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전체항목

식재의 재발견

식재의 재발견 

35가지 숨은 식재료들의 수확시기, 산지정보, 활용법 등의 정보를 담았다.

출판사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재의 재발견' 항목

36건나열 순서 선택

조회순 표제어 목록

  • 단호박단호박단호박은 당질이 15~20%를 차지해 설탕이나 시럽의 첨가 없이도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내는 식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단호박에 들어있는..
  • 방풍방풍방풍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지만, 지금은 어린잎과 뿌리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강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향긋하면서도 쌉싸름한..
  • 근대근대 (부단초)봄·가을철 국물요리에 많이 사용하는 근대는 줄기가 억세기 때문에 부드러운 잎 위주로 사용돼왔다. 그러나 잎뿐만 아니라 살짝 말린 줄기도 데치..
    태그식재료
  • 쑥갓쑥갓 (춘국(春菊), crown daisy)국화과에 속한 쑥갓은 강한 향이 주된 특징이다. 초여름에는 황색 또는 백색 꽃이 피며 향이 좋아 유럽에서는 관상용으로 즐긴다. 반면 동북아시..
    태그식재료
  • 콜라비콜라비 (순무양배추, kohlrabi)양배추와 순무를 교배한 품종으로 비타민 C 함유량이 상추나 치커리 등의 엽채류에 비해 4~5배나 높다. 잎은 케일맛을 내고 뿌리는 무와 비슷..
  • 능이버섯능이버섯버섯류 중에 으뜸으로 치는 능이버섯은 향과 맛이 뛰어난 고급 식재다. 오래전부터 한방 약재로 쓰일 만큼 콜레스테롤 저하, 암세포 억제, 소화..
    태그식재료
  • 돼지감자돼지감자국화과의 식물인 돼지감자는 개화하면 해바라기와 비슷한 꽃이 피는 경관식물이다. 노랗고 예쁜 꽃과 달리 식용으로 활용하는 것은 땅 속 굵은 덩..
  • 꼬시래기꼬시래기 (Sea string)꼬시래기 생물은 떫은맛을 내고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뜨거운 물에 데치고 염장 처리해 유통된다. 홍조류인 꼬시래기는 익으면 녹갈색으로 변하고 ..
  • 야콘야콘야콘은 달콤한 맛 때문에 '땅속의 배'라고 불리며, 고구마와 비슷하게 생겼다. 비교적 최근에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올리고당의 함량이 높다고 ..
  • 모자반모자반얕은 바다에서 채취되는 모자반은 갈조류 중 하나로 톳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모자반류는 약 28종이며, 이 ..
  • 톳톳 (톳나물)톳은 칼슘, 요오드, 철 등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한 해조류다. 제주와 서남해안에서 주로 생산되며, 과거 식량이 부족했던 보릿고개 시절에는 곡..
  • 오크라오크라 (okra)오크라는 아직 국내에서 익숙하지 않은 기능성 식재료로 아프리카 북동부가 원산지이며, 17세기 이후 미국·브라질 등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이..
  • 노루궁뎅이버섯노루궁뎅이버섯 (후두고)노루궁뎅이버섯은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사용한 버섯이다. 중국은 3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일본도 1990년대 초부터 대량 재배에 성공했다..
  • 새꼬막꼬막 (고막조개)주로 겨울철에 즐기는 별미 식재인 꼬막은 '참꼬막'과 '새꼬막', '피꼬막(피조개)'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일대에 많이 분..
  • 청각청각 (靑角)청각은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 감촉이 매끄러우며 빛깔은 검푸르고 맛은 담담해 김치의 맛을 돋운다고 기록돼 있다. 예로부터 김치의 맛을 내는..
  • 마마 (산우, Chinese yam)산에서 나는 장어'라 불리는 마는 미끌거리는 식감 혹은 약재라는 편견 때문인지 요리에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조리법에 따라 식감과 풍..
  • 그린빈그린빈식물성 단백질인 그린빈은 껍질이 매우 부드러워 껍질째로 먹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린빈 대신 껍질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식물성 ..
    태그식재료
  • 양하양하 (襄荷)제주와 전남 등지의 향토음식에 활용되는 양하는 생강과로 독특한 향과 맛, 색을 지니고 있다. 계절에 따라 먹는 방법이 다양해 봄에는 줄기로 ..
  • 연근연근연근은 연꽃의 뿌리로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에도 좋다. 뿌리가 긴 것은 1.8m 이상이 되며 날로 먹으면 달달하면서도 전분 맛이 난다. ..
    태그식재료
  • 고구마고구마고구마는 식량부족시기에 서민들의 허기진 배를 채워 주었던 구황 작물이었다. 지금은 섬유질과 무기질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으며 국내 전역..
    태그식재료
이전페이지 없음현재페이지12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