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펼치기

    운동선수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은 특정부분의 신체 운동에 의해 그 부분의 지방이 사용될 것이고 국소적으로 지방이 감소할 것이라고 믿는다. 초기의 몇몇 연구들의 결과는 국소 감량의 이러한 개념을 뒷받침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국소감량은 사실이 아니고 국소적인 운동일지라도 운동은 국소적인 저장소로부터가 아니라, 신체의 거의 모든 지방저장소로부터 지방을 끌어낸다고 하였다.

    엘리트 테니스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그들은 스스로를 조절하며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국소감량 연구에 이상적인 피험자가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팔은 하루에 몇 시간 동안 격렬하게 운동을 하는 반면, 다른 팔은 좌업 생활을 하는 사람들과 비슷하였다. 만약 국소감량이 사실이라면 사용하지 않는 팔은(비활동적) 결과적으로 사용하는 팔보다 더 많은 지방이 있어야만 한다. 실험 결과 피험자 선수들의 주된 팔은 운동으로 인한 근비대 때문에 더 굵어졌지만 사용하는 팔과 사용하지 않은 팔의 피하지방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27일 동안의 강한 윗몸일으키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부분적 효과가 없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복부, 견갑부와 둔부의 지방세포 지름의 변화율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운동 트레이닝(복부)의 부분에서 특수한 적응이 부족하다는 것을 암시했다. 신체사이즈의 굵기 감소는 운동 트레이닝으로 일어날 수는 있지만, 이것은 지방감소 때문이 아니라 근육 발달에 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Hagobian과 Btaun은 45~74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12주간의 중강도 운동 강도를 주당 6일, 1회당 60분 정도의 운동을 실시한 결과한자가 운동전보다 15%이상 향상이 있을 때 전체 체지방량의 감소도 있었지만 특히, 복부지방량의 감소가 가장 크다고 발표했다. 이는 복부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통해 전신지구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더 좋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부분 운동을 통한 감량이 아닌 전신 유산소 운동을 통한 감량이며, 전신지구력이 좋기 위해서는 꾸준한 유산소 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특정부분 지방감량을 위한 특정 운동보다는 지속적인 전신운동이 보다 지방감량에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Hagobian, T. A. & Braun, B. (2010). Physical activity and hormonal regulation of appetite: sex differences and weight control.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38(1), 25-30.

    출처

    성인 체력증진 백과
    성인 체력증진 백과도서 소개

    성인의 체력 향상과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운동과 질환에 따라 할 수 있는 운동법을 소개한다.

    전체목차
    1. 성인을 위한 체력 향상 운동 프로그램전신 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민첩성 및 순발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유연성 향상을 위한 운동
    체력 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2. 성인을 위한 목적별 운동프로그램올바른 자세와 운동운동과 다이어트몸짱만들기 프로젝트철인 만들기 프로젝트바디빌더 만들기 트레이닝근골격계 질환 예방 운동순환기계질환 예방 운동부위별 개정된 근육 명칭인체 전 · 후면 근육 명칭신체활동시 사용되는 METs
    3. 질환별 운동 시 고려사항근골격계 질환심혈관질환폐 질환혈관 질환뇌, 정신 질환기타 질환
    전체목차
    국민체육진흥공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부분적인 체지방 감량성인 체력증진 백과, 국민체육진흥공단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