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산물 〉 특용작물류 〉 종실류 |
---|
요약참깨는 흰 참깨와 검은 참깨로 구분할 수 있는데, 흑임자는 이 검은참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깨 중에서도 검정 참깨인 흑임자를 불로장수 식품이라 하여 귀중하게 여겨왔다. 요리에서 검은 색을 내기 위한 고명이나 조미료, 소스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활용
식재 | 조리방법 | 활용가능메뉴 |
---|---|---|
검은깨 | 찌기 | 흑임자 떡 |
분쇄 | 흑임자죽, 흑임자 드레싱, 흑임자묵밥 | |
기타 | 다양한 요리에 고명/조미료로 사용됨 |
깨는 통째로 먹으면 소화가 안 되고 거의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살짝 볶아서 갈아먹거나 음료로 만들어 먹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고기의 기름장에 검은깨가루를 넣으면 고기의 누린내를 잡아주고 고소한 풍미를 더할 수 있다.
참기름은 다른 식물성 기름과 달리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는 항산화 물질인 세사미놀이 산화를 강력히 억제하기 때문이다.
효능
검은깨에는 흰 참깨에 없는 M-100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는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암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E, 칼슘, 셀레늄 등이 많아 노화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며 흰머리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
검은깨에는 레시틴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신진대사 및 혈액순환에 좋고, 지방산과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회복기 환자에 좋다.
품종
흰깨
안산깨 : 가지가 많고 줄기의 꼬투리 마디마다 한 개씩 달리는 분지형 깨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으로 기상이 나쁜 해에도 수확량이 크게 감소되지 않고, 어느 지역에서나 잘 되면서 종자가 잘고 색이 좋아 시장에서 선호되는 품종이다.
고품깨 : 우리나라 최초의 내탈립성 품종이다. 익어도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확기를 약간 늦추어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탈곡할 때에는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한 번 정도 더 털어 주어야 한다.
기타품종 : 이 외에도 단백깨, 진백깨, 남산깨, 서둔깨 등이 있다.
검은깨
강흥깨 : 키가 크고 역병에도 강해 소출이 많이 나는 검정깨 품종이다. 전국에 걸쳐 적응하며 항산화성 리그난의 주성분인 세사민(sesamin)과 세사몰린(sesamolin) 함량이 풍부하다.
진기깨 : 2006년도에 육성된 품종으로 역병에 강할 뿐 아니라 키가 크면서 수확량도 많이 나는 검정깨 품종이다.
기타품종 : 이 외에도 유성깨, 건흑깨, 양흑깨 등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