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이 논문의 연구방법이 궁금하신가요?
- 연구결과
- 이 논문의 연구결과가 궁금하신가요?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본 연구의 목적은 다소 예외적인 주장과 행동으로 인해 대외적으로는 적지 않은 논란을 야기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지속적인 결속력을 유지하는 태극기집회의 실질적인 이념적 기반을 개념적으로 좀 더 엄격하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태극기집회의 ‘대외적 예외성’과 ‘대내적 정당화’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태극기집회의 이념적인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대외적 예외성과 관련해서, ‘체제위기론’으로 정리할 수 있는 탄핵사태에 대한 태극기집회의 현실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내적 정당성과 관련해서, ‘동일시-자기정당화’ 개념에 기초해 비합리적인 주장과 행동이 태극기집회 참여자들 사이에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정당화되는 맥락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태극기집회에 내포된 이념적 경향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통상 ‘보수집회’로 호명되는 태극기집회의 실질적인 이념적 기반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더 엄밀한 개념적 분석에 기초해, 체제위기와 동일시-자기정당화와 같은 태극기집회의 내면적 논리가 의존하고 있는 이념적 기반은 ‘좀 더 실용적이고 절충적인 성향’의 보수주의보다는 ‘좀 더 근본적이고 비타협적인 성향’의 수구주의에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태극기집회를 보수진영 일반을 대표하는 정치행동이라기보다는 ‘수구진영의 독자적 세력화’로 규정했다.
The ‘Taegeugi Rally’ ruled ‘another square’ during the impeachment process of Park Geun-Hye, the then-president of Korea in 2017. This article looks closely at the Rally’s ideological foundation, which upheld the dynamics and durability of the demonstrations. Although the size and influence of the demonstrations was a bit less powerful compared to the ‘Candlelight Rally’, it has had a great impact on South Korea’s political reality since 2016. Since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1987, ‘Taegeugi Rally’ has become a very outstanding event because it was a civilian conservative’s voluntary public political rally, which reached the peak in the history of right-wing movements in the country. Also it has proved its identity as an active ‘counter movement’ against the ‘Candlelight Rally’.
The article analyses the ‘crisis of the regime’ and ‘identification-self justification’ inherent in the Taegeugi Rally. Asking, “Is it appropriate to define Taegeugi Rally as a political behavior of conservatives?”, this article describes its ideological foundation as ‘standpattism’, which has a clearly differentiated conceptual difference with conservatism on the issue of social change. In conclusion, this article defines the Taegeukgi Rally as the independent political empowerment of the reactionary camp, rather than a political action of the conservative camp.
AI 요약
연구주제
연구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목차
- 1. 문제 제기
- 2. 태극기집회의 현재
- 3. 태극기집회의 수구적 이념성
- 4.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참고문헌(37)
참고문헌 신청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성일 / 2017 / 한국 우익진영의 대응사회운동 전개와 정치과정 / 문화과학 (91) : 134 ~ 159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진호 / 2017 / 태극기집회’와 개신교 우파: 또 다시 꿈틀대는 극우주의적 기획 / 황해문화 (95) : 76 ~ 93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외상적 만남으로서의 반복의 역사성 : 2016년 촛불집회와 태극기 집회
손성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2.06
촛불집회와 스타일의 정치
이동연
문화과학
2008.09
태극기집회의 대중심리와 텅 빈 신화들
박현선
문화과학
2017.09
언어, 감정, 집합행동 :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왕배
문화와 사회
2017.12
외상적 만남으로서의 반복의 역사성 : 2016년 촛불집회와 태극기 집회
손성우
현대정신분석
2024.08
‘촛불’ · ‘맞불’집회에 대한 태도와 19대 대선 : 일관적 유권자와 상충적 유권자
이현우 , 이지호 , 서복경
현대정치연구
2017.08
너와 나의 ‘대한민국’: 대표를 위한 배제의 문제
허재영 , 김진욱
국제.지역연구
2022.03
태극기 집회는 비합리적 집합행동인가?: 자원동원론으로 다시 보기
최재훈
사회와이론
2022.11
태극기 군중의 탄생에 대한 사회 병리학적 탐구
문성훈
사회와 철학
2018.10
[특별좌담] 대한민국이 사는 길
안병직 , 이명현 , 윤평중
철학과 현실
2017.03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채장수
소속기관경북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사회과학 > 사회과학 일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댓글(0)
광고 및 욕설, 인신공격, 비하 표현이 들어있는 리뷰 작성으로 다른 회원님들로부터 연이은 신고를 받으셨습니다.이로 인해 회원님께서는 리뷰작성 권한이 제한되었습니다.
0






