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이육사 생가

다른 표기 언어李陸史 生家
요약 테이블
유형유적
분야생활/주생활

요약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후기에 설립된 시인 이육사의 생가.

내용

1973년 경상북도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독립투사이며 시인(詩人)인 육사(陸史)이활(李活)의 생가이다. 원래 도산면 원촌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수몰로 인하여 1976년에 현 위치로 옮겼다.

생가의 배치는 사랑채와 안채를 二자형으로 놓고, 두 건물 사이에 대문과 일각문을 세운 안동지방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나, 옮겨 지은 뒤에는 이웃집의 석축으로 인하여 대문은 세우지 못하고 일각문 자리에 대문을 세웠다.

이 집은 특징은 평면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사랑채와 안채는 지붕형태만 다를 뿐 간살이나 구성이 동일한 형태로 대칭(對稱)을 이루고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경상북도문화재도록(慶尙北道文化財圖錄)』(동해문화사, 1995)
  • ・ 『안동(安東)의 얼』(안동시, 1991)
  • ・ 『지방문화재대관(地方文化財大觀)』(경상북도, 198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전체항목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연관항목
  • 이육사이육사 일제 강점기에 시인이자 독립운동가로서 강렬한 민족의식을 갖추..출처다음백과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이육사 생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