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다음백과

하피첩

다른 표기 언어霞帔帖동의어정약용 필적 하피첩
요약 테이블
시대조선 후기
문화재 지정보물 1683-2호(2010.10.25)
크기제1첩 가로 14.2cm, 세로 24cm;제2·3첩 가로 15.6cm, 세로 24.6cm
제작시기1810년(순조 10년)
소재지서울 종로구 삼청로 37(세종로) 국립민속박물관

요약다산 정약용이 강진에서 귀양하던 때 부인이 보내준 치마로 만든 서첩. 자신의 두 아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적은 편지글이 정약용의 필체로 적혀 있다.

목차

펼치기

    하피첩(霞帔帖)은 조선 후기 실학자인 다산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이 귀양지인 전남 강진에서 쓴 글씨첩이다. 부인이 보낸 치맛감에 종이를 붙여 만든 것으로, 아들인 정학연과 정학유에게 보내는 편지글 등이 담겨있다. 제작연대는 1810년(순조 10년) 음력 7월과 9월 무렵이다.하피(霞帔)란 중국 당나라 시대부터 신부가 입던 예복이다. 조선 시대에는 비(妃)·빈(嬪)이 입는 법복(法服)이기도 했다. 하피첩이라는 이름은 첩(帖)을 만들 때 사용한 홍씨의 치마를 비유한 것으로, 직역하면 ‘노을빛 치마로 만든 첩(帖)’이란 뜻이다.

    1810년 강진으로 귀양 가 있던 정약용에게 부인 홍씨(洪氏)가 시집올 때 입었던 붉은 치마(紅裙) 한 벌을 보냈다. 정약용이 귀양을 떠난 지 십 년 정도 지났을 무렵이다. 정약용은 부인이 보낸 빛바랜 치마를 마름질해 네 첩의 서첩을 만들었다. 그중 현재 남아있는 것은 세 첩으로 첩의 순서는 알 수 없다. 남아있는 세 첩 가운데 두 첩의 서문에는 각각 ‘1810년 수추(首秋)’와 ‘1810년 국추(菊秋)’라고 적혀 있다. 수추란 ‘가을의 첫머리’라는 뜻으로 음력 7월을 말하며, 국추란 ‘국화꽃이 피는 가을’이란 뜻으로 음력 9월을 일컫는다. 표지는 다소 손상됐으나 본문 글씨 등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한 첩의 표지는 푸른색으로 박쥐문과 구름문각주1) 이 장식돼 있으며, 나머지 두 첩의 표지는 미색 종이에 장황(裝潢) 처리가 되어있다. 장황은 서화(書畫)에 종이나 비단을 발라 꾸미는표구(表具)를 말한다.

    보물 ‘정약용 필적 하피첩’
    보물 ‘정약용 필적 하피첩’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약용은 아내가 보낸 치마로 만든 하피첩에 아들들을 위한 글을 적었다. 하피첩 서문에는 ‘아내가 보내준 낡은 치마 다섯 폭을 잘라 작은 첩을 만들고, 경계하는 말을 써서 두 아이에게 준다’는 글이 적혀 있다. 본문은 선비에게 필요한 마음가짐이나 삶의 태도 등 아들들에게 교훈을 줄 만한 내용이다. 하피첩은행서(行書)와 행초서(行草書)각주2) 등 여러 문체로 쓰여있어 정약용의 전형적인 행초서풍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한 첩은전서(篆書)와예서(隸書)가 실렸는데, 정약용의 다른 서첩에서 찾기 힘든 자료라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하피첩은 본래 정약용의 후손들이 보관하다 한국전쟁 당시 분실되어 행방을 알 수 없었다. 하피첩이 다시 등장한 것은 2006년 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서다. 이후 하피첩은 계속 민간 소유로 있었다. 2015년 9월국립민속박물관이 경매에서 하피첩을 낙찰받았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하피첩의 전문 내용을 한글로 번역해 2016년 초 전시 형태로 공개할 것이라 밝혔다. 하피첩은 손상 부분을 복원한 뒤 보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될 예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cp명Daum전체항목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관항목

    정약용 작품

    추천항목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하피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