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한국음악 조회순 목록
- 아리랑아리랑은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온 한국의 전통 민요이다. ‘아리랑~’ 또는 ‘아라리~’ 및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 아리랑 (국가무형문화재 제129호)한국을 대표하는 민요. 본래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나, 직업공동체·사회공동체의 문화적 독자성이 강한 노래를 넘어서 민족이 위기에 처했을..
- 임을 위한 행진곡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추모하는 노래이자,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민중가요. 1981년 5월, 백기완의 미발표 장시 「묏비나..
- 사의 찬미 (死─讚美)윤심덕 작사, 이바노비치(Iosif Ivanovic) 작곡, 윤심덕 노래의 1926년 발표 번안곡. 윤심덕은 1923년 동경음악학교를 관비생..
- 트로트 (뽕짝, trot)일제강점기에 일본 엔카(enka[演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대중가요. 뽕짝. 독특한 5음계를 음악적 특징으로 하며, 일본 엔카의 번역 ·..
- 판소리판소리는 한 명의 창자(唱者)가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전통 공연 예..
- 아쟁 (牙箏)아쟁은 중국에서 전래된 지더(zither)형 찰현 악기(擦絃樂器)이다. 장방형의 공명통에 현을 걸어 활로 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낸다. 진동 ..
-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 ‘종묘악..
- 비파 (琵琶)현악기의 하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중의 안팎에서 널리 연주되었던 대표적인 악기이다. 악기 분류법에 의하면 사부(絲部) 또는 현명악기..
- 애국가 (愛國歌)나라를 사랑하는 정신을 담은 노래. 국가(國歌)는 한 나라를 상징하는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노래인 데 비하여, 애국가는 공식 · 비공식 여..
- 장구 (장고(長鼓))장구는 모래시계 모양의 북통 양면에 가죽을 대어 만든 타악기이다. 넓은 의미의 북에 속한다. 진동 원리에 따른 분류로는 막명(膜鳴)악기에 속..
- 거문고 (현금(玄琴))거문고는 고구려에서 유래된 가로로 눕힌 채 연주하는 현악기로 고정된 괘를 갖고 있다. 고구려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