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펼치기색깔로 성병 감염 여부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콘돔이다. 1920년대 미국에서 피임용품의 판매가 금지되자 뉴욕시의 한 콘돔 회사는 “콘돔은 피임용이 아니다, 성병을 예방하는 기구일 뿐이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마케팅을 위한 것이었을 뿐,각주1) 콘돔을 착용한다고 해서 모든 성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HSV와 HPV 등 바이러스성 성병이 그러했다.
2003년 한국의 전체 성병 보고 건수(9,368건)는 2001년의 40퍼센트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HSV와 HPV 등 바이러스 성병의 발병 건수는 1,138건으로 2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콘돔이 바이러스성 성병까지 예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 서울의료원 최범 산부인과 과장은 “크기가 1~2마이크로미터(㎛ · 100만 분의 1미터)인 세균성 성병은 콘돔 사용이 늘면서 빈도가 현격히 줄고 있지만, 50~100나노미터(㎚ · 10억 분의 1미터) 수준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성병은 예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 같다”고 했다. 분당차병원 이찬 교수도 “HPV와 HSV의 콘돔 예방률은 통계상 60~70% 정도”라고 했다.각주2)
2015년 6월 24일 영국의 사회적 기업인 틴테크(TeenTech)는 ‘2015 틴테크상’에서 ‘성병 병원균과 접촉하면 색깔이 바뀌는 콘돔’ 아이디어가 보건 분야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성병 감지 콘돔을 만든 주인공은 영국의 10대 청소년들로, 런던 북부 일포드 지역의 아이작 뉴튼 아카데미에 재학 중인 3명의 소년이었다. 이들이 개발한 콘돔은 콘돔 표면의 병원균 감지 물질이 성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접촉할 경우 엷은 형광색을 띠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클라미디아에는 초록색, 헤르페스에는 노랑색, 유두종 바이러스에는 보라색, 매독균에는 파랑색으로 변색하는 식이다. 이들은 이 콘돔에 ‘에스티아이(S.T.EYE)라는 이름을 붙였다. 영어로 ‘성 접촉 감염’을 뜻하는 에스티아이(STI)를 감시하는 눈(EYE)이란 뜻이다.각주3)
성병 감지 콘돔을 개발한 다니알 알리는 “(이 콘돔이) 사용자들에게 더 편안한 마음을 주며 이전보다 더 책임 있게 행동하도록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보건 관련 비정부기구 ‘FHI360’의 와드 케이트 박사는 “여러 성병에 반응하도록 만들면 콘돔 단가가 너무 비싸지기 때문에 상품화까지는 많은 산을 넘어야 한다”며 “그러나 색깔 콘돔을 통해 성병 전파를 막을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는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각주4) 성병 감지 콘돔은 아직 콘셉트 단계지만 벌써부터 콘돔 회사가 이들과 접촉하는 등 큰 주목을 받았다.각주5)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현재 매일 100만 명의 사람들이 성관계 도중에 성병에 걸린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출처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펼쳐보기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경제, 마케팅, 의료, 글보벌, 사회, 정치 등 크게 10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 20개의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