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트렌드지식사
전6

하명 수사

다른 표기 언어

목차

펼치기
    하명 수사
    하명 수사

    ⓒ TusitaStudio/Pixabay | Public Domain

    청와대가 하명(下命)을 하면 수사에 나서는 검찰의 수사 방식을 이르는 말이다. 검찰의 ‘정권 코드 맞추기 수사’라고도 한다. 하명 수사는 검찰의 정치적 독립성과 자주성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라는 비판을 들어왔다. 역대 정권이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릴 때마다 검찰을 앞세워 사정(司正) 정국을 조성해왔기 때문이다.각주1)

    2015년 4월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자살하면서 하명 수사는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청와대가 부정부패 척결을 강조하면서 사정 정국을 조성하자 검찰이 경남기업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에 들어갔는데, 이런 무리한 수사가 성완종 전 회장의 자살과 적지 않은 관련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검찰은 수사 과정에서 법과 원칙에 따랐다고 해명했지만, 검찰 안팎은 물론 정치권에서도 이 수사에 대해 “무리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수수사에 정통한 전 · 현직 검사들도 청와대 · 국무총리 발언 등으로 사정수사가 시작되어 검찰 수사가 객관성 · 독립성을 상실했으며, 실적 요구를 받는 검찰이 무리한 수사를 했을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각주2)

    하명 수사에 대한 비판은 보수 언론에서도 나왔다. 예컨대 『조선일보』 2015년 4월 11일자 사설 「청와대 하명 수사 밀어붙이더니 청와대 발등 찍은 검찰」은 “청와대 · 총리실이 갑자기 부패 척결을 들고 나오던 때는 ‘문고리 3인방’ 문제에다 이완구 총리의 인사 검증 과정 논란으로 정권 지지율이 바닥까지 추락한 직후였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분위기 반전(反轉)을 위해 자원 비리와 경남기업 · 포스코 · 동국제강 등 기업 수사를 동시에 시작한 것이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었다.……청와대는 검찰을 정치에 악용하고 검찰은 청와대 하명이라면 무조건 따르는 풍토를 바로잡지 못하면 이번과 같은 불행은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각주3)

    2015년 9월 1일 법무부 장관 김현웅은 공직 비리와 세금 낭비 비리 등 4가지 비리를 거론하면서 “올해 하반기 부정부패를 척결하는 데 모든 역량을 결집해달라”고 검찰에 지시했다. 이와 관련해 『조선일보』 2015년 9월 3일자 사설 「검찰, ‘청 하명 사건’ 말고 살아 있는 권력부터 수사해보라」는 하명 수사 논란을 피하기 위해 “검찰은 비리 척결만 따라 외칠 게 아니라 그동안 전 정권을 상대로 밀어붙였던 수사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부터 반성해야 한다”고 했다.각주4)

    서강대학교 법학과 교수 임지봉은 “정치 검찰화의 근본 원인은 검찰총장에 대한 임명권이 대통령에게 주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검찰총장을 정점으로 조직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검사동일체 구조 아래서 총장만 장악하면 검찰 전체가 국민을 위한 공정한 법 집행을 하기 어렵다.”각주5)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환표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출처

    트렌드지식사전6
    트렌드지식사전6|저자김환표|cp명인물과사상사도서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펼쳐보기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경제, 마케팅, 의료, 글보벌, 사회, 정치 등 크게 10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 20개의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연관항목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하명 수사트렌드지식사전6,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