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가자 지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자 지구
قطاع غزة

국기


수도가자
최대 도시가자
정치
가자 지구 지도자이즈 앗딘 하다드
역사
오슬로 협정
UN 총회 옵서버 부여
팔레스타인국 설립
 
지리
면적364.3km2 (169 위)
시간대IST (UTC+2)
DSTIDT (UTC+3)
인구
2024년 어림2,141,643명
인구 밀도5,967.5명/km2
경제
통화이집트 파운드
이스라엘 신 셰켈 (ILS)
종교
종교99%수니파 (국교)
1%↓기독교
기타
국제 전화+970
이스라엘과 남동 지중해 지역의 주요한 지리학적 특징들

가자 지구( - 地區,아랍어:قطاع غزة 키타 가자[*],영어:Gaza Strip,문화어: 가자 지대)는지중해 연안에 위치한팔레스타인의 통치 지역으로서안지구와 함께 팔레스타인을 구성한다. 2024년 추산 230만 명의 인구 중 대부분이팔레스타인인 난민과 그들의 자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곳들 중 하나이다.[1] 가자 지구라는 이름의 유래이자 수도는가자 시티이며 최근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라파이다.이집트이스라엘에 접해 있다. 가자지구는 수년 동안 팔레스타인민족주의(Palestinian nationalism)와 저항의 원천으로 여겨져 왔다.[2][3][4]

영토 경계는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이 끝난 후이집트 왕국이 가자 지구를통제하는동안 확립되었다. 그 기간 동안전팔레스타인 보호령이 제한적인 인정 하에 설립되었고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동안피난을 가거나 추방된팔레스타인인들의 피난처가 되었다.[5][6] 이후6일 전쟁 동안이스라엘은 가자 지구를 점령하고 점령하면서 수십 년간 팔레스타인 영토에 대한 군사 점령을 시작했다.[5][6] 1990년대 중반의오슬로 협정으로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파타가 이끌었으나,2006년 선거에서수니파 이슬람 세력인하마스에게 패배했다.하마스는 이듬해가자 전투 에서가자 지구 통치권을 장악한 뒤 이스라엘과 전쟁을 벌였다.[7]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가한 이동 및 물품 제한은 199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 2005년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군대를 철수하고이스라엘 정착촌을 해체하고가자지구에 대한 봉쇄를 시행했다.[9] 봉쇄는 2007년 하마스가 정권을 잡은 이후 무기한으로 확대되었다.[10][9]이집트 역시 2007년부터 가자지구 봉쇄를 시작했다.

이스라엘의 철수에도 불구하고 가자지구는국제법에 따라 여전히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11] 현재의 봉쇄로 인해 사람과 물품이 자유롭게 영토에 출입하는 것이 불가능해 가자지구는 종종 '옥외 감옥'이라고 불린다.[12][13]유엔과 최소 19개 인권 기구는 이스라엘에 봉쇄를 해제할 것을 촉구했다.[14] 이스라엘은 무기 유출을 막기 위해 가자지구 봉쇄를 정당화하지만,팔레스타인인과 세계 인권단체들은 그것이연좌제이며 끔찍한 생활 조건을 더욱 악화시킨다고 말한다.2023년에 시작된 전쟁이 시작된 이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저지른 행위는 학자, 국제법 전문가,인권 단체들에 의해집단 학살에 해당한다고 정의된다.

2025년 1월 19일에임시 휴전이 시작되었지만 얼마 안가2025년 3월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격으로 휴전이 중단되었다.

Flag of Palestine가자 지구
팔레스타인
v  d  e  h


인구

[편집]

가자지구의 연간 인구 성장률은세계에서 39번째로 높은 1.99%[15](2023년 추산)로 1967년 이스라엘 점령 시에 약 35만 명이었던 가자지구의 인구는 대규모 난민과 높은 출생률로 인해 2024년에는 약 214만 명을 넘어섰다.[16] 이들이한국세종특별자치시 정도의 면적인 약 360제곱킬로미터 정도의 면적에 거주하여 가자지구는세계에서 13번째로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이 되었다.[17][15] 거주하는 주민은 14세 이하 아동이 43.5%, 18세 미만 아동이 50%로 청소년 비율이 상당히 높다.(2010년 기준)[18] 또, 214만 명 중 UN에 등록된 난민은 2019년 기준 약 146만 명(약 68%)이다.[19]

종교 인구

[편집]

대부분이국교이기도 한수니파이며, 소수의기독교인이 있다.

행정 구역

[편집]

가자 지구는북가자주,가자 시티가 위치한가자주,데이르알발라주,칸유니스주,라파주, 총 5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가자 시티가 있는가자 주로, 2017년 기준가자 주에는 전체 가자지구 인구의 약 35%인 65만 명이 거주한다. 이어칸유니스 주북가자주의 인구가 약 37만 명,데이르알발라 주는 약 27만 명,라파 주는 약 23만 명이다.[19]

정치

[편집]

하마스는 2007년에파타를 축출한 뒤 자치정부와 별도의 내각과 의회, 사법부를 구성해 가자지구를 실효 지배하고 있어 2017년야흐야 신와르가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하마스 지도부 대표로 선출됐었다.

가자지구에는하마스 산하의 무장조직인이즈 앗딘 알카삼 여단을 포함하여이슬람 지하드 연합,알나세르 살라흐앗딘 여단,팔레스타인 해방대중전선 산하의아부 알리 무스파타 여단 등 이스라엘을 적대시하는무장조직들이 있다.[19]

경제 및 환경

[편집]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46% 이상인 실업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청년 실업률은 70%에 이른다.[20][21] 주민의 80%가 식료품 등의 원조에 의존하여 생활하고 있다.[19]유엔 인구 기금의 예측에 의하면, 2020년에 가자지구에는, 거주불능수준으로 인구가 넘쳐나고, 2030년에는 인구가 약 31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가자지구 인구의 3분의 2는 1948년제1차 중동 전쟁에 의해 발생한 팔레스타인 난민 또는 그 자손이다. 그 난민 문제의 해결책은 현재도 요원(遙遠)한 상태이다.

  • 유아사망률 : 1000명 출생 대비 21.3명 사망
  • 출생률 : 4.7명
  • 인구증가율 : 1.99%[15]
  • 지하수의 염수화(鹽水化)와 하수처리시설 기능부전으로 인해, 가자에서 공급된 물의 95%가 오염되어 있고, 질병의 30%는 그러한 물이 원인으로 발생한다.

역사

[편집]

예로부터 통상과 군사상의 요지여서 많은 전쟁이 일어났는데, 1948년의제1차 중동 전쟁(팔레스타인 전쟁) 이후 1967년까지 이집트가 군사통치하였고, 1967년의제3차 중동 전쟁 이후 1994년까지 이스라엘군의 통치 아래 있었다. 이스라엘 통치시기에 실시된 인구조사에 따르면, 주민 약 63만 명 중 3분의 2가 제1차 중동 전쟁 때 흘러들어온 팔레스타인 난민이었고 그 반수가 난민수용소에서 살고 있었다.

1987년 12월 최대의 난민 캠프인 자발리아에서인티파다(대중 봉기)가 발생하였으며, 1993년 8월 제11차 중동 평화 협상에서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가자 지구를 포함한 점령지역의 자치안(오슬로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1994년부터 가자 지구에 대한 통치권이 단계적으로 팔레스타인 자치기구에 이양되었다.

2006년 자유선거에서 승리한하마스가 같은 해 6월 파타당과의 유혈내전을 시작하면서이스라엘미국,유럽연합이 제재조치를 불러오게 되었다. 현재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파타당이 장악하고 있는요르단강 서안 지구와는 정치적 경쟁 관계에 있다. 지중해로 나가는 길은 이스라엘 해군에 의해 봉쇄되어 있으며, 하마스의 원리주의를 경계하는 주변 아랍국들로 인해 대외 지원도 미약하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aza population down by 6% since start of war - Palestinian statistics bureau”. 《Reuters》. 2025년 1월 1일. 
  2. Sara M. Roy (2016).《The Gaza Strip》.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USA, Incorporated.ISBN 978-0-88728-321-5. 2024년 3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21일에 확인함. 
  3. Filiu, Jean-Pierre (2014년 11월 1일).“The Twelve Wars on Gaza”(PDF). 《Journal of Palestine Studies》44 (1): 52–60.doi:10.1525/jps.2014.44.1.52. 2024년 4월 2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21일에 확인함. 
  4. Rynhold, Jonathan; Waxman, Dov (2008).“Ideological Change and Israel's Disengagement from Gaza”. 《Political Science Quarterly》123 (1): 11–37.doi:10.1002/j.1538-165X.2008.tb00615.x.ISSN 0032-3195.JSTOR 20202970. 2023년 10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21일에 확인함. 
  5. “Gaza Strip | Definition, History, Facts, & Map | Britannica” (영어). 《www.britannica.com》. 2024년 9월 6일. 2023년 10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6일에 확인함. 
  6. Samson, Elizabeth (2010).“Is Gaza Occupied: Redefining the Status of Gaza under International Law”. 《American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Review》25: 915. 2023년 11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7. Tristan Dunning,Hamas, Jihad and Popular Legitimacy: Reinterpreting Resistance in Palestine,보관됨 2 11월 2022 -웨이백 머신 Routledge, 2016 p
  8.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Economic Impact Of The Destruction In Gaza”. 2024년 4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5일에 확인함. 
  9. Alfarsi, Haroun (2023년 10월 10일).“Gaza Strip Blockade: Explained” (미국 영어). 《Profolus》. 2024년 5월 3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30일에 확인함. 
  10. “Gaza Strip: devastated by conflict and Israel's economic blockade” (영어). 《Reuters》.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1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11. Sanger, Andrew (2011). 〈The Contemporary Law of Blockade and the Gaza Freedom Flotilla〉. M.N. Schmitt; Louise Arimatsu; Tim McCormack (편집). 《Year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 2010》1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29쪽.doi:10.1007/978-90-6704-811-8_14.ISBN 978-90-6704-811-8.Israel claims it no longer occupies the Gaza Strip, maintaining that it is neither a State nor a territory occupied or controlled by Israel, but rather it has 'sui generis' status. Pursuant to the Disengagement Plan, Israel dismantled all military institutions and settlements in Gaza and there is no longer a permanent Israeli military or civilian presence in the territory. However the Plan also provided that Israel will guard and monitor the external land perimeter of the Gaza Strip, will continue to maintain exclusive authority in Gaza air space, and will continue to exercise security activity in the sea off the coast of the Gaza Strip as well as maintaining an Israeli military presence on the Egyptian-Gaza border. and reserving the right to reenter Gaza at will.
    Israel continues to control six of Gaza's seven land crossings, its maritime borders and airspace and the movement of goods and persons in and out of the territory. Egypt controls one of Gaza's land crossings. Troops from the Israeli Defence Force regularly enter pans of the territory and/or deploy missile attacks, drones and sonic bombs into Gaza. Israel has declared a no-go buffer zone that stretches deep into Gaza: if Gazans enter this zone they are shot on sight. Gaza is also dependent on Israel for water, electricity, telecommunications and other utilities, currency, issuing IDs, and permits to enter and leave the territory. Israel also has sole control of the Palestinian Population Registry through which the Israeli Army regulates who is classified as a Palestinian and who is a Gazan or West Banker. Since 2000 aside from a limited number of exceptions Israel has refused to add people to the Palestinian Population Registry.
    It is this direct external control over Gaza and indirect control over life within Gaza that has led the United Nations, the UN General Assembly, the UN Fact Finding Mission to Gaza,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sations, US Government websites, the UK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and a significant number of legal commentators, to reject the argument that Gaza is no longer occupied.
     
  12. Sara Roy,Hamas and Civil Society in Gaza: Engaging the Islamist Social Sector,보관됨 2 11월 2022 -웨이백 머신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p.41:
  13. Multiple sources:
  14. “UN Assistant Secretary-General for Humanitarian Affairs and Deputy Emergency Relief Coordinator Call for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Support to the oPt”. OCHA. 2020년 1월 20일. 2021년 4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9일에 확인함...." including lifting of the blockade in Gaza..." 
  15. “Gaza Strip” (영어).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5년 3월 18일. 
  16. “가자지구”.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17. Arnon, Arie (Autumn 2007).“Israeli Policy towards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ies: The Economic Dimension, 1967–2007”(PDF). 《Middle East Journal》61: 575.doi:10.3751/61.4.11. 2013년 6월 30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18. Norman G. Finkelstein (2018).《Gaz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ISBN 978-0-520-29571-1. 2024년 3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0일에 확인함. 
  19. “가자지구”.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20. “Gaza Strip: devastated by conflict and Israel's economic blockade” (영어). 《Reuters》. 2023년 10월 12일. 2023년 11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21. Humaid, Maram.“Gaza graduates demand UNRWA solutions for high unemployment rate” (영어). 《Al Jazeera》. 2023년 11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관할 도시 목록
요르단강 서안 지구
가자 지구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기타
  1. 보케오주 골든트라이앵글 경제 특구만 한정.
  2. 남부주,나바티예주만 한정.
  3. 샨주 북부와 동부,꺼야주,라카인주,가인주 먀워디군만 한정.
  4. 2007년 8월 7일부터 해외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입국시 처벌 시행.
  5. 북부 레바논 접경블루 라인 지역 4km 구간만 한정.
  6. 캄포트주 보코산 국립공원,스바이리엥주 바벳,반테아이메안체이주포이펫만 한정.
  7. 로스토프주·벨고로드주·보로네시주·쿠르스크주·브랸스크주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쿠르스크주 전체 지역 포함.
  8. 브레스트주·호멜주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9. 러시아가 실효 지배 또는 점령 중인헤르손주·자포리자주·도네츠크주·루한스크주·크림반도 포함.
  10. 아제르바이잔 접경 지역에서 30km 구간.
  11. 아르메니아 접경 지역에서 5km 구간.
  12. 베네수엘라 내 콜롬비아 접경 지역인 술리아주, 타치라주, 아푸레주,카리브해 연안 지역인 수크레주 내 각 주의 주도 및 술리아주 동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13. 수도인니아메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만 한정.
  14. 이집트와의 영토 분쟁 지역인 와디 하이파 돌출지 및 할라이브 지역 포함.
  15. 북키부주,남키부주만 한정.
  16. 남극 활동 및 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14조(남극특별보호구역 등의 보호) ①외교부장관은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에서 지정한 다음 각호의 사항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고시하여야 한다.1. 남극특별보호구역 및 남극특별관리구역2. 남극사적지 및 기념물④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승인을 얻은 자는 남극특별보호구역 또는 남극특별관리구역에 출입하거나 그 구역안에서 남극활동을 하는 동안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승인서 또는 그 사본을 휴대하여야 한다.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가자_지구&oldid=4058532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