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중요민속문화재 조회순 목록
운조루 (국가민속문화재 제8호, 雲鳥樓)전통 한옥 중 몇몇은 풍수만으로도 이름이 높다. 운조루도 여기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그러나 독창적인 공간 구조를 가진 운조루는 전통 한옥..
외암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36호)첫 번째 답사지로 외암마을을 잡은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중요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일곱 마을 중 하나이며 앞으로 답사할 마을 중에서 가..
- 경주 양동마을 (慶州 良洞마을)경주 양동마을은 조선시대부터 월성손씨와 여강이씨가 세거한 경주 강동면의 씨족 마을이다. 손씨 가문과 이씨 가문이 혼인을 계기로 처가 쪽으로 ..
- 논산 명재고택 (윤증선생고택, 論山 明齋古宅)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명재 윤증 관련 주택.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하회 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제122호, 河回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민속마을. 민속적 전통과 건축물을 잘 보존한 풍산 류씨(柳氏)의 집성촌이다. 1984년 중요민속자료 제..
- 경주 최부자댁 (慶州 崔富者宅)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만석꾼 최부자 관련 주택. 주거건축. 1971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최씨의 ..
- 영양 서석지 (서석지, 英陽 瑞石池)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에 있는 조선후기 석문 정영방이 건립한 누정. 정자·연못. 1979년 중요민속자료(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 성주 한개마을 (대산동, 星州 한개마을)성주 한개마을은 경상북도 성주군에 있는 조선 전기 진주목사 이우 관련 마을이다. 2007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 강진 영랑 생가 (康津 永郞 生家)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 있는 대한제국기 에 설립된 시인 김영랑의 생가. 주거건축. 2007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영랑생가는 현재 본..
왕곡마을 (중요민속문화재 제235호)왕곡마을은 양반이 아닌 평민들이 살던 마을이다. 소박하고 담백한 한옥이 허물없이 모여 앉아 마을을 이루었다. 때문에 여느 한옥마을처럼 굳이 ..
- 신안 김환기 고택 (新安 金煥基 古宅)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화가 김환기의 생가. 2007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신안 ..
- 각궁 (角弓)조선 말기 고종이 사용하던 활. 1976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고종이 사용하던 어궁(御弓)이라고 전하는 이 활은 당시의 궁장(弓匠) ..
-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 (옥연정사, 安東 河回마을 玉淵精舍)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조선전기 영의정 출신 서애 유성룡 관련 주택.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