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
과서

전 세계적인 물 소비의 증가

다른 표기 언어

요약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 물 소비량은 거의 10배가 늘었다. 이 기간에 전체 농경지의 18%에 급수시설을 설비했다. 벌써 30개가 넘는 국가에서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목차

펼치기

    세계 전체 물 소비량의 2/3는 농업용으로 쓰인다. 밀 1킬로그램을 생산하는 데는 물 약 1,000리터가 필요하다. 어류 양식을 위해서는 그보다 5~10배나 많은 물이 필요하다. 유럽인 한 사람이 매일 식사 시간에 평균 물 4,000~1만 7,000리터를 마신다.

    증가하는 물 소비량
    증가하는 물 소비량

    출처 : UNEP 2002 - World Water Graphics; FAO: Summary of World Food and Agricultural Statistics 2005

    ⓒ 현실문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체 농지 사용 면적의 1/5에 급수시설을 설비했다. 그러나 더는 늘릴 수 있는 처지도 아니다. 유엔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은 머지않아 물 때문에 농업 생산이 한계에 부딪힐 지역이 상당히 많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한다. 아시아의 급수 면적은 기껏해야 10% 정도 늘릴 수 있을 뿐이다. 그것으로는 늘어나는 인구를 모두 먹이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그래서 급수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물 손실을 막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낙수관개급수와 같이 꼭 필요한 기술이 있지만 투자할 돈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도시의 식수 공급은 더욱 심각하다. 대부분 지역에서 지표면 물과 지하수가 충분하지 못해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저수지까지 가서 물을 길어 와야 한다. 강과 호수, 지하수는 더러운 폐수에 오염되었고, 수많은 도시에서는 수도관 누수와 운하 때문에 마시는 물의 1/3가량이 사라지고 있다.

    지구의 여러 곳에서 샘물을 새로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비롯한 후유증은 장기적으로는 끔찍한 결과를 낳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지하수 수위가 급격히 내려가고 있으며 가정집, 농업 및 산업시설에서 흘러나온 독성 물질이 지하수로 흘러들고 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로 20년간 400만 개가 넘는 샘을 파헤쳤다. 이로써 주민의 95%가 물을 공급받게 되었지만 높은 비소(砒素) 축적률은 역사상 가장 끔찍한 대량 독성화를 가져왔다.

    산업 분야에서도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유엔의 '2006 물 보고서'에 따르면, 각 공장에서는 이미 기존 기술을 효율적으로 응용하기만 해도 물을 40~90% 덜 사용하고도 공장을 충분히 가동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들은 확실한 경제적 이익이 보장될 때서야 틀을 바꾸곤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2005 - 가상물(Virtual Water)
    • ・ 국제생수협회(IBWA) 2006 - 우리에게 필요한 물의 양(How Much Water Do We Use?)
    • ・ 유네스코(UNESCO) - 제2차 유엔세계수자원개발보고서(Second UN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06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집필자 소개

    저자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은 1950년에 태어난 이멜은 개발정책 분야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정평이 나 있는 언론인이다. ‘독일 언론인상’을 세 차례나 수상했다. 아동구호 단체 ‘인간의 대지(Ter..펼쳐보기

    저자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은 1950년에 태어난 이멜은 개발정책 분야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정평이 나 있는 언론인이다. ‘독일 언론인상’을 세 차례나 수상했다. 아동구호 단체 ‘인간의 대지(Terre des Hommes)’의 홍보 책임자였으며, 슈투트가르트 쥐트베스트 방송국 편집부장을 지냈다. 인도 공장에서 자행되는 아동노동의 실태를 고발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러그마크 재단이 ‘아동노동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카펫’ 인증제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저자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은 1950년에 태어난 이멜은 개발정책 분야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정평이 나 있는 언론인이다. ‘독일 언론인상’을 세 차례나 수상했다. 아동구호 단체 ‘인간의 대지(Ter..

    출처

    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과서
    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과서|저자알브레히트 이멜|cp명현실문화도서 소개

    식량, 교육, 인구, 빈곤, 환경, 전쟁, 인권 등의 주제를 두루두루 다루며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부터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까지 살펴 세계화를 제대로 바라보고..펼쳐보기

    식량, 교육, 인구, 빈곤, 환경, 전쟁, 인권 등의 주제를 두루두루 다루며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부터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까지 살펴 세계화를 제대로 바라보고자 한다.식량, 교육, 인구, 빈곤, 환경, 전쟁, 인권 등의 주제를 두루두루 다루며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부터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까지 살펴 세계화를 제대로 바라보고..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전 세계적인 물 소비의 증가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과서, 알브레히트 이멜, 현실문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