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전체항목

대한민국 식재총람

대한민국 식재총람 

농임산물과 축산물의 생산량, 산지, 효능 등에 대한 정보 수록

출판사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대한민국 식재총람' 항목

209건나열 순서 선택

조회순 표제어 목록

  • 방풍나물방풍나물풍을 예방한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진 방풍나물(갯기름나물)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쌉싸름한 맛을 이용한 식재료로 폭넓게 ..
  • 말차말차 (抹茶)일본의 오랜 전통 다도 문화에서 비롯한 말차가 최근 세계인의 건강 식재로 주목받고 있다. 말차란 녹차의 분류로서, 시루에서 찻잎을 말려 간 ..
    태그식재료
  • 아스파라거스아스파라거스 (멸대, asparagus)아스파라거스는 원산지가 유럽 남부와 러시아, 폴란드로 우리나라에는 1970년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아스파라거스는 전 세계에 300여종이..
  • 양배추양배추 (가두배추, Cabbage)양배추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즐겨먹던 채소로 지중해 연안과 서아시아가 원산지다. 요구르트, 올리브와 함께 서양의 3대 장수식품으로 꼽히는 ..
  • 취나물취나물특유의 향과 쌉사름한 맛이 특징인 취나물은 국내에 60여 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그 중 참취, 개미취, 각시취, 미역취, 곰취 등 24종이 식..
  • 귀리귀리 (oat)연맥 또는 작맥이라고도 불리는 귀리는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유럽에는 기원전 2000~1300년 경전파되어 현재는 아시아지역보다는 서양에서 주..
  • 참나물참나물은은한 향이 미각을 돋우는 참나물은 생것을 데치거나 말렸다가 나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생채나 샐러드로 먹거나, 쌈야채로도 이용하는 등 ..
  • 산마늘산마늘 (명이나물)산에서 나는 나물류 중 유일하게 마늘 맛과 향이 나는 산마늘은 명이나물 또는 맹이나물이라고도 한다. 울릉도의 해발 800m 이상지역에서 자생..
  • 케일 (kale)지중해가 원산지인 케일은 풍부한 영양성분으로 인하여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채소이다. 해외에서는 데침, 주스, 칩, 샐러드 등 다양한 방법..
  • 머위머위봄나물 중 하나로 계절감을 주는 요리나 찬류에 활용하기 좋은 식재이다. 전국 어디에서나 자생하며, 주로 논둑, 밭둑,습지 등 수분이 많은 곳..
    태그식재료
  • 두릅두릅 (목말채)독특한 향과 맛으로 산채의 제왕이라 불리는 두릅은 봄철을 대표하는 산나물이지만 하우스 재배 등을 통해 봄에서 가을까지 어렵지 않게 구할 수 ..
  • 도라지도라지 (길경(桔梗))특유의 향과 쌉쏘름한 맛이 특징인 도라지는 주로 생으로 또는 익혀서 나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원도를 중심으로 연중 재배가 이루어지고 ..
    태그식재료
  • 메밀메밀메밀은 동아시아의 북부 및 중앙아시아, 바이칼호, 만주, 아무르강변 등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지에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 당조고추당조고추연두빛의 고추로 일반 고추보다 2~3배 정도 크며, 혈당조절에 좋아 당조고추라고 한다. 식감은 오이고추처럼 아삭하며, 맵지 않고 파프리카 맛..
    태그식재료
  • 쪽파쪽파파김치의 재료인 쪽파는 파와 양파를 교잡한 품종으로 칼슘과 비타민이 많아 위를 보호하고 빈혈과 감기를 예방해 주는 등 대파나 양파 못지 않은..
    태그식재료
  • 쥐눈이콩쥐눈이콩 (서목태)검은콩의 일종인 쥐눈이콩은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일반 검은콩 보다 훨씬 작아 마치 쥐눈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목태(鼠目太)라..
    태그식재료
  • 홍국쌀홍국쌀 (홍국)홍국쌀은 붉은 누룩을 발효해 만든 쌀로 중국 한나라 황제가 황실음식으로 먹었던 귀한 식재료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당뇨나 혈압 ..
  • 검은깨검은깨 (흑임자)참깨는 흰 참깨와 검은 참깨로 구분할 수 있는데, 흑임자는 이 검은참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깨 중에서도 검정 참깨..
    태그식재료
  • 퀴노아퀴노아잉카 언어로 '곡물의 어머니'라는 뜻을 가진 퀴노아는 남미 안데스의 고산 지대에서 수천 년간 재배돼 온 곡물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
  • 고들빼기고들빼기쌉쌀한 맛으로 입맛이 없을 때 식욕을 돋워주기도 하는 고들빼기는 봄 고들빼기와 가을 고들빼기로 구분할 수 있다. 봄에 채취하는 고들빼기 어린..
이전페이지 없음현재페이지12345678910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