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 바로가기
이용 안내

청목령()

목차
청목령()
인문지리
지명
경기도 개성 서북방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삼국의 영(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개성 서북방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삼국의 영(嶺).
내용

청목(靑木)을 개성 서북방 지역으로 보는 것은 조선 말기까지 이곳에 청석(靑石) 옛 진보〔古鎭堡〕와 함께 고개에 관성(關城)이 있었기 때문이다.

청목령은 고구려와 국경을 이루는 백제의 국경요새로서 매우 중요시되던 곳이며, 개로왕 때까지 많은 전투가 있었다. 373년(근초고왕 28)에 청목진에 성을 쌓아 방위를 튼튼히 하였다.

386년(진사왕 2)에 15세 이상인 자들을 징발하여 관방(關防)을 건설하였는데 청목진에서 시작하여 북쪽은 팔곤성(八坤城)에, 서쪽은 바다에 이르렀다. 395년(아신왕 4) 고구려 광개토왕이 친히 군사 7000명을 이끌고 패수(浿水) 강변에 진을 치고 침공해오니 백제의 군사들이 이들과 싸웠으나 크게 패하여 사망자가 8,000명이나 되었다.

그 해에 왕은 패수전을 보복하려고 친히 군사 7,000명을 거느리고 한수(漢水)를 건너 청목진 밑에 이르렀다. 그러나 큰 눈을 만나 사졸이 많이 동사(凍死)하므로 회군하여 한산성에 이르러서 군사를 위로하였다.

469년(개로왕 15)에는 쌍현성(雙峴城)을 수리하고 청목령에 큰 울타리를 쳤다. 475년(문주왕 1)에 고구려 장수왕이 한성을 포위하여 달아나는 개로왕을 살해함에 따라 한성이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이로 미루어 이 시기에 청목령이 고구려의 영토가 된 것이다.

청목령은 멸악산맥의 고개로서 소백산맥의 조령(鳥嶺)과 같은 성격을 가졌다. 평양지역에서 개성을 잇는 간선도로가 이 고개를 통하여 이어졌고 이곳을 통하여 철원이나 평강 등의 관북지역과도 연결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개성의 북부외곽을 지키는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집필자
원경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인간
    부수 一 / 총획 5
    마루
    부수 宀 / 총획 8
    abcd
    abcd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미디어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비스에만 활용하도록 허가받은 자료로서,미디어 자유이용(다운로드)은 불가합니다.

    항목 관련 의견·문의

    항목 내용 중 오류나 보충하여야 할 사항을 상세하게 남겨주시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처리 결과는의견·문의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항목명
    의견 주제
    첨부파일
    미디어 관련 의견·문의

    미디어 또는 미디어 설명에 수정하여야 할 사항을 상세하게 남겨주시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처리 결과는의견·문의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
    의견 주제
    첨부파일
    의견·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대한 문의나 의견을 남겨주시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처리 결과는의견·문의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의견 주제
    첨부파일
    미디어 다운로드

    이용목적을 상세히 작성하여 남겨주세요.
    서비스 개선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해 주세요.

    <사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