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펼치기초고속 인터넷(100Mbps)보다 10배 빠른 인터넷(1Gbps)을 말한다. 기가 인터넷이 상용화되면 2시간 분량의 DVD 영화 한 편을 10초에 내려 받을 수 있으며 고화질(HD)TV보다 4배 선명한 초고화질(UHD)영상과 입체(3D)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게 가능해진다. 박수련은 “유무선 인터넷이 기가급 속도로 빨라지면 일상생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무엇보다 교육·문화·의료 분야에서 시공간을 초월하는 서비스가 다양해져 개인의 삶이 더 편리해지고 효율성도 높아진다”면서 이렇게 말한다.
“KT 관계자는 ‘화상 연결을 통해 의료진과 상담이나 진찰을 하는 차원을 뛰어넘어 의료기기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면, 원격 수술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홀로그램 공연장에서 실제로 K팝 스타의 공연을 보는 듯한 경험을 하는 것처럼, 스포츠 경기장에 가지 않더라도 홀로그램으로 경기를 보고, 회사에선 화상회의를 넘어선 홀로그램 회의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기가 인터넷이 UHD, 3D 서비스를 비롯해 클라우드 서비스 등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곳곳에서 새로운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 때문일까? 기가 인터넷을 둘러싸고 이동통신사와 케이블 업계 간 경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기가 인터넷은 다양한 논쟁을 낳고 있기도 하다. 대표적인 게 망 중립성 논쟁이다. 기가 인터넷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수조 원에 이르는 막대한 투자비가 필요한데, 통신사들은 인터넷을 이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인터넷 포털, 온라인 음악·동영상 서비스, 스마트TV 등 인터넷기기 제조사 등이 통신망 구축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가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콘텐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배규민은 2014년 12월 “올 10월 첫 상용화를 시작으로 기가 인터넷 시대가 열렸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선 기존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10배 빠른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만큼 이를 체감할 수 있는 관련 콘텐츠들이 많아져야 한다. 기가 인터넷의 진가를 경험할 수 있는 초고화질(UHD) 방송과 사물인터넷(IoT)은 아직 초기 단계다. UHD 방송의 경우 올 4월 케이블업계서 첫 상용화했지만 UHD 방송 전용 콘텐츠의 수는 아직은 많지 않다. 사물인터넷도 걸음마 단계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나오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총 5,501억 원(국비 4,125억 원, 민자 1,376억 원)을 들여 전국에 기가 인터넷 망을 깔기로 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박수련, 「기가 인터넷·5G가 왔다···모든 게 실시간에 되는 시대」, 『중앙일보』, 2014년 10월 21일.
- ・ 박지성, 「‘기가 인터넷’ 과도한 끼워 팔기 우려 증폭」, 『디지털타임스』, 2014년 12월 9일.
- ・ 황지혜, 「통신사 “포털·SNS 인터넷 비용 내라”···기가 인터넷 구축비 분담 요구」, 『매일경제』, 2014년 7월 15일.
- ・ 배규민, 「‘기가 인터넷’ 보급 확대, 콘텐츠 다양성 과제」, 『머니투데이』, 2014년 12월 27일.
- ・ 심나영, 「“LTE보다 40배 빠른 기가 인터넷 시대 곧 온다”」, 『아시아경제』, 2013년 4월 27일.
글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출처
정보공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사회, 경제, 마케팅, 기술, 디지털, 문화, 미디어 등 크게 8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핵..펼쳐보기
정보공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사회, 경제, 마케팅, 기술, 디지털, 문화, 미디어 등 크게 8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핵심 키워드를 수록했다. 하나의 키워드에는 그 유래와 사회문화적 의미, 유사어와 긍정적·부정적 의미까지 수록해 다양한 측면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정보공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사회, 경제, 마케팅, 기술, 디지털, 문화, 미디어 등 크게 8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