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트렌드지식사
전4

가족 살해

다른 표기 언어

목차

펼치기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전체 살인 사건에서 가족 살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국가다. 2014년 『대한법의학회지』에 발표된 「한국의 존속살해와 자식살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3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가족 살해는 총 611건(존속살해 381건·자식살해 230건)으로 연평균 84건에 달했다. 매년 전체 살인 사건의 약 7퍼센트에 해당하는 수준인데, 이는 프랑스(2.8퍼센트)·미국(2퍼센트)·영국(1.5퍼센트) 등에 비해 높은 수치다.

    가족은 죽음마저 함께해야 한다는 일그러진 가족주의와 아내·자녀를 자신의 것으로 여기는 전근대적 가부장주의 문화가 한국에서 가족 살해가 자주 일어나는 이유로 꼽힌다. 김상원은 “(가족 살해는)가족에 대한 모든 책임을 가장인 아버지가 결정하는 가부장적 문화의 잘못된 유산”이라며 “가족 구성원 개체를 존중하는 서구 사회에서는 아무리 상황이 어려워도 동반자살이나 가족 살해는 생각조차 하기 어렵다”고 했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무한책임주의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정성국은 “자녀가 고교를 졸업하면 독립하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심지어 결혼해 자기 자식을 낳아도 부모에게 의존할 정도로 양육의 책임과 기간이 상당히” 길다며 “모든 걸 책임지려 하는 부모가 ‘부모 없이 얼마나 힘들까’하는 과도한 감정이입 끝에 가족 살해를 저지른다”고 했다.

    사회적인 억압과 좌절감이 가족 살해로 나타나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자랄 때부터 실패를 가르치지 않는 우리나라의 성공 지상주의 교육관 때문에 사회에서 승승장구한 인물일수록 실패에 직면 하게 되면 이를 극복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설동훈은 “우리 사회는 모든 게 경쟁이고 경쟁에서 이긴 사람만 살아남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패에 익숙한 사람은 단련이 돼 있지만, 계속 승승장구했던 사람들에겐 패배가 주는 충격은 훨씬 더 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가족 살해는 가정 불화와 경제 문제, 정신질환 등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다. 이 가운데 경제적 이유에서 비롯된 가족 살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경향신문』 2015년 1월 17일자 사설은 최근 빈발하는 가족 범죄의 근저에는 전근대성과 물질주의, 가족 해체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우려되는 것은 경제적 이유로 인한 가족 범죄가 늘어나는 점이다.······경제 문제를 비롯한 모든 책임을 가장이 진다는 그릇된 가족주의를 벗어던지고 구성원을 독립된 인격체로 인식하고 서로 소통·협력하는 새로운 가족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가족살해
    가족살해

    ⓒ Bubbers BB/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채승기·유명한, 「살인범 5%는 가족···선진국의 2~3배」, 『중앙일보』, 2015년 1월 15일.
    • ・ 변태섭·채지선, 「“죽음도 함께” 빗나간 가족주의, 참극 부른다」, 『한국일보』, 2015년 1월 16일.
    • ・ 서경원·이지웅, 「실패를 모르는 ‘온실사회’···가족 비극 낳는다」, 『헤럴드경제』, 2015년 1월 15일.
    • ・ 「[사설] 낡은 가족주의 벗어나 새로운 가족 관계로」, 『경향신문』, 2015년 1월 17일.

    김환표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 제국’의 속살을 살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살핀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트렌드 지식사전(편저)』(1~6권)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

    출처

    트렌드지식사전4
    트렌드지식사전4|저자김환표|cp명인물과사상사도서 소개

    정보공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사회, 경제, 마케팅, 기술, 디지털, 문화, 미디어 등 크게 8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핵..펼쳐보기

    정보공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사회, 경제, 마케팅, 기술, 디지털, 문화, 미디어 등 크게 8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핵심 키워드를 수록했다. 하나의 키워드에는 그 유래와 사회문화적 의미, 유사어와 긍정적·부정적 의미까지 수록해 다양한 측면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정보공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사회, 경제, 마케팅, 기술, 디지털, 문화, 미디어 등 크게 8섹션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핵..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반상식

    일반상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가족 살해트렌드지식사전4,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