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트렌드지식사
전6

모바일 검색

다른 표기 언어

목차

펼치기
    모바일 검색
    모바일 검색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대량 보급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검색 규모가 PC를 추월하는 추세다. 2015년 5월 구글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하프 문 베이에서 개최한 연례 디지털 광고 콘퍼런스에서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10개 주요 국가의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구글 검색량이 사상 처음으로 컴퓨터(PC 등)에서 발생하는 양을 추월했다고 말했다.각주1)

    모바일 검색량이 PC를 추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검색이 본연인 기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SNS 등이 주 종목인 기업도 새로운 모바일 검색 서비스를 내놓는 등 ‘모바일 검색’ 시장에 뛰어들었다. 페이스북은 2015년 5월 모바일 검색 기능 테스트에 나섰으며, 구글은 트위터와 제휴를 맺고 모바일 검색 결과에 트위터 글을 보여주고 있다. 애플은 2015년 6월 개발자회의(WWDC)에서 검색 기능이 강화된 모바일용 운영체제 ‘iOS9’를 선보였다.각주2) 사진 · 이미지 기반의 SNS 인스타그램 역시 2015년 6월부터 검색 창에 기존의 해시태그(#)를 비롯해 인기, 사람, 장소 탭 등을 추가하며 검색 기능을 강화하는데, 이를 활용해 ‘모바일 검색 광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각주3)

    한국은 모바일 검색 전쟁의 최대 격전지다. 한국에서는 모바일검색이 PC를 추월한 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네이버에 따르면, 2012년 말부터 모바일 검색량이 PC를 넘어섰는데, 2015년 5월 모바일 검색량은 PC보다 1.8배 많고 휴일에는 모바일 검색이 더 늘어난다.각주4) 구글이 전 세계 56개국 소비자 4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 행태를 분석해 2015년 7월 내놓은 ‘컨슈머 바로미터’를 보면, 한국은 ‘모바일 퍼스트’ 국가답게 스마트폰 사용자의 88퍼센트가 매주 적어도 한 번 이상 모바일에서 검색을 한다고 답했다. 이는 56개 국가 중 2위인 중국(73퍼센트)이나 23위 미국(50퍼센트), 49위 일본(35퍼센트)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각주5)

    이런 이유 때문에 외국 IT 기업의 한국 공략도 강화되는 추세며, 이에 맞서 한국을 대표하는 포털사이트 다음카카오와 네이버도 모바일 검색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다음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에 ‘샵(#) 검색’이란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는데, 이는 카카오톡으로 친구와 대화하다가 궁금한 내용을 바로 찾아보는 기능을 제공한다. 대화창에 ‘#프로야구’라고 입력하면 경기 결과나 일정 등을 인터넷에서 검색해 바로 보여주는 식이다. 네이버는 스마트폰을 여행 가이드북처럼 활용할 수 있는 ‘지역검색’, ‘태그검색’ 서비스를 시작했다. 네이버는 모바일 검색에 실시간 댓글도 노출시키고 있으며, 같은 검색어에도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각주6)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환표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출처

    트렌드지식사전6
    트렌드지식사전6|저자김환표|cp명인물과사상사도서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펼쳐보기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경제, 마케팅, 의료, 글보벌, 사회, 정치 등 크게 10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 20개의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모바일 검색트렌드지식사전6,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