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
과서

가파른 도시화, 비어만 가는 농촌

다른 표기 언어동의어도시화의 가속화

요약여전히 많은 사람이 도시로 몰려들고 있다. 2007년 역사상 처음으로 도시 인구와 농촌 인구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2030년이 되면 도시 거주자가 지구에 사는 사람 8명 가운데 5명꼴에 이를 것이다.

목차

펼치기

    도시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도시 인구 증가율은 매년 1.8%로, 앞으로 25년간 전체 인구 증가세보다 2배나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늘어나는 도시 인구
    늘어나는 도시 인구

    출처 :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2006; Habitat - State of World’s Cities 2006/2007

    ⓒ 현실문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도시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는 곳은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매년 4.5% 이상)와 남아시아(3%에 육박)로, 이 지역들은 지금까지 도시화가 가장 덜 된 지역이었다. 멈출 줄 모르는 도시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은 높은 출산율과 이농(離農)의 증가다. 더 많은 농촌 마을이 도시로 바뀌고, 큰 도시가 더 큰 대형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지하 식수원 오염, 대기오염 같은 끔찍한 생태 환경 훼손이 뒤따른다는 점이다. 식량 공급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브라질 상파울루 같은 도시의 주민 전체를 먹이려면 매일 20만 톤에 이르는 식량을 공급해야 한다.

    이미 도시 인구 중 10%가 200만 명이 넘는 거대도시에 살고 있다.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와 인도의 뭄바이 같은 대도시 인구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국민 수보다 더 많다. 아이티를 비롯한 몇몇 나라에서는 전체 국민의 2/3가 수도에 몰려 있다.

    경제성장의 몫은 주로 대도시가 누리고 있다. 방콕과 상파울루 인구는 타이와 브라질 인구의 10%에 불과하지만 두 나라 국내총생산의 40% 이상이 이 두 도시에서 나온다. 미국에서 가장 큰 다섯 개 도시(뉴욕,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휴스턴, 필라델피아)를 각각 국가라 가정하면, 이 국가들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국민경제 지역이 된다.

    정치권력도 당연히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정치인들은 당선되려면, 주거지 확충, 도로 건설, 물과 전기 공급, 학교 설립, 일자리 창출 등 도심 중앙 지역의 관심사에 먼저 신경을 써야 한다. 반면 농촌 지역의 발전은 무시되며, 이로 말미암아 농촌을 떠나는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도시 인근과 소외 당하는 농업 중심 내륙 간의 지역 갈등도 점점 심해지고 있다.

    남반구 국가 대도시에서는 행정과 도시계획이 효율성 있게 작동하는 예가 매우 드물다. 도시 공간 활용 계획에 대한 관료주의적 방해와 함께 인근 행정구역 내에서 도시가 자꾸 팽창하고 대도시 구역이 수많은 상업중심지로 뒤바뀌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유엔인간정주위원회(UN-Habitat) - 세계도시현황(State of World Cities) 2006/2007
    • ・ 미국시장연합회(U.S. Conference of Mayors) 2004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집필자 소개

    저자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은 1950년에 태어난 이멜은 개발정책 분야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정평이 나 있는 언론인이다. ‘독일 언론인상’을 세 차례나 수상했다. 아동구호 단체 ‘인간의 대지(Ter..펼쳐보기

    저자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은 1950년에 태어난 이멜은 개발정책 분야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정평이 나 있는 언론인이다. ‘독일 언론인상’을 세 차례나 수상했다. 아동구호 단체 ‘인간의 대지(Terre des Hommes)’의 홍보 책임자였으며, 슈투트가르트 쥐트베스트 방송국 편집부장을 지냈다. 인도 공장에서 자행되는 아동노동의 실태를 고발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러그마크 재단이 ‘아동노동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카펫’ 인증제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저자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은 1950년에 태어난 이멜은 개발정책 분야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정평이 나 있는 언론인이다. ‘독일 언론인상’을 세 차례나 수상했다. 아동구호 단체 ‘인간의 대지(Ter..

    출처

    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과서
    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과서|저자알브레히트 이멜|cp명현실문화도서 소개

    식량, 교육, 인구, 빈곤, 환경, 전쟁, 인권 등의 주제를 두루두루 다루며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부터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까지 살펴 세계화를 제대로 바라보고..펼쳐보기

    식량, 교육, 인구, 빈곤, 환경, 전쟁, 인권 등의 주제를 두루두루 다루며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부터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까지 살펴 세계화를 제대로 바라보고자 한다.식량, 교육, 인구, 빈곤, 환경, 전쟁, 인권 등의 주제를 두루두루 다루며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부터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까지 살펴 세계화를 제대로 바라보고..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관항목
    • 경제성장경제성장이론 한 나라의 부(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과정.출처다음백과
    • 국민경제화폐의 역사 국가에 의해 총괄되는 자립적인 사회분업체계를 가진 시민사회의..출처다음백과
    • 국내총생산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출처다음백과
    • 이농 농촌으로부터 도시로의 인구 유출은 봉건사회에서도 있었으나 대단히 제한적이었다. 즉 자연재해나 봉..출처다음백과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가파른 도시화, 비어만 가는 농촌숫자로 보는 세계화 교과서, 알브레히트 이멜, 현실문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