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펼치기
    MS Nordnorge
    MS Nordnorge

    2011년 피오르 해안을 따라 약 3,000킬로미터를 항해하는 후르티그루텐 여객선을 주제로 잡은 방송

    ⓒ Clemensfranz/wikipedia | CC BY 2.5

    노르웨이 공영방송 NRK가 2009년부터 방송하는 다큐멘터리다. 이름 그대로 ‘느린 방송’이다. 슬로TV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간 편집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별한 편집 없이 촬영한 영상을 있는 그대로, 짧게는 수 시간에서 심지어 100시간 넘게 방영하는 식이다.각주1) ‘속도 강박증’이 지배하는 디지털 시대에 ‘슬로TV’를 누가 보겠느냐는 의문을 던질 수 있겠지만, 베르겐선 산악 철도를 달리는 기차에 카메라를 달아 7시간이 넘는 여정에 보이는 풍경을 그대로 담은 방영 첫 회부터 슬로TV는 노르웨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평소 4퍼센트대였던 시청률이 15퍼센트로 껑충 치솟은 것이다.

    2011년 피오르 해안을 따라 약 3,000킬로미터를 항해하는 후르티그루텐 여객선을 주제로 잡은 방송에서는 더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신현철에 따르면, “생방송이 나간 134시간 42분 동안 프로그램은 노르웨이 국민 축제가 됐다. 해안 근처 작은 마을에 사는 아이부터 여왕까지 카메라 앞에서 손을 흔들었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도 북적댔다. 이 프로그램을 시청한 사람은 320만여 명. 노르웨이 인구(510만 명)의 절반 이상이 본 셈이다.각주2)

    슬로TV가 이렇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슬로TV PD 토마스 헬룸은 슬로TV가 시청자와 TV의 관계를 기존과 다르게 만들어 프로그램에 시청자의 자리를 남겨놓은 게 인기의 요인이라고 말했다. 줄거리가 없는 풍경을 찬찬히 보여주자 사람들이 스스로 이야기를 상상하며 방송을 즐기게 되었다는 것이다.각주3) 헬룸은 SNS를 통한 소통과 참여도 인기의 요인으로 꼽았다.

    “미디어의 발전이 반드시 TV 시청자들을 빼앗아가는 건 아니죠. 스마트폰 덕분에 슬로TV를 본 시청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시너지가 났습니다. 사람들이 TV쇼에 참여하는 데서 재미를 느끼기 시작한 겁니다.”각주4)

    KBS PD 손현철은 “노르웨이의 겨울이 길고, 국민성이 느긋해서 별로 가공되지 않고 느린 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던진 후 ‘느림의 미학’을 슬로TV 열풍의 이유로 제시했다.

    “갈수록 번잡하고 복잡한 세상에 지친 시청자는 ‘날 것’을 있는 그대로 느리게 즐기고 싶어 한다. 이탈리아에서 시작한 슬로 푸드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었듯, 슬로TV가 정신없이 돌아가는 우리 TV에 느림의 최면을 걸지도 모를 일이다.”각주5)

    한국에서도 슬로TV 형식의 프로그램이 등장할 수 있을까? 한국 TV의 기본적인 속성은 정보와 재미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슬로TV처럼 양념을 전혀 넣지 않은 방송은 실현되기 어렵다고 본다”는 견해도 있지만, 슬로TV가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문화적 토양이 한국에서도 조금씩 생겨나고, ‘휴식’, ‘여유’, ‘힐링’ 등의 코드를 가진 방송이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하는 견해도 적지 않다.각주6)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환표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출처

    트렌드지식사전6
    트렌드지식사전6|저자김환표|cp명인물과사상사도서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펼쳐보기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미디어, 디지털, 테크놀로지, 경제, 마케팅, 의료, 글보벌, 사회, 정치 등 크게 10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 20개의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슬로TV트렌드지식사전6,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