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한국무용 조회순 목록
승무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僧舞)승복을 입고 추는 줌.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이다. 오랜 세월 예인들에 의해 만들어져 온 한국의 전통춤의 본질이자 핵심인 춤으로 여겨진다. ..
- 처용무 (處容舞)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이다.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궁중에서 잡귀를 쫓..
- 살풀이 (煞풀이)대구광역시에 전승되는 민속무용. 대구광역시에 전승되는 민속무용. 살풀이춤의 발생은 남도무악(南道巫樂)에서 파생된 것으로 ‘살을 푼다’ 혹은 ..
- 김민자 (김우경(金又璟), 金敏子)해방 이후 최승희의 제자이며, 예그린악단의 안무가로 활동한 무용가. 1914년 서울 내수동에서 아버지 김영제(金永濟)와 어머니 유운자(柳雲子..
- 바라춤 (哱▽囉춤)불교의식무용의 하나로 바라를 들고 추는 춤. 불법(佛法)을 수호한다는 내용을 포함하며, 의식도량(儀式道場)을 정화하여 성스러운 장소가 되게 ..
- 승무 (僧舞)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1969년 중요무형문화재(현, 중요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본래는..
- 정재 (呈才)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여령이나 무동이, 지방 관아에서 기녀들이 공연했던 악가무의 종합예술. 정재라는 용어의 첫 번째 뜻은 ‘재주를 보인..
- 동래학춤 (東萊鶴춤)부산 동래지방에서 추어지는 학의 동작을 표현한 춤. 부산 동래지방에서 추어지는 학의 동작을 표현한 춤. 동래학춤에 관한 문헌은 전혀 찾을 수..
- 살풀이춤 (煞풀이춤)민속춤의 하나로 살을 푼다는 의미의 춤. 교방에서 기생들이 추었던 여성홀춤이기도 하다.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옛부터 우리나..
- 한량무 (閑良舞)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한량이란 양반 출신..
- 태평무 (왕꺼리, 太平舞)교방무용의 하나. 20세기 초에 경기무악장단과 춤사위를 바탕으로 한성준(韓成俊)이 무대화한 춤이고 ‘왕꺼리’라고도 했다. 1988년에 국가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