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펼치기“손님 휘발유 넣어드릴까요, 경유 넣어드릴까요?”
“제 차는 디젤차인데요.”
“뭐라고요? 가솔린차라고요? ”
주유소에서 흔히 일어나는 대화다.
결론부터 말하면 디젤유와 경유는 같은 물질이며, 가솔린 역시 휘발유와 같은 물질이다. 가솔린=휘발유, 디젤=경유, 케로신(Kerosine)=등유다.
‘디젤’은 사람 이름에서 유래했다. 세계 최초로 경유 엔진을 개발한 독일의 엔지니어 루돌프 디젤각주1) 의 이름을 딴 것이다. 디젤은 불꽃을 이용하는 가솔린 엔진이 폭발의 위험성이 크다고 생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압축 착화 엔진을 연구했다.
이후 등유를 정제한 후 남은 부산물을 어떻게 사용할지 연구가 진행되었고, 가벼운 휘발유가 가진 폭발성에 주목한 엔지니어들이 내연 기관을 발명하면서 휘발유 사용이 본격화되었다. 즉 가솔린은 휘발성이 강한 석유라는 의미다. 미국에서는 구어로 가스(gas), 영국에서는 페트롤(petrol)로 주로 사용된다.
경유의 중요한 규격은 세탄가와 저온 유동성이다. 열기관의 연료로서 적합성을 판정하는 중요한 특성은 착화성이다. 착화성이란 연료 · 공기 혼합기가 스스로 착화하는 성질로, 디젤 기관에서는 연료가 실린더 내 고온 · 고압의 공기 중에 분사 · 착화될 때 착화 지연 기간이 길어지면 그동안 실린더 내에 분사 · 누적된 연료량이 많아진다.
이 누적된 많은 양의 연료가 일시에 급격히 착화 · 연소 · 팽창하게 되면 피스톤 헤드에는 고열과 함께 심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는 실린더 벽을 타격하는 소음 즉, 노크(knock)로 나타난다. 디젤 기관에서 노크를 동반하지 않는 정상 연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료의 착화성이 우수해야 한다.
등유는 한자로 ‘등을 밝히는 기름’이라는 뜻으로 “등잔불 밑이 어둡다”라는 속담에도 들어 있다. 등유는 미국식 영어로는 램프 오일(lamp oil)로 불린다.
사실 석유는 17세기 등화용 연료로 사용되던 고래기름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체 연료로 사용된 에너지였다. 당시 땅 위로 올라온 광유(鑛油)를 불에 붙여 사용했으나 18세기 초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땅속의 대규모 유정을 발견한 후 정제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최초의 석유 제품은 결국 등불을 밝히기 위한 등유였던 것이다. 등유는 밀랍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케로스(keros)를 어원으로 케로신, 파라핀 등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케로신은 1854년 에이브러햄 게스너(Abraham Gesner, 1797~1864)가 등록한 상품명이었으나 현재는 일반화된 이름으로 쓰인다.
휘발유, 경유, 등유 중 비교적 늦게 개발된 경유는 두 석유 제품의 부산물이었고, 증류되는 온도가 중유보다는 낮고 휘발유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생산되므로 경유(輕油)가 왜 ‘가벼운 기름’으로 불리게 되었는지 짐작 가능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후 화학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 등을 거쳐 인터넷 산업경제미디어 《EBN》에서 기자로 재직 중이다. 에너지, 석유화학, 화학섬유, 산업 소재 분야를 주력으로 ..펼쳐보기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후 화학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 등을 거쳐 인터넷 산업경제미디어 《EBN》에서 기자로 재직 중이다. 에너지, 석유화학, 화학섬유, 산업 소재 분야를 주력으로 10년 이상 취재해온 국내 유일의 화학산업 전문 기자다.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후 화학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 등을 거쳐 인터넷 산업경제미디어 《EBN》에서 기자로 재직 중이다. 에너지, 석유화학, 화학섬유, 산업 소재 분야를 주력으로 ..출처
학문으로서의 화학이 아닌, 실생활에 밀접한 분야로서의 화학을 만나보자. 인류가 얼마나 화학제품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는지, 화학산업이 지구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은 어떠한..펼쳐보기
학문으로서의 화학이 아닌, 실생활에 밀접한 분야로서의 화학을 만나보자. 인류가 얼마나 화학제품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는지, 화학산업이 지구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은 어떠한지, 차세대 화학산업의 비전은 무엇인지 등 그동안 우리가 간과하고 지낸 화학에 대한 모든 것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다.학문으로서의 화학이 아닌, 실생활에 밀접한 분야로서의 화학을 만나보자. 인류가 얼마나 화학제품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는지, 화학산업이 지구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은 어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