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동물도감
개구리목
무미목, anuran| 분류 | 양서류 |
|---|
올챙이와 개구리, 두꺼비로 잘 알려진 개구리목의 양서류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흔히 만날 수 있는 척추동물이다. 4개의 앞발가락과 5개의 뒷발가락을 지니며, 뒷발가락에는 물갈퀴가 발달해 있다. 나무를 잘 올라가는 '청개구리'는 발가락 끝이 빨판 모양을 이루고, 관절이 유연하게 구부러져 나뭇가지 등을 잘 잡을 수 있다.
이른 봄부터 겨울잠에서 깨어나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산란 장소에 모여 번식하는 일이다. 기본적으로 수컷만 소리를 내는데, 세력권을 확보하고 방어하거나 암컷을 부르기 위해서이다. 때로는 비가 내릴 듯한 날씨인 저기압이 다가오면 '청개구리'들은 집단으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개구리들의 번식 행위는 주로 밤에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종이 시기를 달리하여 같은 장소에서 번식하는 경우도 많다. 체외 수정을 하며, 대개 수컷이 암컷의 등 뒤에서 겨드랑이를 앞발로 껴안은 채(포접), 암컷의 배를 자극하여 산란을 유도하고 산란과 동시에 수정한다. 종에 따라 알의 수나 형태, 산란 장소 등에 차이가 있다. 전 세계에 48과 6500종이 있으며, 한반도에는 5과 17종, 남한에는 5과 13종이 서식하고 있다.
개구리 알의 발생속도
우리나라 양서류가 살고 있는 환경의 온도를 설정해 놓고 개구리 알의 발생 실험을 하면 알에서 올챙이가 깨어 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올챙이로 지내는 시간을 알 수 있다. 많은 알 중에서 가장 빠르게 깨어 나거나 탈바꿈을 마친 개체를 중심으로 날짜를 기록한 결과 '맹꽁이'가 가장 빠르게 발생이 진행되었으며, '황소개구리'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다.
알의 발생 과정 중 수온이나 영양 상태에 따라 성장 속도에 큰 차이를 나타내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발생 속도를 보인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반도에 살고 있는 야생 동물 중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에 한정하여 181종(포유류 125종, 양서류 24종, 파충류 32종)에 대한 해설과 사진을 실은 어린이 야생..펼쳐보기
한반도에 살고 있는 야생 동물 중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에 한정하여 181종(포유류 125종, 양서류 24종, 파충류 32종)에 대한 해설과 사진을 실은 어린이 야생 동물도감이다. 각 종마다 생태 사진을 실었으며, 고래류와 일부 사진이 없는 종에 대해서는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해설은 종의 크기, 형태, 생태, 먹이, 사는 곳, 분포 순으로 설명하였고, 그 밖에 특별히 강조할 만한 해설이나 재미있는 내용, 멸종 위기 및 보호 현황 등을 소개한다.한반도에 살고 있는 야생 동물 중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에 한정하여 181종(포유류 125종, 양서류 24종, 파충류 32종)에 대한 해설과 사진을 실은 어린이 야생..양서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개구리목 –이야기 야생 동물도감, 한상훈, 교학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