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펼치기사회문제를 두고 집단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한 사회를 말한다. 한국 사회가 초갈등 사회에 진입했다는 지적이 있다. 남북이 분단된 상황에서 남쪽 내부에서 또 하나의 분단 현상이 일어난다고 것이다. 한국의 사회 갈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013년 8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개최한 ‘제2차 국민대통합 심포지엄’에서 주제 발표를 한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박준은 “2010년 한국의 사회갈등 수준은 OECD 국가 중 종교분쟁을 겪고 있는 터키에 이어 두 번째로 심각하다”면서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최대 246조 원에 이른다고 했다. 이는 OECD 27개국 중 4번째로 심각했던 2009년 연구 결과보다도 악화된 것이다.각주1)
2013년 11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산하 (사)갈등해소센터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내놓은 ‘2013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 10명 중 9명은 “한국 사회에서 집단 간 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심각한 갈등 집단으로는 ‘진보와 보수 세력’이 응답자의 89.3퍼센트로 가장 높았다. 빈부간은 86.1퍼센트,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84.2퍼센트, 경영자와 노동자는 84.1퍼센트였다.각주2)
2014년 『동아일보』-리서치앤리서치(R&R)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국 사회의 사회통합지수는 3.97점(10점 만점 기준)을 기록해 위험 수준이었다. 국익은 뒷전인 채 정쟁에만 몰두하는 정치권, 일자리와 연금을 둘러싼 세대 간의 대립, 영남과 호남의 해묵은 지역 갈등, 보수와 진보의 치열한 이념 경쟁 등 다양한 갈등 요인이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3.8퍼센트가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정치 갈등을 꼽았다. 이에 대해 윤희웅 민정치 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정치의 목적인데 오히려 정치가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다”라며 “말로만 구태정치 청산, ‘새 정치’를 외칠 것이 아니라 실제 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각주3)
장행훈은 “숫자가 아니더라도 우리 사회의 분열 현상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은, 세월호 침몰 후 거의 반년을 겪으면서 우리 모두가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한 현실이다”면서 한국 사회가 중요한 사회문제가 터지면 보수와 진보로 나라가 둘로 갈라지는 미국을 닮아 간다고 우려했다. 미국은 1970년대 이후부터 보수와 진보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국회가 마비돼 예산을 집행하지 못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는 등 적색국가(공화당)와 청색국가(민주당)라는 2개의 나라가 되었는데, 한국 사회가 처한 현실이 그런 미국을 연상시킨다는 것이다.각주4) ‘정파 저널리즘’이라는 말이 시사하듯, 언론이 한국 사회의 갈등을 부추긴다는 견해도 있다.각주5)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출처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펼쳐보기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경제, 마케팅, 의료, 글보벌, 사회, 정치 등 크게 10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 20개의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