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트렌드지식사
전6

PPL 클리셰

다른 표기 언어

목차

펼치기
    PPL 클리셰
    PPL 클리셰

    간접광고(PPL)와 클리셰(Cliché)의 합성어로, 틀에 박은 것처럼 영화나 드라마에 반드시 등장하는 PPL을 지칭.

    ⓒ Mathias Rosenthal/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간접광고(PPL)와 클리셰(Cliché)의 합성어로, 틀에 박은 것처럼 영화나 드라마에 반드시 등장하는 PPL을 말한다.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진부한 장면이나 판에 박은 대화, 상투적 줄거리, 전형적인 수법, 표현 등을 일컬어 클리셰라 한다.각주1) 쉽게 말해 공식처럼 굳어진 연출을 가리키는 말이라 할 수 있겠다.

    PPL 클리셰를 가장 많이 발견할 수 있는 곳은 드라마다. 드라마 제작비의 상승으로 인해 PPL의 비중이 커지는 데 따른 것이다. PPL이 드라마의 소재를 결정하는 시대가 열린 지도 오래되었다. 김양희는 2013년 8월 PPL 클리세가 드라마 주인공 직업의 정형화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김양희는 〈공주의 남자〉, 〈뿌리 깊은 나무〉, 〈해를품은달〉의 성공으로 사극이 대거 등장하고 있지만 출생의 비밀, 천재적 능력, 신분을 초월한 사랑, 역경 극복이 차례만 바꾸어 클리셰처럼 등장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현대물도 마찬가지다. 간접 광고주를 드러내기 위한 캐릭터 설정으로 보석 · 가방 · 구두 · 의류 디자이너가 꿈인 주인공들이 그들보다 능력은 부족한데 질투심은 많은 연적을 제압하고 종국에는 사랑과 성공 모두를 쟁취하는 이야기가 무한 재생된다."각주2)

    김효실은 2014년 11월 드라마에 꼭 등장하는 PPL 클리셰 4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만인의, 만인을 위한 만남의 장소는 단 한 곳이라도 되는 것처럼 주인공이 뻔질나게 들르는 ‘프랜차이즈 카페’로, 장소 노출 수준을 넘어, 등장인물이 카페 주인이거나 알바생인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프랜차이즈 밥집도 카페 부럽지 않게 자주 등장한다. 둘째, 등장인물 모두 사용하는 ‘최신형 휴대전화’로, 모두가 다 똑같은 브랜드를 사용한다. 셋째, 등산 · 캠핑을 부르는 ‘아웃도어 용품’으로, 등장인물이 매장을 방문해 가족 · 연인을 위한 점퍼나 신발을 사고, 성능을 알리고자 등산화를 신고 얼어붙은 눈길을 거닐기도 한다. 넷째, 사용 설명이 필요한 ‘신기술(?)’로, 스마트 티브이, 최신형 학습기 등은 약과로 이미 전송한 메시지 회수가 가능한 휴대전화 메신저 서비스, 집 전화와 전용 스피커를 결합시킨 스마트홈 서비스 상품 등도 소개된다.각주3)

    안진용은 2015년 2월 자동차, 커피, 휴대전화, 화장품은 PPL의 가장 든든한 우군이라면서 이 4가지 품목이 등장하지 않는 드라마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출연 배우들이 만나서 대화를 나누는 곳은 항상 특정 프랜차이즈 커피숍이고, 그 공간을 벗어나 이동할 때는 반드시 차를 타고, ‘드라마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여배우들은 가장 예쁜 얼굴로 브라운관에 얼굴을 내밀며, 전화벨은 수시로 울린다는 것이다.각주4)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환표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출처

    트렌드지식사전6
    트렌드지식사전6|저자김환표|cp명인물과사상사도서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펼쳐보기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경제, 마케팅, 의료, 글보벌, 사회, 정치 등 크게 10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 20개의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PPL 클리셰트렌드지식사전6,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