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통일신라 조회순 목록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 여래 좌상 (팔공산 갓바위 불상, 慶山 八公山 冠峰 石造 如來 坐像)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 관봉에 있는 석조여래좌상.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八公山) 관봉(冠峰, ..
- 진성여왕 (진성(眞聖), 眞聖女王)진성여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5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887~897년이다. 즉위 초에는 조세를 면제하고 황룡사에 백좌강경을 설치하는..
- 성덕대왕신종 (봉덕사종, 聖德大王神鐘)통일신라시대의 범종.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완성은 혜공왕..
- 천등산 봉정사 (天燈山 鳳停寺)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천등산(天燈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능인대사가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
- 최치원 (고운(孤雲), 崔致遠)최치원 남북국시대 당에 유학하고 통일신라의 학자, 문장가, 관료이다. 당을 중심으로 한 국제 질서를 인정하면서도 신라의 고유성과 토착성을 알..
- 오대산 상원사 (진여원(眞如院), 五臺山 上院寺)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보천과 효명이 창건한 사찰. 오대산의 중대(中臺)에 있다. 705년(..
- 달마산 미황사 (達磨山 美黃寺)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달마산(達磨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조가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
- 태종무열왕 (무열(武烈),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2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54~661년이다. 이름은 김춘추로 진덕여왕 사후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여 신라..
- 천불산 운주사 (운주사(運舟寺), 千佛山 雲住寺)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불산(千佛山, 혹은 靈龜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문무왕 (신라 제 30대 왕, 文武王)신라 제 30대 왕이자 무열왕의 장자로 이름은 법민. 왕위에 오른 후 재위 기간 동안 백제 저항군을 진압하고 고구려 정벌했으며, 당나라 군대..
- 토함산 석굴암 (경주 석굴암 석굴, 吐含山 石窟庵)경주 석굴암 석굴은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 동쪽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김대성이 창건한 사찰 암자이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석불사였다...
- 범어사 (梵魚寺)범어사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산(金井山)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화엄십찰의 하나이자 왜구를 막는 ..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感恩寺址東西三層石塔)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동해안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 감은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3층석탑 2기. 동서로 건립된 두 탑의 규모와 ..
- 가야산 해인사 (해인사, 伽倻山 海印寺)합천 해인사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순응과 이정이 창건한 사찰이다. 신라 애장왕 때 창건되었다. ..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8세기 초에 간행된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본이다. 이 경은 1966년 10월 13일 경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