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101가지
초등수학 질
문사전

평균이 높으면 공부를 잘하나요?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야확률과 통계
교과단원초등 5학년 〈자료의 표현〉, 중등 1학년 〈통계〉, 중등 3학년 〈대푯값과 산포도〉

시험 본 다음 날 점수가 나오면 친구들은 열심히 계산을 해요. 그러곤 “내 점수는 평균 ○○점이야”라고 말해요. 그런데 평균이 높으면 모든 과목을 잘하나요? 평균은 어떻게 구하나요? 또 어떤 의미가 있나요?

ⓒ 북멘토 | CC BY-NC-ND

많은 것들을 대표하는 평균

친구들과 시험을 보고 나서 점수 비교를 할 때, “내 국어 점수는 88점, 수학 점수는 96점, 과학 점수는 92점, 사회 점수는 84점이야”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내 평균 점수는 90점이야”라고 말하는 것이 점수가 어느 정도 되는지 훨씬 쉽게 전할 수 있어요. 이처럼 평균은 여러 가지 자료들을 대표한 값을 나타내어요. 식으로 쓰면 다음과 같아요.

ⓒ 북멘토 | CC BY-NC-ND

학교에서 신체검사를 할 때 친구들의 최대 관심사는 키와 몸무게! 자신의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지, 적게 나가는지 매우 예민하게 생각하죠? 또 자신의 키가 잘 크고 있는지 유심히 살피지요.

그럼 어떤 것을 기준으로 키와 몸무게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쉬울까요? 이때 많은 사람들의 평균 키와 몸무게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아래는 나이와 성별로 사람들의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여 나온 평균값을 표로 나타낸 것이에요. 자신의 나이와 성별이 같은 사람들의 평균 키나 몸무게와 비교해 보면,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지, 키는 잘 크는지 쉽게 비교할 수 있지요.

구분
평균키(cm) 평균 몸무게(kg) 평균키(cm) 평균 몸무게(kg)
초등학교 1학년121.624.7120.223.5
2학년127.828.4126.526.8
3학년133.432.4132.330.4
4학년139.137138.534.9
5학년144.141144.939.6
6학년150.646.2151.144.2
중학교 1학년158.251.7155.748.7
2학년164.357.615851.7
3학년168.761.6159.353.7
고등학교 1학년171.864.9160.255.1
2학년172.966.6160.655.9
3학년173.668.4160.956.2
(출처: 교육부)
신체 발달 상황[2012년]

평균만 믿으면 안 돼

평균은 자료의 전체를 대표하는 값이지만 평균만으로는 전체를 나타낼 수 없는 경우가 많아요. 평균이라는 값에는 함정이 있기 때문이죠. 얼마 전 본 수학경시대회 점수가 다음과 같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살펴볼까요?

설아 태인 제우 선우 지우 재현 평균
2025301001002550.00

친구 6명의 평균은 50점이에요. 평균 점수가 50점이니 대부분 아이들이 절반 정도 문제를 맞혔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하지만 각각의 점수를 살펴보면 다 맞은 2명의 친구와 30점 이하의 친구 4명으로 되어 있죠.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번 경시대회 문제를 잘 풀지 못한 것으로 봐야 하겠죠? 2명만 빼고 말이죠. 따라서 평균만 전적으로 믿으면 안 된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남준집필자 소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중이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2007개정교육과정 수학교과서, 2009개정교육과정 수학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다.

김잔디집필자 소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전국수학교사모임을 통해 즐거운 수학 수업을 위한 연구를 해왔다. 서울강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에서 수학과 과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중이다.

김혜임집필자 소개

어린이들을 위한 과천과학관 수학체험교실과 수학클리닉 상담교사로 활동하는 등 초등학생을 위한 즐거운 수학 공부를 위해 힘써 왔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고..펼쳐보기

어린이들을 위한 과천과학관 수학체험교실과 수학클리닉 상담교사로 활동하는 등 초등학생을 위한 즐거운 수학 공부를 위해 힘써 왔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어린이들을 위한 과천과학관 수학체험교실과 수학클리닉 상담교사로 활동하는 등 초등학생을 위한 즐거운 수학 공부를 위해 힘써 왔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고..
이재영집필자 소개

경인교육대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전공하였고, 지금은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수학의 원리를 즐겁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꾸준히 연구하고 있으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펼쳐보기

경인교육대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전공하였고, 지금은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수학의 원리를 즐겁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꾸준히 연구하고 있으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경인교육대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전공하였고, 지금은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수학의 원리를 즐겁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꾸준히 연구하고 있으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
정연숙집필자 소개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2007개정교육과정, 차세대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시안개발, 2009개정교육..펼쳐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2007개정교육과정, 차세대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시안개발, 2009개정교육과정 수학교과서, EBS 초등교재 집필에 참여하였다.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2007개정교육과정, 차세대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시안개발, 2009개정교육..
최미라집필자 소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학생들과 함께 수학을 즐겁게 공부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9개정교육과정 수학교과..펼쳐보기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학생들과 함께 수학을 즐겁게 공부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9개정교육과정 수학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였다.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학생들과 함께 수학을 즐겁게 공부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9개정교육과정 수학교과..

출처

101가지 초등수학 질문사전
101가지 초등수학 질문사전|저자김남준 외|cp명북멘토도서 소개

어린이들이 궁금해하는 수학 질문들을 모으고 추렸다. 질문들은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것뿐 아니라 수학사, 사회 문제 또는 현대 첨단 과학 문명과도 연결되어 있다. 아이들..펼쳐보기

어린이들이 궁금해하는 수학 질문들을 모으고 추렸다. 질문들은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것뿐 아니라 수학사, 사회 문제 또는 현대 첨단 과학 문명과도 연결되어 있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수학적 개념을 최대한 풀어쓰고 있으며, 어려운 용어는 보충 설명을 달아 명쾌하게 소개한다.어린이들이 궁금해하는 수학 질문들을 모으고 추렸다. 질문들은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것뿐 아니라 수학사, 사회 문제 또는 현대 첨단 과학 문명과도 연결되어 있다. 아이들..
전체목차
제1장. 수와 연산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수를 세었나요?매듭으로도 수를 셀 수 있나요?옛날 사람들은 숫자를 어떻게 썼나요?숫자 ‘0’은 어떻게 발명되었나요?숫자 ‘0’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나요?사람들은 왜 십진법을 사용하나요?분수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소수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옛날에도 구구단을 외웠나요?구구단을 쉽게 외우는 방법은 없나요?사칙연산 기호는 누가 만들었나요?구구단을 못 외워도 곱셈을 할 수 있나요?곱셈을 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나요?0으로 나누면 왜 안 되나요?옛날에도 계산기가 있었나요?숫자 7에 어떤 비밀이 숨어 있나요?일주일은 왜 7일이 되었나요?세상에서 가장 큰 수가 무엇인가요?숫자로 마술을 할 수 있나요?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뭔가요?무한히 방이 많은 호텔이 있다고요?
제2장. 도형점과 선도 도형인가요?삼각형으로 팔각형을 만들 수 있나요?세 개의 선분만 있으면 삼각형을 만들 수 있나요?건물은 왜 대부분 사각형 모양인가요?가장 완전한 도형은 무엇인가요?직선보다 더 긴 곡선이 더 빠를 수도 있나요?사이클로이드를 생활에서 볼 수 있나요?모든 도형은 연필을 종이에서 떼지 않고 한 번에 그릴 수 있나요?어떤 모양의 기둥이 가장 튼튼한가요?정다면체의 종류는 5개뿐인가요?우주가 정다면체라고요?빙글빙글 팽이의 축은 어느 곳으로 해야 하나요?물건이 저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길이 있다고요?안과 밖의 구분이 없는 띠가 있나요?안과 밖의 구분이 없는 병도 있나요?정다면체끼리도 짝꿍이 있나요?아르키메데스가 사랑한 입체도형은 무엇인가요?
제3장. 측정수학에서 단위가 왜 중요한가요?미터(m)가 모든 단위의 기초라고요?물은 왜 100℃에서 끓나요?1mm보다 짧은 길이는 어떻게 재나요?지구 둘레의 길이는 어떻게 구하나요?TV 화면 크기는 왜 인치 단위로 나타내나요?나무에 올라가지 않고 높이를 잴 수 있나요?넓이가 같은데 둘레가 다를 수 있나요?A4용지 이름에는 왜 영어 알파벳과 숫자가 붙었나요?그림자로 시간을 알 수 있어요?해시계는 왜 30분 느린가요?물도 시계가 될 수 있나요?1시간은 왜 60분인가요?달력은 해마다 다른가요?원의 넓이를 직사각형의 넓이로 바꿀 수 있나요?산의 넓이를 헥타르(ha)로 나타내는 이유는 뭔가요?사과의 겉넓이도 구할 수 있나요?부피와 들이는 어떻게 다른가요?고등어는 왜 한 손에 두 마리인가요?어림하기도 수학인가요?세종대왕이 거리를 측정하는 수레도 만들었나요?수학자들의 올림픽이 있다고요?조선시대에도 수학자가 있었나요?
제4장. 규칙성게임에서 항상 이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서요?일곱 개의 다리를 한 번에 건널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4가지 색깔로 지도를 칠할 수 있나요?‘도레미파솔라시도’에도 수학의 비밀이 숨겨져 있다고요?달력이 없어도 요일을 맞힐 수가 있다고요?로마 숫자는 몇 개만 외우면 되나요?바코드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나요?원판을 다 옮기면 지구의 종말이 온다고요?자연을 닮은 수가 있다고요?쌀 한 톨로 부자가 되었다고요?우리 집 욕실 타일에도 수학이 담겨 있다고요?사다리타기를 하면 왜 겹치지 않나요?파스칼의 삼각형은 파스칼이 만들었나요?직선이 모여 곡선을 만들 수도 있나요?수가 도형이 될 수도 있나요?60갑자가 무엇인가요?마방진을 빨리 푸는 방법이 있나요?중요한 것에는 왜 별표를 하나요?시계 속에는 어떤 수학이 숨어 있나요?두 번 모두 높았는데 더하면 왜 낮아져요?
제5장. 확률과 통계도박에서 수학이 생겨났다고요?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별하는 것도 수학인가요?주사위를 여섯 번 굴리면 2는 꼭 한 번 나오나요?바꾸면 후회하지 않을까요?비가 올 확률이 50%이면, 우산을 들고 가야 하나요?단짝 친구와 같은 반이 될 수 있을까요?옷을 골라 입는 것도 수학과 관계가 있나요?타율은 왜 할푼리로 읽나요?모나 윷은 왜 잘 나오지 않나요?나뭇가지 그림이 무엇인가요?월드컵에서 축구 경기는 모두 몇 번 열리나요?평균이 높으면 공부를 잘하나요?수학을 잘하면 과학도 잘하나요?히스토그램은 막대그래프와 다른가요?우리는 하루에 숨을 몇 번 쉬나요?우리 학년에서 나와 생일이 같은 학생이 꼭 있을까요?친구가 실패를 뽑으면 내가 성공을 뽑을 수 있나요?여론조사는 믿을 수 있나요?그래프도 거짓말을 하나요?머피의 법칙도 수학인가요?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수학

수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평균이 높으면 공부를 잘하나요?101가지 초등수학 질문사전, 김남준 외, 북멘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