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기록유산 조회순 목록
- 훈민정음 (훈민정음해례본, 訓民正音)1446년에, 정인지, 신숙주 등이 훈민정음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 등을 담아 간행한 훈민정음 해설서.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
팔만대장경 (국보 제 32호, 八萬大藏經)국보 제32호이다. 1011년에 새긴 초조대장경이 1232년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다. 1236년 몽골이 침입하자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훈민정음 (국보 제70호, 訓民正音)조선 4대 임금 세종이 1443년 창제하고 1446년 반포한 한국 고유의 문자체계, 또는 그를 설명한 책.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의 성격을 ..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제70호, 訓民正音解例本)세종이 창제한 글자인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운용법 등을 설명한 한문 해설서로 《훈민정음》 원본에 해당한다. 크게 본문인 〈예의(例義)〉와 해..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조선시대 제1대 왕 태조로부터 제25대 왕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1,89..
직지심체요절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고려의 고승 백운화상(白雲和尙) 경한(景閑)이 저술한 책. 원명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며, 약칭으로 〈직지심경〉이라고도 한다. 이..
- 해인사 대장경 (팔만대장경, 海印寺 大藏經)‘해인사 대장경’은 고려후기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대장경으로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소장된 불교경전이다. 『초조대장경』이 몽골군의 침..
세계기록유산 (UNESCO MOW, Memory of the World)사회·문화적으로 가치가 높은 기록물을 보존하려는 목적에서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유산 1997년부터 2년마다 지정되는 세계유산으로, 인류의 소중..
- 동의보감 (東醫寶鑑)『동의보감』은 조선시대 의관 허준이 중국과 조선의 의서를 집대성하여 1610년에 저술한 의학서이다. 총 25권 25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1..
하피첩 (정약용 필적 하피첩, 霞帔帖)다산 정약용이 강진에서 귀양하던 때 부인이 보내준 치마로 만든 서첩. 자신의 두 아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적은 편지글이 정약용의 필체..
동의보감 (국보 제319호, 東醫寶鑑)1613년 훈련도감에서 간행되었으며, 25권 25책이다. 1596년 선조의 명으로 허준·정작·양예수 등이 편찬하기 시작했으나 1597년 정유..
팔만대장경 - 천년이 지나도 썩지 않은 비밀은?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는 장경판전이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지도 벌써 10년째가 되고 있다. 81,256장의 ‘..
조선왕조실록 (국보 제151호, 朝鮮王朝實錄)1,893권 888책이다. 태조·정종·태종까지의 실록은 필사본, 세종실록 이후는 활자본으로 되어 있다.<태조실록>·<세종실록> 등으로 부르..
- 불조직지심체요절 (직지심경, 佛祖直指心體要節)고려후기 승려 경한이 선의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1372년에 초록한 교리서. 불교교리서. 상하 2권. 정식 서명은 ≪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