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다음백과

제2연평해전

다른 표기 언어第二延坪海戰동의어서해교전

요약2002년 6월 29일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벌어진 남북한 해군 간의 전투.

목차

펼치기
    제2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제2연평해전서 출동했던 참수리 357호 모형, 전쟁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 Mztourist / wikipedia | CC BY-SA 3.0

    북한의 북방한계선(NLL) 침범으로 발생한 전투로, '서해교전'으로 불리다가 2008년 4월 '제1연평해전'에 이은 '제2연평해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9년 6월 7일에 발생한 제1연평해전 이후에도 북한 경비정의 NLL침범은 간헐적으로 발생했으며 2002년 6월 29일 오전 9시 54분에도 북한 경비정이 연평도 서쪽 7마일 해상에서 다시 NLL을 침범했다. 이에 남한 해군은 참수리 357, 358의 고속정 2대를 출동시켜 대응기동과 경고방송을 하며 접근했다. 오전 10시 25분, 북한 경비정은 갑자기 아무런 징후도 없이 참수리 357호에 85㎜포를 비롯한 모든 포를 동원하여 선제 기습포격을 하였다.

    양측 함정 사이에는 즉각적인 교전이 시작되었고 남한 해군의 고속정과 경비 중이던 초계함 등이 교전에 가담하여 북한 경비정에 대응사격을 함으로써 10시 43분 북한 경비정은 퇴각했다. 교전결과 북한경비정은 외부갑판이 대부분 파괴되어 반파되었고 전사 13명, 부상 25명 이상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남한 해군도 윤영하 대위를 포함한 6명이 전사하고 19명이 부상했으며 참수리 357 고속정은 침몰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해군 교전규칙이 기존의 '경고방송-시위기동-차단기동(밀어내기 작전)-경고사격-조준격파사격'의 5단계 소극적 대응에서 '시위기동-경고사격-조준격파'의 3단계 적극적 응전 개념으로 변경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cp명Daum전체항목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연관항목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제2연평해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