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101가지
중고등수학
질문사전

‘거울 속 대칭’도 합동과 같나요?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야기하
교과단원초등 5학년 〈도형의 합동〉, 중등 1학년 〈작도와 합동〉

목차

펼치기

    두 도형이 서로 거울에 비친 모양일 때에도 우리는 서로 합동이라고 합니다. 두 도형 중에 한 도형을 아무리 밀거나 회전시켜도 포개어지지 않는데도 합동이라고 합니다. 왜 그런가요?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뒤집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엔 조금 다르지 않나요?

    정말 합동인가요?
    정말 합동인가요?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를 합동이 아니라고 하면 문제가 생깁니다. 두 도형에서 동일한 위치의 각의 크기가 서로 같고 대응하는 변의 길이가 서로 같으면 합동이라고 정의하였으니 두 도형은 당연히 합동입니다. 즉, 두 도형의 각 점을 적당히 대응시키면 분명히 모든 대응각의 크기도 같고 모든 대응변의 길이도 같게 만들 수 있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평면에서 평행이동이나 대칭이동을 시켜도 포개어지지 않으니 이를 어찌해야 할까요? 사실, 공간에서는 하나의 도형을 움직여 회전시키면 다른 도형과 겹쳐집니다. 이런 것을 어떤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좋을까요? 이것을 평면도형이 아닌 입체도형으로서 거울에 비친 두 도형의 관계로 생각하면 어떨까요? 왼손과 오른손의 관계와 같이 말입니다.

    왼손과 오른손
    왼손과 오른손

    합동이라고는 하지만 겹쳐지지 않습니다.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왼손을 공간 안에서 움직여서 오른손을 만들 수 없는 것은 당연하지요. 왼손을 거울에 비추면 오른손을 만들 수 있지만, 그것은 실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것처럼 보일 뿐입니다. 물리에서는 이것을 허상각주1) 이라고 하지요. 이와 같은 것은 ‘거울상 비대칭’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정육면체를 거울에 비추면 역시 정육면체가 되어 원래의 도형과 겹쳐지는 ‘거울 대칭’과는 달리 다음 그림과 같이 두 도형이 도저히 같아지지 않는 두 도형을 ‘거울상 비대칭’이라고 합니다.

    거울 대칭(정육면체)
    거울 대칭(정육면체)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거울상 비대칭(오른쪽 나선과 왼쪽 나선)
    거울상 비대칭(오른쪽 나선과 왼쪽 나선)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실상
    한 물체의 각 점에서 나온 빛이 렌즈나 거울 따위에서 굴절 · 반사한 다음 다시 모여서 이루는 실제의 상. 물체가 볼록 렌즈나 오목 렌즈의 초점 밖에 놓일 때에만 생긴다.

    다면체 중에서 정다면체각주2) 는 모두 거울 대칭입니다. 또한 준정다면체(아르키메데스 입체)는 13개가 있는데 각각 육팔면체,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부풀린 육팔면체, 깎은 육팔면체, 부풀린 십이이십면체, 깎은 십이이십면체, 다듬은 정육면체, 다듬은 정이십면체입니다. 그런데 다듬은 육팔면체는 다듬은 정육면체와 거울상 대칭이고, 다듬은 십이이십면체도 다듬은 정이십면체와 거울상 대칭이기 때문에 넓게 생각하면 이들도 준정다면체라고 할 수 있으므로 합하면 모두 15개가 됩니다.

    아래 그림은 다듬은 육팔면체와 다듬은 십이이십면체인데 그중 아래의 두 가지는 거울상 비대칭입니다. 이런 다면체는 각각 합동이지만 서로 겹칠 수 없습니다.

    다듬은 육팔면체
    다듬은 육팔면체

    꼭짓점 48개, 모서리 72개, 면 26개(정사각형 12개+정육각형 8개+정팔각형 6개)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꼭짓점 120개, 모서리 180개, 면 62개(정사각형 30개+정육각형 20개+정십각형 12개)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세상의 물체들은 대개 거울상 비대칭입니다. 특히 생물은 대칭인 것 같으면서도 미묘하게 비대칭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엄마가 아기를 안아 재울 때 아기 머리를 왼팔 쪽으로 가게 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아기는 태어나기 전에 듣던 엄마의 심장 소리를 들으면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잘 자는데, 머리가 왼쪽으로 가도록 안으면 엄마 심장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잠자는 아이
    잠자는 아이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물에서도 거울 대칭과 다른 거울상 비대칭이 있나요?

    귤이나 오렌지의 껍질에는 작은 주머니들이 있고 그 안에 액체가 들어 있다. 불 앞에서 껍질을 눌러 그 주머니를 터뜨리면 액체가 튀어 나오면서 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액체의 주성분은 리모넨(limonene)이라는 기름이다. 이 리모넨 역시 거울 비대칭인 분자인데, 거북이처럼 엎드려 머리만 쳐들고 있는 모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거북이 머리를 쳐들지 않았으면 리모넨은 거울 대칭인 분자이다. 생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것은 D-리모넨이고, 드물게 L-리모넨도 볼 수 있다. 이 두 물질은 화학적인 성분은 똑같지만 우리의 코나 혀에서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향이나 맛이 전혀 다르다. 보통 D-리모넨은 오렌지에, L-리모넨은 레몬에 들어 있어서 그 두 과일의 향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몬 기름도 주성분은 D-리모넨이고 L-리모넨이 약간 들어 있는 정도이다. 송진과 비슷한 향에 쓴 맛이 나는 것은 L-리모넨 때문이다.

    오렌지의 D-리모넨
    오렌지의 D-리모넨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레몬의 L-리모넨
    레몬의 L-리모넨

    ⓒ 북멘토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동흔집필자 소개

    ‘수학은 우리의 힘’이라는 믿음 아래 우리의 삶이 수학으로 윤택해지는 그날을 기다리며 교육 현장을 발로 뛰고 있다. 2010년 ‘사단법인 전국수학교사모임’ 회장을 맡았으며, 세계수학교육자대회 대..펼쳐보기

    ‘수학은 우리의 힘’이라는 믿음 아래 우리의 삶이 수학으로 윤택해지는 그날을 기다리며 교육 현장을 발로 뛰고 있다. 2010년 ‘사단법인 전국수학교사모임’ 회장을 맡았으며, 세계수학교육자대회 대한민국 조직위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수학대중화 사업단 조직위원, 수학문화축전 기획 및 준비위원 등의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현재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수학은 우리의 힘’이라는 믿음 아래 우리의 삶이 수학으로 윤택해지는 그날을 기다리며 교육 현장을 발로 뛰고 있다. 2010년 ‘사단법인 전국수학교사모임’ 회장을 맡았으며, 세계수학교육자대회 대..

    출처

    101가지 중고등수학 질문사전
    101가지 중고등수학 질문사전|저자이동흔|cp명북멘토도서 소개

    중, 고등 수학 교과서를 꿰뚤는 모든 질문에 답하다! 전국수학교사모임 선생님과 여러 현직 선생님들이 던진 수학에 대한 101가지 기발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들을 소개..펼쳐보기

    중, 고등 수학 교과서를 꿰뚤는 모든 질문에 답하다! 전국수학교사모임 선생님과 여러 현직 선생님들이 던진 수학에 대한 101가지 기발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들을 소개한다.중, 고등 수학 교과서를 꿰뚤는 모든 질문에 답하다! 전국수학교사모임 선생님과 여러 현직 선생님들이 던진 수학에 대한 101가지 기발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들을 소개..
    전체목차
    기하, 신의 영역인가?각을 왜 배워요?도형을 이루는 기본 요소인 점이 도대체 뭐예요?기하를 배울 때 왜 다각형을 가장 먼저 배워요?정다각형만으로 평면을 채울 수 있나요?‘거울 속 대칭’도 합동과 같나요?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어떻게 구하나요?왜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 합은 항상 360도인가요?임의의 사각형으로 바닥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나요?뿔의 부피는 왜 기둥 부피의 1/3인가요?다각형의 넓이는 어떻게 구하나요?서로 다른 4개의 점을 지나는 원은 항상 존재하나요?직선과 평면이 수직이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지구 둘레의 길이는 어떻게 구하나요?무게가 다른 두 물체의 무게중심은 어디에 있나요?사각형의 무게중심은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수와 연산, 계산은 뭐고, 연산은 뭐지?회문(回文)수가 무엇인가요?무수히 많은 유리수를 빠짐없이 셀 수 있나요?무리수도 유리수처럼 하나하나 셀 수 있나요?인도-아라비아 숫자가 변했다구요?19×19단을 외우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규칙이 있나요?소수만 걸러내는 체가 있다던데요?신비한 숫자 7에 대하여일주일은 왜 7일이 되었나요?‘찰나’가 수를 나타내는 단위라구요?완전한 수가 있다구요?도형수가 무엇인가요?분모의 유리화는 왜 하나요?문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무리수에서 정수부분과 소수부분을 어떻게 구분하나요?유리수와 분수는 다른 건가요?0은 짝수인가요?무리수의 사칙연산에 대해 질문 있어요!음수를 빼는 것이 양수를 더하는 것과 왜 같나요?(-)×(-)=(+)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황금비가 무엇인가요?바코드에 적힌 숫자는 무얼 의미하나요?0.999···=1인가요?피타고라스 학파가 무리수를 두려워한 이유는?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무리수가 실생활에 어떻게 쓰이나요?원주율을 정확히 구하는 방법은?내년의 오늘 날짜는 왜 하루씩 요일이 밀려가나요?매년 같은 날짜는 요일이 같은 달력암호를 만드는 데 소수를 어떻게 이용하나요?세상의 모든 정보는 2진법으로 표현할 수 있나요?100% 세일은 공짜?백분율에 함정이 있다던데요?
    함수와 규칙성, 간단하다면서 왜 복잡하게 설명해?자연을 닮은 수, 피보나치 수열시계 속에는 어떤 수학이 숨어 있나요?하노이탑의 전설이 궁금해요?숫자로 피라미드를 어떻게 쌓나요?마방진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지도를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려면?절대 지지 않는 게임이 있다던데요?마음을 읽는 수학함수의 시작은 ‘탈레스’지레의 원리에도 함수 관계가 있나요?함수는 자연과 무슨 관계가 있나요?사다리타기도 함수라고 할 수 있나요?모양은 달라도 같은 함수가 있나요?함수는 어떻게 나타내나요?함수의 표준형과 일반형은 무엇이 다른가요?걸음 속에도 함수 관계가 숨어 있나요?게임 속에 숨어 있는 함수
    확률과 통계, 알면 점쟁이가 되는 건가?왜 우리 학급에 생일이 같은 친구가 꼭 있나요?비 올 확률이 50%라면 우산을 꼭 챙겨야 하나요?아들만 셋인 부부가 넷째도 아들을 낳을 확률은?검사 결과를 얼마나 믿어야 할까?착각하기 쉬운 확률 계산왜 엘리베이터는 나를 피해 다니나요?자료와 정보는 어떻게 다른가요?평균값이 이상해요?통계로 암호를 해독한다구요?무작위 추출은 어떻게 하나요?착각하기 쉬운 확률, 확률의 정의우리도 전 세계인과 일촌을 맺을 수 있다?10명이 모든 좌석에 앉으면 평생 무료!나의 인연을 만날 확률은 우연일까, 필연일까?‘우연의 일치’가 일어날 확률은?로또 당첨 확률이 벼락 맞을 확률보다 낮다?표본조사에서 표본의 크기는 얼마로 해야 하나요?왜 나에게만 안 좋은 일이 계속 생기나요?추첨에서 몇 번째로 제비를 뽑아야 하나요?통계 그래프를 믿어야 하나요?세계 최고의 도박, 기댓값밑천이 많은 사람이 이길 확률이 높을까?심슨의 패러독스윷놀이에는 어떤 확률이 숨어 있나요?‘출구조사’가 뭐예요?동전의 앞면이 나올 확률이 확실히 1/2인가요?월드컵 조추첨이 수학이라구요?3개의 상자 중에 당첨 구슬이 있는 상자는?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이슈 TOP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거울 속 대칭’도 합동과 같나요?101가지 중고등수학 질문사전, 이동흔, 북멘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