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중요무형문화재 조회순 목록
- 아리랑아리랑은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온 한국의 전통 민요이다. ‘아리랑~’ 또는 ‘아라리~’ 및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 아리랑 (국가무형문화재 제129호)한국을 대표하는 민요. 본래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나, 직업공동체·사회공동체의 문화적 독자성이 강한 노래를 넘어서 민족이 위기에 처했을..
- 판소리판소리는 한 명의 창자(唱者)가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전통 공연 예..
-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 ‘종묘악..
- 강강술래추석날 밤이나 정월 대보름날 밤에 전라남도 서남 해안지방에서 행하는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성인여자놀이.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현,..
승무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僧舞)승복을 입고 추는 줌.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이다. 오랜 세월 예인들에 의해 만들어져 온 한국의 전통춤의 본질이자 핵심인 춤으로 여겨진다. ..
- 처용무 (處容舞)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이다.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궁중에서 잡귀를 쫓..
- 승무 (僧舞)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1969년 중요무형문화재(현, 중요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본래는..
- 택견 (태껸)택견은 유연하고 율동적인 동작인 ‘품밟기’라는 우리 고유의 독창적 보법(步法)을 중심으로 상대를 발로 차거나 넘기는 기술을 사용하는 전통무예..
- 강릉단오제 (江陵端午祭)음력 4월 5일부터 5월 7일까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지방에서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며 산로의 안전과 풍작·풍어, 집안의 태평 등을 기원하는 마을..
- 대취타 (大吹打)선전관청(宣傳官廳)과 영문(營門)에 소속된 취타수(吹打手)에 의해 연주되던 행진곡풍 군례악(軍禮樂)의 일종. 선전관청(宣傳官廳)과 영문(營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