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문화재 조회순 목록
- 경복궁 (북궐(北闕), 景福宮)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되어 정궁으로 이용된 궁궐. 정궁.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도성의 북쪽에 있다고 하여..
- 훈민정음 (훈민정음해례본, 訓民正音)1446년에, 정인지, 신숙주 등이 훈민정음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 등을 담아 간행한 훈민정음 해설서.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
팔만대장경 (국보 제 32호, 八萬大藏經)국보 제32호이다. 1011년에 새긴 초조대장경이 1232년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다. 1236년 몽골이 침입하자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경복궁 (사적 제117호, Gyeongbokgung Palace)조선의 정궁. 사적 제117호. 정연한 배치체계를 갖춘 궁궐로 북궐이라고도 한다.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삼으면서 건설한 것으로 〈시경〉의..
- 담양 소쇄원 (소쇄원, 潭陽 瀟灑園)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양산보가 조성한 정원. 명승.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스승인..
- 덕수궁 (경운궁(慶運宮), 德壽宮)덕수궁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이다. 원래 월산대군의 사가였는데 임진왜란 후 선조가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훈민정음 (국보 제70호, 訓民正音)조선 4대 임금 세종이 1443년 창제하고 1446년 반포한 한국 고유의 문자체계, 또는 그를 설명한 책.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의 성격을 ..
수원 화성 (사적 제3호, 水原 華城)수원 화성(사적 제 3호)은 팔달산과 그 동쪽의 낮은 구릉과 평지를 감싸며 쌓은 평산성(평지와 산을 이어서 쌓은 성)으로 타원형태를 이루고 ..
- 성락원 (城樂園)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후기 별궁의 정원. 명승. 202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면적 1만 4407㎡. 성락원은 뒤에 산등성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