 봉양3길 21(봉양리 267)더불어민주당최승준(崔乘俊)19,51936,9371,219.58
홍천군(洪川郡)홍천읍 석화로 93(희망리 181)국민의힘신영재(申榮在)홍천·횡성·영월·평창 :국민의힘유상범(劉相凡)31,44369,1921,816.05
횡성군(橫城郡)횡성읍 태기로 15(읍하리 58-1)국민의힘김명기(金明起)20,82146,533997.71
영월군(寧越郡)영월읍 하송로 64 (하송5리 242)국민의힘최명서(崔明瑞)19,99038,7101,127.46
평창군(平昌郡)평창읍 군청길 77(평창읍 하리 210-2)국민의힘심재국(沈在國)20,60141,6651,464.16
속초시(束草市)중앙로 461 (중앙동 469-6)국민의힘이병선(李秉宣)속초·인제·고성·양양 :이양수(국민의힘)37,08482,636105.3
고성군(高城郡)간성읍 고성중앙길 9 (하리 12)더불어민주당함명준(咸明埈)15,32426,798664.34
양양군(襄陽郡)양양읍 군청길 1 (군행리 8)탁동수(권한대행)[28]13,37427,926628.9
인제군(麟蹄郡)인제읍 인제로187번길 8 (상동리 349-6)더불어민주당최상기(崔相基)15,59431,6231,646.36
강원특별자치원도(江原特別自治道)도청 :춘천시 중앙로 1(봉의동 15)국민의힘김진태(金鎭台)685,0051,542,37416,874.59
제2청사 :강릉시주문진읍 연주로 70
환동해본부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로 14

지도

[편집]
강원도 행정 지도

역대 도지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강원특별자치도지사입니다.

인구

[편집]

강원도는 산악 지형이 많고 교통이 불편하여 예로부터 대규모 인구가 정착하기 어려운 지역이었다. 농업 생산력 또한 제한적이었으므로 조선 시대에는 전국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속하였다. 다만 국경 방위와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기능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에는 태백, 삼척, 정선 등지에서 석탄 광산이 개발되고 철도가 개통되면서 일부 지역의 인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전체 인구는 여전히 타 지역에 비하여 적은 편이었다.

1950년대 한국전쟁 직후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강원도의 인구는 증가세를 보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석탄 산업이 호황을 맞이하였으며, 이에 따라 태백, 정선, 사북 등의 탄광촌은 급격히 성장하였다. 이 시기는 강원도의 인구가 가장 활발히 증가한 시기라 할 수 있다.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에 이르는 시기에 정부가 석탄에서 석유와 가스로 에너지 정책을 전환하면서 다수의 탄광이 폐쇄되었다. 이에 따라 태백, 정선, 삼척 등지의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였다. 한편 춘천, 원주, 강릉 등 영서 및 영동 지역의 주요 도시는 교통망 확충과 교육·산업 인프라의 성장으로 비교적 인구가 유지되거나 증가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전국적인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이 강원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강원도의 전체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여 2020년대에 이르러 약 150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원주, 춘천, 강릉 등 특정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는 반면, 농촌 및 산간 지역은 과소화와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2023년 6월 강원특별자치도가 출범하였으나, 인구 감소와 지역 불균형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연도별 인구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강원특별자치도(1948년 이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인구인구그래프비고
1925년1,322,331명
1930년1,547,612명
1935년1,655,635명
1940년1,734,565명
1945년1,845,002명
1950년1,169.090명[29]
1955년1,495,674명[30]
1960년1,636,439명
1965년1,801,111명
1970년1,865,379명
1975년1,860,245명
1980년1,790,909명
1985년1,725,127명
1990년1,584,411명
1995년1,465,413명
2000년1,484,281명
2005년1,460,791명
2010년1,463,649명
2011년1,471,076명
2012년1,484,214명
2013년1,496,045명
2014년1,507,914명
2015년1,517,955명
2016년1,521,121명
2017년1,521,534명
2018년1,527,949명
2019년1,542,296명
2020년1,542,374명

연령별 인구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7년 7월 현재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그래프는 1,000명당 1씩 표현하였다.

계급별인구수인구그래프비고
0~4세54,051명
5~9세64,751명
10~14세67,518명
15~19세91,641명
20~24세101,954명
25~29세81,733명
30~34세81,084명
35~39세101,268명
40~44세112,657명
45~49세130,413명
50~54세126,711명
55~59세145,381명
60~64세112,321명
65~69세76,161명
70~74세69,839명
75~79세64,648명
80~84세38,110명
85~89세18,018명
90세이상9,128명

인구동태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연도출생(명)사망(명)혼인(쌍)이혼(쌍)
1980년37,63115,11116,165691
1985년25,75112,66013,2191,204
1990년19,03011,71011,7621,462
1995년19,52411,34911,6442,710
2000년19,48210,9849,8983,941
2001년16,87310,7909,1624,488
2002년15,31410,9118,3784,632
2003년14,34910,8908,4135,152
2004년13,77610,6518,2354,322
2005년12,65710,5738,4964,105
2006년12,45510,4908,7313,985
2007년13,69010,4018,9303,818
2008년12,37310,5068,5173,394
2009년12,11210,4158,0813,742
2010년12,47710,7298,3653,579
2011년12,40810,5218,3383,562
2012년12,42611,0308,2253,556
2013년10,98010,7567,9463,725
2014년10,66211,0047,7853,630
2015년10,92911,3017,8763,484
2016년10,05811,4377,4683,482
2017년8,95811,5457,2953,263
2018년8,35111,9766,9943,418
2019년8,28311,9066,7623,624
2020년7,83512,1825,8683,358
2021년7,35712,7495,6223,161
2022년7,27815,0865,5723,117
2023년6,68814,2245,4942,961
2024년6,59214,4006,1433,016

문화

[편집]

문화재와 역사

[편집]

기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원도에도 여러 문화재들이 존재한다. 최소 강원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게 된 시기는 정확하게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소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31]되고 있다.

한반도의 중요 시기별 강원도의 대표적인 문화재를 꼽자면 통일신라 시대에 주조된상원사 동종과 더불어 남북국시대의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시대의강릉 임영관 삼문, 그리고 조선시대의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오죽헌,경포대 같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문화재들이 있다.

또한 강원도의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월정사오세암 등의 유명한 사찰이나 혹은 암자가 많이 위치하고 있다.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횡성 고씨(橫城 高氏)의 관향은횡성군이다.

박물관

[편집]

강원도내의 문화재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중앙 정부차원에서는 2002년국립춘천박물관을 설립[32]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정부 차원에서는박수근미술관[33],오죽헌시립박물관,태백석탄박물관 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민간 차원에서는 강릉의참소리 축음기 에디슨 박물관[34]등 특별한 주제를 가진 박물관들이 존재하고 있다. 세계적인 거장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미술관인뮤지엄 산 또한 강원도 원주에 위치하고 있다.[35]

축제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각 시군단체에서 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강릉시에서는유네스코가 세계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걸작 목록에 등재한강릉 단오제[36]등 여러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음식

[편집]

강원지방의 음식들은 산악지대나 고원지대가 많다보니, 감자, 메밀 등으로 만든 음식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37] 예를 들어서 강원도 전지역에서 먹는 나물밥, 그리고 산지인정선군에서는 곤드레밥과영월군에서는 메밀전병,화천군에서는 화천산천어영양돌솥밥, 화천삼나물밥이 유명하고,양구군에서는 양구 시레기가 유명하다.[38][39] 또한 또한 해안지역에서는 생선요리와 젓갈류 등이 발전[37]하였는데,동해시에서는 동해생선찜,속초시에서는 속초 오징어 순대,삼척시에서는 삼척복어요리 등이 유명하다. 이런 강원도의 토속 음식들은 극히 소박하고 조리법이 간단하다.[37]

유명한 곳

[편집]

국립공원 & 자연경관

[편집]

강원도에 위치한 태백산맥으로 인하여 수려한 산들이 많아 국립공원들과 천연기념물들이 강원도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

  • 설악산 국립공원
설악산 국립공원은 최고봉인 대청봉을 중심으로 암석지형의 경관미를 갖추고 있다. 또한 설악산 일대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자연자원의 분포 서식지로 1982년 유네스코(UNESCO)에 의해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설정되었다.[40]
  • 오대산 국립공원
오대산은 백두대간 중심축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오대산은 대한민국 불교문화의 성지 중 한 곳으로 꼽히고 있다.[41]
  • 치악산 국립공원
치악산은 오대산에서 서남향 방면으로 분기되어 나온 산으로, 원주시와 가깝다. 이런 점으로 인해 원주시와 국립공원 관리공단이 서로 협약을 맺어 둘레길을 건설하고 있다.[42]
  • 태백산 국립공원
태백산은 옛날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낸 '영산'으로 알려졌으며, 2016년 8월 22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43]

철원 화산지대를 통과하는한탄강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등의 천연기념물을 가지고 있다. 한탄강 지역은한국전쟁 시절 당시 격전지였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래프팅 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한탄강 인근에서 발견된 신증후성 출혈열 바이러스는 이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 유역에서 따와서 지어졌으며[44] 현재 한타바이러스 속은 이 한탄바이러스에서 이름을 따와서 붙여진 속이다.

또한 민통선이 존재하여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는 철원평야에는임진강 부분과 사실상 마찬가지로 멸종위기 동물인두루미가 철새로 오는 것으로 유명하다.[45]

이외에도양구해안면의 해안분지는 암석의 풍화와 침식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한국전쟁 당시 종군기자가 '화채그릇'(Punch Bowl)을 닮았다고 해서 이명인 펀치볼로 유명한 분지이다.[46]

관광지

[편집]

이외에도 강원도에는 여럿 유명한 관광지들이 존재한다.남이섬을 비롯하여통일전망대,소양강댐,정동진등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지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평창군에는 평창군에서 태어난 소설가인이효석을 기리는 이효석 문학관등이 있다. 또한 동해안을 끼고 있는 특징으로 인해경포해수욕장 등 여럿 해수욕장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정선에는 내국인용카지노강원랜드가 위치해 있다.

교통

[편집]

도로

[편집]

일반 도로는 총 9,800km이며, 포장률은 75.1%이다.[47]

관동 지방에는진부령(인제 ∼간성),한계령(인제 ∼ 양양),대관령(원주 ∼ 강릉) 등의 예전부터 있었던 고갯길이 존재한다. 이런 고갯길뿐만 아니라,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중 일부인국도 제7호선이 강원도를 통과하고 있다.

고속도로는인천광역시를 기점으로강릉을 종점으로 하는영동고속도로와,경기도광주시를 기점으로원주시를 종점으로 하는광주원주고속도로, 그리고 경상도지역을 연결하는중앙고속도로와 동해안 지역을 통하는동해고속도로, 그리고 서울과 양양을 연결하여영동고속도로를 분산하는서울양양고속도로가 존재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양양고속도로의인제양양터널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제일 긴 도로 터널이다.

버스

[편집]
 강원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철도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강원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의 다른 시외버스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모든 시군에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하여 강원도 내 다른 지역이나 혹은 강원도 바깥으로 나갈수 있다.

철도

[편집]
중앙 고속도로 원주 대교와 옛 중앙선 철도

강원특별자치도에 부설된 철도는 보통 광복 혹은 일제강점기 시절 태백 산간지방의 지하자원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산업철도에 기반[48][49]을 두고 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의 남서부에간선 철도중앙선이 지나며, 서울 ∼ 춘천 간에는경춘선이 있다. 또한 산업철도로 출발하여 중앙선에서 분기하여 강릉까지 가는영동선이 있으며, 동해에서 삼척까지 분기하는삼척선이 존재한다. 또한 제천에서 분기한태백선이 존재하며,중앙선 ·태백선 ·영동선의 일부가강릉시까지 전철화 공사가 완공되었다.경춘선이 간선철도 겸수도권 전철의 한 부분이 되었다. 또한 2012년 6월 착공된경강선 구간 중 현재 완공된 구간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22일부터KTX 열차가 운행 중[50]이며, 2020년 3월 2일에는 경강선의 지선인 강릉삼각선을 신설하여 일부 강릉선 KTX가 강릉삼각선을 통해 정동진 및 동해까지 운행한다.

2017년 경강선에서 운행중인 KTX를속초시까지 연장시키는 동서고속화철도사업 계획이 발표되었으며[51], 2025년까지 공사를 완료할 계획을 갖고 있다.[52]

강원특별자치도를 지나가는 간선 철도 중에경원선과 더불어동해북부선군사분계선으로 인해 도중에 끊겨져 있으며, 북한 지역에서고성군 북단의제진역까지 연결되어 있다.

항공

[편집]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는 여러 개의 군사 공항들과 민간 공항이 있으며, 그 중 2개의 공항이 여객을 수송한다.원주공항김해국제공항과 마찬가지로 군사기지를 공유하고 있으며[53], 군 공항이 아닌 민간공항은양양국제공항이 유일하다.

원주공항횡성군횡성읍에 있으며, 현재 국내공항[54]으로 운용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도 현재 국내공항으로 이용[55]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의 경우, 길이 2,500m, 폭 45m의 활주로 1본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항공기를 43,000건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연간 317만명의 여객[56]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주공항의 경우, 강원도 횡성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가장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해운

[편집]

동해와 접해있는 강원특별자치도는 여러 항구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묵호항의 경우 태백산맥에서 채굴한 시멘트와 석탄을 선적하고 있으며,[57]속초항의 경우 어항, 철광석 적출항, 관광항 등 여러 가지 기능이 결합된 무역항기능을 맡고 있다.[57] 또한 최근 호산항에는한국가스공사의 삼척 LNG 생산기지가 건설되고 있으며, 2014년 개항과 동시에 LNG 수송선이 접안하였다.[58]

승객 수송

[편집]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국내선과 해외선 페리 항로가 존재하며, 또한 속초항에는 크루즈를 접안할 수 있기도 하다.[59]

다음은 2018년 2월 강원도의 페리 항로이다.

국내 항로
[편집]
국제 항로
[편집]

국제 항로는 주로DBS크루즈훼리에서 일본 사카이미나토, 마이즈루, 블라디보스토크 등을 매주 1차례에 걸쳐 운항한다. 해당 노선을 이용하여 중간 도시를 거쳐서일본오키 제도,중화인민공화국훈춘시,하바로브스크,우수리스크 등 인접 도시나 지역과 연결되며 현재는코로나19 범유행에 따라 승객은 일절 받지 않고 화물 수송만 가능하다.

스포츠

[편집]

주요 스포츠 팀

[편집]
축구
[편집]
 강원 FC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강원 FC는 2008년 4월 28일김진선강원도지사K리그의 15번째 구단으로 축구단 창단을 발표하고, 2008년 11월 5일한국프로축구연맹 이사회에서 강원의 창단을 승인받았다.[63]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최순호 감독이 강원 FC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64] 2008년 11월 17일에 우선지명을 통해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출신의 선수 4명을 비롯하여 14명의 선수를 선발하였고, 11월 20일에 실시된2009 K리그 드래프트를 통해 9명의 선수를 더 선발하여 23명의 선수를 선발하였으며,[65]2008년12월 18일 창단했다.[66]

농구
[편집]
 원주 DB 프로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농구단은원주 DB 프로미가 유일하다.원주 DB 프로미원주시가 연고지인 대한민국의 농구 팀으로 2005년 10월동부그룹(現 DB그룹)이 TG삼보컴퓨터로부터 원주 TG삼보 엑서스 농구단을 인수하고동부화재(現 DB손해보험)를 모기업으로 하여 창단하였다. 지역 기업인대한석탄공사와 협정을 체결한 뒤 사회공헌 활동도 진행중에 있다.[67]

강원특별자치도의 스포츠 클럽들

[편집]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는 다음과 같은 스포츠 클럽들이 존재하고 있다.

강원 FC의 홈구장인 강릉종합운동장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K리그1강원 FC2008년강릉종합경기장
춘천송암스포츠타운
K3리그강릉시민축구단1999년강릉종합경기장
정선종합운동장
K4리그춘천시민축구단2010년춘천종합운동장
WK리그화천 KSPO 여자 축구단2011년화천공설운동장
KBL원주 DB 프로미1996년원주종합체육관

주요 스포츠 행사

[편집]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편집]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99년 1월 30일부터 2월 6일까지 강원도 내의평창군,강릉시,춘천시에서동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다. 이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은 종합 2위의 실적을 올렸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

[편집]
 2018년 동계 올림픽2018년 동계 패럴림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8년 2월 9일 ~ 2월 25일까지평창군 등에서2018년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 이후 대한민국에서 30년 만에 열린 올림픽이다. 또한 2018년 3월 9일부터 2018년 3월 18일까지2018년 동계 패럴림픽이 열렸다.평창군에서 개막식 및 폐막식과 대부분의 설상 경기가 진행되며, 모든 빙상 종목은강릉시에서 개최되었다.정선군에서는 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가 개최되었다.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편집]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4년 1월 19일 ~ 2월 1일까지 강원특별자치도 내의강릉시,정선군,평창군,횡성군에서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자매 도시

[편집]
국가도시
러시아의 기러시아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몽골의 기몽골투브주
미국의 기미국콜로라도주
인도네시아의 기인도네시아욕야카르타 특별주[68]
일본의 기일본돗토리현
중국의 기중국지린성(吉林省)
캐나다의 기캐나다앨버타주
필리핀의 기필리핀세부주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강원특별자치도청 (2023년 6월 12일).“찾아오시는 길”. 《도청안내》. 2023년 6월 16일에 확인함. 
  2.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2023년 12월).“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e-나라지표》. 2023년 12월에 확인함. 
  3.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2025년 10월).“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25년 10월에 확인함. 
  4. 통계청.“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e-나라지표》. 2024년 11월에 확인함. 
  5. 대한민국 통계청 (2022년 12월 22일).“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KOSIS 국가통계포털》. 2023년 6월 16일에 확인함. 
  6. 대한민국 통계청 (2022년 12월 22일).“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KOSIS 국가통계포털》. 2023년 6월 16일에 확인함. 
  7. [1]
  8.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년 5월 23일)
  9.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
  10. 법률 제372호 원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
  11.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12. 법률 제1176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13. 법률 제3188호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년 12월 28일)
  14.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15.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16.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17. 법률 제4417호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년 12월 14일)
  18.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8월 3일)
  19. 위상 높아진 강원특별자치도, 내일 출범 기념식 출처:뉴스1
  20.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 약칭: 강원특별법 ) [시행 2023. 6. 11.] [법률 제18875호, 2022. 6. 10., 제정]. 제6조(강원특별자치도의 설치) ② 강원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은 종전의 강원도의 관할구역으로 한다."
  21. 강원도청 (2016년 4월 27일).“자연환경”. 《강원도청》.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2. 기상청.“국내기후자료 - 강원도”.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3. 강원도청 (2016년 4월 27일).“행정지역”. 《강원도청》.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4. “강원도 주민등록인구통계”. 통계청.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5. “인구수 (주민등록)”. 강원도. 2018년 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6. 춘천시 동산면, 신동면, 남면, 동내면, 남산면, 교동, 조운동, 약사명동, 근화동, 소양동,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 해당.
  27. 춘천시 신북읍, 동면, 서면, 사북면, 북산면, 신사우동, 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일원 해당.
  28. 김진하(金振夏) 군수의 구속으로 인한 직무정지로 권한대행.
  29. 남북 분단으로이천,평강,회양,통천,철원,김화,양구,고성 일원과양양(속초시 포함) 일부,춘성군 일부,인제군 대부분이 북한으로 넘어감
  30. 1953년 휴전 협정 이후철원,김화,인제,양구,고성 대부분 지역과화천,양양,춘성군 전역을 수복함
  31. 노형석 (2016년 8월 12일).“구석기・신석기 선조들 먹고살던 동굴 정선서 발견”. 한겨례.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32. 김경석 (2017년 10월 30일).“춘천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전시관 재개관 개막”. 뉴스1.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33. 정성원 (2018년 1월 29일).'박수근 고향' 양구, 박수근을 입었다”. 조선일보.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34. 최보식 (2010년 12월 20일).“[최보식이 만난 사람] 강릉 ‘참소리 축음기·에디슨 박물관’ 손성목 관장”. 조선일보.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35. 연, 지연 (2023년 3월 31일).“직접 설계한 뮤지엄 산에서 개인전 여는 안도 타다오, 그가 말하는 청춘과 희망”. 조선비즈. 
  36. “강릉단오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8년 2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37. “강원도 전통음식의 특징”. 한식아카이브. 2018년 2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38. “강원도 대표음식 30선”. 강원도청.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39. 신효재 (2016년 12월 30일).“[영상]"강원도 대표 먹거리 30선". 뉴스1 강원. 2018년 2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0. “Mount Sorak”. UNESCO &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1. “오대산국립공원 지정 43주년을 맞이하여”. 강원도민일보. 2018년 2월 5일.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2. “치악산국립공원 지역에 68km 둘레길 생긴다”. 연합뉴스. 2014년 11월 19일.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3. 김정수 (2016년 4월 15일).“‘민족의 영산’ 태백산 스물두번째 국립공원 되다”. 한겨례.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4. 유기현 (2010년 10월 25일).“유행성출혈열 백신을 찾아낸 의학자, 이호왕”. 한겨례.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5. 천권필 (2018년 1월 28일).“철원 평야…전세계 두루미 30% 찾는 '철새 낙원'된 이유는”. 중앙일보.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6. 이진욱 (2015년 12월 11일).“<걷고 싶은 길> 최북단 숲길 양구 펀치볼 둘레길”. 연합뉴스.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47. “총도로연장”. 강원도청. 2018년 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48. “태백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49. “영동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0. 이은정 (2017년 12월 22일).“경강선 KTX 개통…서울-강릉 반나절 생활권 열렸다”. 《동아일보》.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1.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예비타당성 통과…사업 확정(종합)”. 연합뉴스. 2016년 7월 8일.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2. 유하룡 (2017년 7월 14일).“춘천~속초 동서고속철 노선·역사 첫 공개…5개역 신설, 2025년 완공”. 《조선일보》. 2018년 2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3. 김귀근 (2018년 1월 1일).“공군 FA-50 편대, '확고한 영공방위 결의' 초계비행”. 《연합뉴스》.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4. “원주공항 - 운영스케쥴”. 한국공항공사.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5. “양양국제공항 - 운영스케쥴”. 한국공항공사.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6. 국내선 207만명, 국제선 110만명
  57. “동해중부 사고다발지역안내”.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2018년 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8. 유형재 (2014년 2월 3일).“삼척 호산항 6월 개항…LNG 선박 입·출항”. 연합뉴스.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59. “속초에 국제 크루즈 터미널 준공”. 한겨례. 2017년 9월 21일. 2018년 2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60. “노선정보”. 씨스포빌. 2018년 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61. “운항정보”. 씨스포빌. 2018년 1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62. “schedule”. DBS Curise Ferry. 2018년 2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63. 이동칠 (2008년 11월 5일).“프로축구연맹, 11일 이사회서 강원FC 창단 승인”. 연합뉴스. 
  64. “최순호 감독 , 강원FC 초대 사령탑 맡아”. 재경일보. 2008년 11월 16일. 2012년 1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7일에 확인함. 
  65. 박대로 (2008년 11월 20일).“숭실대 임경현, 전체 1순위로 부산아이파크行…약 31% 지명돼”. 뉴시스. 
  66. 허정윤 (2008년 12월 18일).“K-리그 '신상' 강원FC, 공식명칭 및 엠블럼 발표”. 스포탈코리아. 
  67. 김용 (2017년 11월 20일).“김주성, 원주시에 연탄 1만1000장 기증...직접 배달도”. 스포츠조선.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68. 강원도 국제교류과.“자매결연지역”. 2018년 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강원도〉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이북5도
도청소재지: 춘천시
관서 지방
관북 지방
해서 지방
경기 지방
관동 지방
호서 지방
호남 지방
영남 지방
제주 지방
1.옹진군 백령면, 대청면, 연평면 제외
국제
국가
지리
학술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원특별자치도&oldid=4088996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