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유물 조회순 목록
- 백제금동대향로 (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金銅大香爐)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는 충청남도 부여군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된 백제의 향로이다.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이다. 동체를 연꽃봉오리로,..
- 성덕대왕신종 (봉덕사종, 聖德大王神鐘)통일신라시대의 범종.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완성은 혜공왕..
안티키테라 메커니즘 (Antikythera Mechanism)고대 그리스 시대에 만들어진 천문관측기구의 이름. 윤년을 포함한 365일 달력이 그려져 있으며, 특정 날짜별로 천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고인돌 (지석묘)고인돌은 지상에 드러나 있는 덮개돌 밑에 받침돌로 널돌이나 자연석을 고이거나, 주검을 안치한 매장 시설이 있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이자..
- 반가사유상 (半跏思惟像)반가사유상은 대좌에 걸터앉아 오른손을 뺨에 대고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을 표현한 불상이다. 반가사유상은 의자에 반가좌한 자세와 사유하는 모습..
- 혼천의 (선기옥형, 渾天儀)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던 천문관측기. 일명 혼의(渾儀) · 혼의기(渾儀器) ·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한다. 고대 중국의 우주관..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金銅 彌勒菩薩 半跏 思惟像)삼국시대의 보살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돈자형(墩子形) 의자 위에 앉아 왼발은 내리고, 오른발은 왼쪽 다리 위에 걸쳤으며 오른쪽 ..
- 증도가자 (證道歌字)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찍어낼 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금속활자. 증도가자로 추정되는 109점의 활자가 있으나 명확히 검증되지 않았다. 남명천화..
- 칠지도 (七支刀)일본 나라현[奈良縣] 덴리시[天理市]의 이소노카미신궁[石上神宮]에 소장된 백제 시대의 철제 가지모양의 칼. 철을 두드려서 만들었다. 전체 길..
- 보습 (이선(犁先))따비나 쟁기, 극젱이 등의 술바닥에 맞추는 삽(鍤) 모양의 연장. 이선(犁先)이라고도 한다. 땅을 갈아서 흙덩이를 일으키는 일을 하는데 사용..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 彌勒菩薩 半跏 思惟像)삼국시대의 보살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된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더불어 그 크기와 조각 수법에 있어서 삼국..
- 함무라비 법전 (Code of Hammurabi)바빌론 제1왕조의 제6대 왕인 함무라비 왕의 재위기간(BC 1792~50)에 만들어진, 현존하는 것 중 가장 완비되고 완전한 바빌로니아 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