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산물 〉 채소류 〉 엽경채류 |
---|---|
원산지 | [봄] 경남 밀양, 전남 해남/진도, [여름] 강원 평창/정선/양구, 경북 청송, 충남 서산, [가을] 충남 서산, 강원 평창/홍천/정선, 전남 해남, [겨울] 제주도, 충남 서산, 전남 무안 |
생산시기 | 봄 5~7월, 여름 7~8월, 가을 9~11월, 겨울 12월 |
생산량 | 2013년 314,022톤 |
가공식품 | 절임 |
요약양배추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즐겨먹던 채소로 지중해 연안과 서아시아가 원산지다. 요구르트, 올리브와 함께 서양의 3대 장수식품으로 꼽히는 식재료로 우리나라에는 19세기 후반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양배추는 비타민U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위염, 위궤양 등 소화기계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설포라판, 인돌-3카비놀 등의 성분이 풍부해 암발병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포기에 80Kcal의 저칼로리 식품이면서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생산
원산지 : [봄] 경남 밀양, 전남 해남/진도, [여름] 강원 평창/정선/양구, 경북 청송, 충남 서산, [가을] 충남 서산, 강원 평창/홍천/정선, 전남 해남, [겨울] 제주도, 충남 서산, 전남 무안
생산시기 : 봄 5~7월, 여름 7~8월, 가을 9~11월, 겨울 12월
생산량 : 2013년 314,022톤
사보이 양배추
사보이 양배추는 서부유럽이 원산지로 프랑스 남동부 사보이 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며, 잎 표면이 우둘투둘한 주름이 많아 곰보배추라고도 불린다. 일반 양배추보다 조직이 단단해 생으로 먹는 것보다 롤이나 수프와 같이 삶거나 중화풍의 볶음요리에 적합하다. 일반 양배추의 영양소 외 시니그린(Sinigrin)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경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산지와 재배조건이 유사한 제주지역에서 2014년 하반기부터 시험재배에 성공하여 대형 마트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